View : 12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성재-
dc.creator최성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2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6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8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641-
dc.description.abstractIn a Democratic system, fair competition is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in ensuring responsibility and responsiveness for the electorate by guaranteeing the chance to turn over political elites in power. However, over 90% of incumbents in Congress have been reelected, getting over 60% of the vote in the United States' congressional election. Therefore, it is a concern that electoral competition has been weakened. Inequalities of the campaign finance among candidates are pointed out as a major reason for incumbents' superiority in elections. In fact, incumbents spend three to four times more than do challengers due to their superior fund-raising capabilities, which results in the disparity of capital. The existing studies regarding the elections have simply concentrated on the analysis of campaign money influencing the elections. Therefore, the effects of the disparity among candidates' campaign money to the electoral competition has not been much of a concern. Campaign money is a tremendous resource for acquiring votes. The greater the inequality, the worse the situation is in the electoral competition that leads to the chances of harming fairness and impartiality. Based on the perspectives of that serious disparity in campaign finance between incumbent and challenger, this paper did an empirical analysis concerning the influence of incongruent campaign finances in the electoral competition. This paper analyzed how much the level of electoral competitiveness, i.e., vote margins would be influenced by the campaign finance disparity between the incumbent and challenger. Based on that analysis, specific finance reforms have been suggested to improve competitiveness. The sample has been taken data from the 1996 to 2002 federal congress elections. The data from 2002 for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has been excluded for controlling the redistricting variable.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vote rate that represents the vote margins between candidates. The independent variable is not the campaign cost in absolute amount, but the campaign cost rate of major candidate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campaigns' relativity. Factors, such as the challenger's party strength, challenger's political career, expected electoral competitiveness, the incumbent's career, and party, are also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because those factors can influence the result of an election. At the same time, these factors enable us to measure correctly the effect of campaign finance disparity between candidates. For the open-seat election, the expected electoral competitiveness, the incumbents' career, and the incumbent's party have excluded from the independent variables because the incumbents do not run in the elections. The conclusions came from the multiple regressions. The campaign cost rate of the opponent represents the campaign cost disparity in all three elections of the house, the senate, and the open-seat and is founded as an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s the candidate's relative vote rat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more the disparity of campaign finance between the incumbent and the challenger, the higher of the incumbent's vote with much advantage. On the other hand, when the challenger increased his costs, it shows that the challenger's relative vote rate to the incumbent's increased. It's generally accepted that an incumbents' landslide vote in an election comes mostly from the incumbent's advantage. However, the analysis show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challengers conducted an effective campaign based on a comparable level of campaign funds that of the incumbents, vote margins are getting smaller, so the fair electoral competition is possible. It can be deducted that the incumbents' superiority of the U.S federal elections comes from the inferiority of the campaign money for challengers who are rarely able to overcome the superiority of incumbents. Therefore in order to diminish vote margins between incumbent and challenger, tightening the gap of campaign money between incumbent and challenger is essential. Besides campaign costs, other independent variables' effects on vote margins have been analyzed. The result shows, that if a challenger has a public office career, the winning incumbent's vote margins in prior elections can be decreased. It proves that if a challenger's party has popularity in the district, the winning incumbent's vote margin should be decreased. Moreover, the incumbent of Democratic Party have a more favorable vote acquisition than incumbent of the Republican Party. The reasons have excavated as the popularity of incumbent President -Mr. President Clinton- along this study, as prosperous economy, and as the superior identification of Democratic Party.