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9 Download: 0

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사절 대조 연구

Title
한국어와 중국어의 부사절 대조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Adverbial Clauses in Korean and Chinese
Authors
Zhang, Xiaoman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훈
Abstract
한국어와 중국어 모두 부사절이라는 문법 단위가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부사형 어미에 의해서 형성된 한국어 부사절과 관련사어(關聯辭語)에 의해서 형성된 중국어의 부사절을 대상으로 의미관계에 중점을 두고 통사적과 의미적인 특징을 밝히고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본고는 본론에서 한국어 20개 부사형 어미에 의해서 형성된 부사절을 선택하여 ‘인과, 조건, 양보, 시간, 목적’의 의미관계에 따라 통사·의미적 차이를 밝히고 그들의 중국어 대응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렇게 대조하여 나타난 결과를 도표로 묶어서 부사형 어미 간의 통사·의미적 차이와 중국어와의 대응을 열거하였다. 그 결과 그들의 대응 관계는 매우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론에서 부사형 어미 ‘-아/어서1, -(으)니까, -(으)므로, -느라고’는 모두 인과관계를 나타내는데 인과관계의 부사절을 이끌다. 중국어의 관련사어(關聯辭語) ‘因为......所以......’, ‘既然......就......’, 由于......因此......’, ‘......以致......’이끄는 부사절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다루는 ‘-(으)면’은 ‘조건’의 의미를 나타낸다. ‘-(으)면’이 이끄는 부사절이 가정을 나타내고 주절이 결과를 나타낼 때 중국어 관련사어(關聯辭語) ‘如果......就(那么)......’, ‘只要......就......’와 대응이 된다. ‘-아/어야’는 조건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반드시 일어나야 하는 일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관련사어(關聯辭語) ‘除非......才......, 只有......才......’와 대응이 된다. ‘-거든’은 주로 아직 실현되지 않은 사건을 선행절로 취하기 때문에 ‘가정’으로의 해석이 강하고 중국어 관련사어(關聯辭語) ‘如果......就......’와 대응이 된다. ‘-던들’은 과거 시제 ‘-었’과 결합하여 ‘-었던들’의 형식으로 쓰이는 경우만 논의했으며 ‘-었던들’은 ‘如果......就(那么)......’와 대응이 된다. ‘-아/어도, -더라도, -(으)ㄴ들, -(으)ㄹ망정’은 양보관계를 나타내는 부사형 어미이다. 그 중 ‘-아/어도’는 ‘부사절에 의해서 예상되는 내용이 주절에서 어긋나는 것’이라는 의미를 잘 드러낸다. ‘-아/어도’가 이끄는 부사절과 주절은 의미상 서로 상반이 될 때 중국어 관련사어(關聯辭語) ‘虽然......但是......’와 대응이 된다. ‘-더라도’는 ‘-아/어도’ 보다 가정의 의미가 강하다. 따라서 ‘-더라도’는 중국어 관련사어(關聯辭語) ‘即使......也......’와 대응되는 경우가 보편적이다. ‘-(으)ㄴ들’은 부사절의 동작이나 상태를 가정하여 인정하더라도 그것에 구속되지 않고 주절의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는 뜻으로 쓰인다. ‘-(으)ㄴ들’은 중국어 관련사어(關聯辭語) ‘虽然......但是......’, ‘即使......也......’등과 좋은 대응이 된다. ‘-(으)ㄹ망정’은 의미상 초점이 후행절에 놓이며 선행절은 후행절을 강조하기 위한 극단적인 경우에 쓰이기에 중국어 관련사어(關聯辭語) ‘宁可......也......’와 좋은 대응관계를 이룬다. ‘-아/어서2, -고서, -자마자, -다가’ 부사절은 모두 시간을 나타내는데 ‘-아/어서2’에 의해 연결된 문장은 중국어 연동문과 대응이 된다. ‘-자마자’는 선·후행절 사이의 시간적 차이가 거의 존재하지 않은, 끝남과 시작이 거의 동시에 일어나는 것으로 중국어의 ‘一......就......’와 대응이 되며 ‘-다가’는 ‘전환, 중단’ 등의 측면을 강조하는 부사형 어미로 중국어 연접복문(連接複文) ‘......着......着’와 대응이 된다. ‘-(으)러, -(으)려고, -고자, -도록, -게’가 이끄는 부사절은 모두 목적·의도를 나타내고 흔히 중국어 ‘为了’, ‘연동문’와 대응이 된다. 중국어 관련사어(關聯辭語) ‘为了’, ‘以便’, ‘免得’이끄는 부사절을 살펴보았고 ‘-도록’, ‘-게’는 중국어 겸어문과 대응해도 되고 정도를 나타내는 복합정태구문과도 대응을 이룬다. 기존의 대조 연구들을 하나의 의미관계를 선택하여 연구하는 학자가 다수였으며 본고처럼 5가지 의미관계를 선택하여 체계적으로 하는 연구는 활발하지 않았다. 기존의 연구들은 부사형 어미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거나, 부사형 어미에 의해 형성되는 접속문에 중점을 두고 하는 연구가 많았다. 그러나 부사형 어미에 의해 형성되는 부사절의 대조 연구는 아직 활발히 실현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사절 대조 분석의 결과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 부사절 구조에 대한 이해, 한국어와 중국어 교육, 통번역 그리고 후행하는 연구에 있어서 다소나마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This paper presents the form and function of Korean and Chinese adverbial clauses. The purpose of this comparative study is to analyse the adverbial element which is as an adverbial clause in Korean, compare it with Chinese in syntax and semantics aspects, and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se languages to help students to solve the problems during their study. Korean and Chinese are two totally different languages. Korean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modifiers of suffix is relatively flexible. Therefore the two or more than two short clauses are combined into a sentence with connective ending. Chinese is an isolating language. The short clauses are connected with conjunctive words before or after the clauses. Thus, the Chinese language generally uses the conjunction expression i.e. conjunction or adverb to connect the clauses together. This paper selects 20 connective suffixes which cause Korean condition, cause, time, concession and purpose clause as an investigative object. There are lots of connective suffixes in Korean, the usage of different connective suffixes between the short clauses will change the meaning of clauses, and the corresponding form of Chinese are also different and complicated. Thus, a comparison of the two languages is meaningful. There are eight parts in this paper. The first part introduces the corresponding syntactic units of Korean and Chinese and related usages. In second part offers the position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adverbial clause, and then according to the meaning of subordinate clause and main clause divided the adverbial clause into five sections. The third part makes a study on the syntax and semantics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cause clause. The fourth part explains the Korean and Chinese condition clause. The fifth part describes the concession clause. The Korean concession adverbial clause can express as a condition and a choice as well. The sixth and seventh parts are time and purpose clause. The last part is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