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challengers can perform far better in picking up votes under the fair condition, than they can trying to overcome the advantages of incumbents. Therefore, the analysis of this study raises the necessity of institutional reform that would enable fair conditions for all candidates, and to promote the electoral competitiveness. One possible way to enable challengers to overcome systematic inferiority against incumbents is to decrease challengers' inferior amounts of campaign funds. The historical factors such as candidates' public office career, the results of prior elections, and the traditional support of party in districts are hardly changed by policy. Recently, the claim that the campaign spending limit should not be restricted too much because challengers' campaign spending is so powerful in getting votes is noticed prevalently with the innovation of campaign finance reform policy. The Bipartisan Campaign Reform Act, which Congress passed in 2002, shows also a partial reflection of that claim. The Act prohibits‘soft money’, sets the limit of fund-raising higher than that of prior regulation, and sets no limit on campaign spending. However, setting a higher limit of fun-raising without the regulation of campaign spending limits would bring about a high possibility of enforcing incumbents' fund-raising superiority. Therefore, the Bipartisan Campaign Reform Act has set limitations on complementing the fairness among candidat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paper suggests campaign finance reform policies that enable fair competition based on a challengers' more equivalent position against incumbents having superior capital, experience, and popularity. The most important issue was the serious disparity in electoral expenditure between challenger and incumbent. As the most effective regulation, this paper suggests the public fund that has a prior condition of spending limit regulation. The spending limit regulation has effects that decrease the excess campaign expenditure of incumbents and enable challengers, who have not much fund-raising capability, an effective campaign by supporting seeds money, which allow lesser disparity against incumbents.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restriction of total amount of fund-raising for diminishing the advantage of incumbents' war chest. The suggestion that frees or subsidizes the campaign communication cost such as TV, radio, newspaper advertisement, which are usually is very expensive, would be the effective regulation that would relieve the challenger's burden. Finally, rigid regulation for the Political Action Committees which is the major cause of challengers' campaign money disparity, and propelling policy to strengthen the party's roles in election, can also be effective ways to elevate the fairness of competitiveness between challenger and incumbent, and the opportunity of a capable challengers' entry to run the race. Once parties supported campaign money, staffs, and strategies of candidates in elections, the possibility of a capable, new, political elite to join the race will be increased, therefore the structural problems that the current election system has would be overcome. It is essential of the institutional guide that makes parties to endeavor to secure support in the district and to perform the function of political education and recruiting politicians. As my conclusion, the campaign finance institution should be reformed so that challengers are able to compete against incumbents in fair condition. I believe that is the most basic element for enhancing the U.S elections' fair competition.;본 논문은 미국 연방 의회선거에서 후보자간 선거자금의 격차가 득표차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연구이다. 미국 연방 의회선거는 현직의원이 대체로 안정적인 득표율로 재선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선거의 공정한 경쟁성이 약화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선거에서 현직의원의 우세에 대한 주요 원인으로는 현직의 다양한 이점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그 중 후보자간 선거자금의 불균형 문제가 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 선거에서 현직의원과 도전자간 선거자금의 불균형이 심각하다는 현실의 인식을 바탕으로, 선거비용의 격차가 득표차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현직의원과 도전자간 선거자금 격차가 서로간의 득표차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아울러 분석 결과가 함의하는 바를 토대로 공정한 여건에서 선거 경쟁의 가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개혁안을 살펴보았다. 이 논문에서 분석은 1996년부터 2002년까지의 미국 연방 의회선거를 대상으로 하였다. 단 하원선거는 선거구 재획정의 변수를 통제하기 위해 2002년 선거를 제외하였다. 분석 대상은 하원선거의 일반선거와 공석선거, 그리고 상원선거이다. 후보자간 선거비용의 격차가 득표차에 미치는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한 종속변수는, 기존 연구에서 주로 관심을 갖는 후보자의 단순 득표율이 아닌, 후보자간 득표차를 반영하는 상대 득표율이다. 분석의 초점이 되는 독립변수는, 역시 대부분의 기존 연구에서 설정하는 절대액수로 측정된 후 보자의 선거비용 대신, 선거운동의 상대성을 고려하여 주요 경쟁 후보들의 선거비용 비율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후보자간 선거자금 격차의 영향력을 적실하게 측정하기 위해 선거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들인 도전자의 정당 지지도, 도전자의 공직 경험, 예상 선거경쟁성, 현직의원 경력 및 소속 정당을 기타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단 공석선거는 현직의원이 출마하지 않는 관계로 현직의원의 경력, 예상 선거경쟁성, 현직의원의 소속 정당을 독립변수에서 제외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원 및 하원선거, 그리고 공석선거 모두에서 상대 후보자에 대한 상대적 선거비용 비율이 득표율의 차이를 가늠할 수 있는 후보자간 상대 득표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는 현직의원과 도전자간의 선거비용 격차가 커지면 이미 도전자에 비해 유리한 입장에 있는 현직의원의 상대적 득표율이 증가하며, 반면에 도전자의 선거비용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후보자간 선거비용의 격차가 줄어들면 도전자의 현직의원에 대한 상대적 득표율이 증가함을 보여 주었다. 둘째, 상대적 선거비용 외의 다른 독립변수들이 선거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대체로 공직 경험이 있는 도전자일수록, 주나 선거구에서 도전자 정당의 지지도가 높을수록, 직전 선거에서 현직의원이 적은 득표차로 당선될수록 도전자가 현직의원을 상대로 자신의 상대적 득표율을 제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선거에서 현직의원의 우세는 현직의 이점이 크게 작용한 결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를 보면, 현직의원이 현직의 이점을 지니고 있을지라도 도전자가 현직의원만큼 충분한 자금을 지출하여 효과적인 선거운동을 펼칠 경우 도전자는 선거 경쟁에서 보다 선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미국 연방선거에서 나타나는 현직의원의 우세는 현직의 이점을 극복할 수 없는 도전자의 재정적 열세에 기인한 바가 크다고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현직의원에 대해 도전자가 보다 동등한 조건에서 경쟁을 하기 위해서는 이들간 선거비용의 격차를 감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민주주의 선거의 중요한 원칙인 선거에서의 공정한 경쟁을 위해서는 현직의원과 도전자가 보다 동등한 여건에서 활발히 경쟁할 수 있도록 ‘공평한 경쟁의 조건(level playing field)'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공정성을 보강하는 선거자금제도의 개혁 방안을 살펴보았다. 첫째는 지출 한도의 규제를 전제로 한 국고보조금 제도이다. 지출 한도의 규제는 도전자의 선거비용에 비해 과다하게 불균형한 현직의원의 선거비용 지출을 감소하고, 국고보조금의 지급은 모금 능력이 부족한 도전자에게 경쟁력 있는 선거운동을 할 수 있는 자금을 지원함으로써 현직의원과의 과도한 자금 격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둘째는 현직의원의 초기 운동자금(war chest)으로 인한 이점을 감소하기 위해 선거자금 모금의 총액을 제한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는 현직의원이 이전 선거에서 남은 상당한 자금을 현 선거에서 사용함으로써 선거 초기부터 누리는 현직의원의 자금 우세와 이로 인해 강력한 도전자의 출마를 제약하는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셋째는 선거비용이 가장 많이 드는 정책홍보 비용을 국고에서 지원하는 방안 역시 도전자의 선거비용 부담을 덜어주는 효과적인 제도가 될 수 있다. 마지막 개혁 방안은 현직의원과 도전자간 선거자금 격차의 주요 원인인 정치활동위원회(Political Action Committees) 자금에 대한 엄격한 규제와 정당 활동의 활성화 방안이다. 선거에서 정당이 후보자에게 자금, 조직, 그리고 전략을 지원한다면 능력이 있는 정치 신인의 출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유능한 도전자의 출마 가능성과 도전자와 현직의원의 형평성을 높여줌으로써 후보자를 중심으로 하는 현 선거체계가 갖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정당으로 하여금 평상시에도 선거구에서 정당지지 기반의 확보를 위하여 노력하고 장기적인 정치 충원과 정치 교육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도적으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선거에서, 특히 도전자가 현직의원을 상대로 한 선거에서 후보자간 공평하게 경쟁할 수 있는 제도적 여건을 마련하여야 미국 선거에서 경쟁의 공정성이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약어 정리 = ⅹ 논문 개요 = xi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6 Ⅱ. 선거자금제도의 변화와 선거자금의 분배구조 = 8 A. 선거자금제도의 변화 및 규정 = 8 1. 선거자금제도의 변화 = 8 1) 워터게이트 이전: 초기 개혁 = 8 2) 워터게이트 이후: 개혁의 체계화 = 10 3) 버클리와 밸리오 판결 이후: 개혁의 후퇴 = 12 2. 연방선거자금법의 규정과 운영 = 14 1) 선거자금의 기부 한도 = 14 2) 소프트 머니(Soft Money) = 16 3) 선거자금제도의 운영체계와 평가 = 20 3. 선거자금제도의 개혁 법안 = 27 B. 선거자금의 분배구조와 후보자간 격차 = 34 1. 현직의원의 높은 재선율 = 34 2. 선거자금의 불균형 분배 = 39 1) 개인 기부금 = 39 2) 정치활동위원회(PACs) = 42 3) 정당 = 46 3. 후보자간 선거자금의 격차 = 48 Ⅲ. 선거자금의 영향력과 제도개혁에 관한 기존 연구 = 57 A. 선거자금제도의 규제 및 개혁에 관한 논쟁 = 57 B. 선거자금의 영향력에 관한 기존 연구 = 63 Ⅳ. 선거자금의 영향력 분석 모델 = 74 A. 가설(hypothesis) = 77 B. 모델(Model) = 87 1. 일반선거 모델(Incumbent-Challenger Election Model) = 87 2. 공석선거 모델(Open Seat Election Model) = 88 C. 변수 및 측정(Variables and Measurements) = 89 V. 선거자금의 영향력 분석 결과 = 96 A. 선거비용 격차가 득표차에 미치는 영향력 = 96 1. 하원선거에서 선거비용 격차의 영향력 = 98 1) 일반선거에서 선거비용 격차 = 98 2) 공석선거에서 선거비용 격차 = 105 2. 상원선거에서 선거비용 격차의 영향력 = 107 B. 기타 독립변수들이 득표차에 미치는 영향 = 114 1. 도전자 정당 지지도 = 114 2. 도전자의 공직 경험 = 117 3. 예상되는 선거경쟁성 = 119 4. 현직의원의 정치경력 = 120 5. 현직의원의 소속 정당 = 121 Ⅵ. 선거자금제도 개혁에 대한 정책적 함의 = 126 A. 선거의 공정한 경쟁 조건을 위한 제도 개혁 = 126 1. 지출 한도의 규제 = 127 2. 국고보조금제도의 활용 = 130 3. 정책 홍보비용의 지원 = 135 4. 선거자금 모금총액의 제한 = 137 5. 정치활동위원회(PACs) 기부금의 규제 = 138 6. 정당의 활성화 = 140 B. 공명선거 개혁안(Clean Elections Reform Act) = 144 Ⅶ. 결론 = 155 참고문헌 = 161 부록 1 독립변수들의 허용값((Tolerance)과 분산 팽창값(Variance Inflation) = 186 부록 2 하원선거에서 선거비용 비율(COSTRATE)과 상대득표율(VOTERATE)의 산포도 = 187 부록 3 하원선거에서 선거비용 절대액수의 영향력 분석 결과 = 188 ABSTRACT = 1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324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미국 의회선거와 선거자금-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U.S. Congressional Election and Campaign Finance: The Effect on Electoral Outcome and Implication of Reform Policy-
dc.creator.othernameChoi, Sung Jae-
dc.format.pagexiii, 19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지역연구협동과정-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지역연구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