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혜영-
dc.contributor.authorChu Wen Bo-
dc.creatorChu Wen Bo-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7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8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78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compares a Korean request speech act with a Chinese request speech act and analyzes what kind of difference exists between them.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examine (1) whether Chinese Korean learners (CKLs) are influenced by their native language, Chinese, in case when they commit a request act in Korean, (2) whose speech act the CKLs prefer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d (3) how the request strategies differs according to factors when a request is made.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apter Ⅰ describe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proposes research questions along with literature reviews. Limited studies have been made by comparing a Chinese and a Korean language up to now and it can be said that there have been no pragmatic studies for the CKL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studies on a foreign request speech act are usually limited to English speaking Korean learners or Japanese Korean learners, so the necessity for a pragmatic study, which is actually able to helpful to the CKLs, is also explained. Chapter Ⅱ describ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a speech act theory, the concept of request speech act, and the strategy of a request speech act. Chapter Ⅲ made a situational investigation using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to set suitable request situations related to the methodology of the study. A pilot test was carried out with such a result before making the experiment and a framework of analysis was genera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pilot test. In the experiment, 12 situational analyses were carried out proposing analysis methods. Participants of three groups, Korean native speakers (KNSs), Chinese native speakers (CNSs), the CKLs took the DCT to be analyzed their pre-request strategy, request strategy and ending strategy and compared among three groups. Chapter Ⅳ discusses about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 The holistic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followed by each analysis for groups in respective situations. Additionally, analyses of each group were made in accordance with factors, that is, a burden degree, familiarity and relational position. Through the study result, it is possible to find the features of the use aspect of the pre-request strategy, request strategy and ending strategy of each group. Chapter Ⅴ the study wrapped up this research by reanalyzing the previous analysis comprehensively and mentioning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Discusses suggestions for Korean teaching for Chinese Korean learners. It was found that the CKLs used a strategy closer to the CNSs than the KNSs when making a request in Korean, because they were influenced by their native language. Therefore, the CKLs need to learn implication ability similar that of a Korean to increase their communication ability.;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의 요청 화행과 중국어의 요청 화행을 비교하여 기술하고 둘 사이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한국어 요청화행이 한국어 모어화자와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중국어의 영향이 어느 정도 남아있는지, 또한 요청할 때 변인에 따라 요청 전략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하여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실험 참여자로 한국어 모어 화자(KNS) 집단, 중국어 모어 화자 집단(CNS),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CKL) 집단을 각각 30명씩, 총 90명을 선정하여 DCT를 통해 요청 전략과 요청 표현 양상을 조사ㆍ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 문제를 제시하며 선행 연구 내용을 검토하였다. 따라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화용론적 연구는 많이 볼 수 없으며,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화용론적인 연구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외국인 요청 화행 연구는 영어 학습자와 일본어 학습자에 한정되어 있고 다른 외국인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많이 없으므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화용론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Ⅱ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첫째 요청화행의 개념, 둘째 요화행의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과 관련하여 본 실험의 적절한 요청 상황을 설정하기 위해 담화 완성형 테스트(DCT)의 상황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를 통해 본 실험에 앞서 예비실험을 하였다. 예비실험의 결과를 통해 분석 틀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에서는 결과 분석의 방법을 제시한 12개의 상황별 분석을 하였다. 상황별로 한국인, 중국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세 집단이 사용한 주화행 전략과 보조화행 전략이 어떤 전략인지를 분석하고 사용 양상을 비교하였다. Ⅳ장에서, 본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는데, 이를 위해 우선 전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황별 각 집단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 즉 사회적 지위, 친밀도와 요청상황의 성격에 따라 각 집단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서 각 집단의 주화행 전략과 보조화행 전략의 사용 양상에 대한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V 장에서는 앞선 분석을 종합적으로 재분석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언급하는 것으로 본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연구 결과 세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보였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에서는 몇몇 상황을 제외하고 모국어와 근접한 요청 화행 전략이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청자의 사회적 지위와 친밀도를 고려하지 않은 발화가 종종 나타났다. 이는 문화적인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럴 수 있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부담을 줄이기 위한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요청 화행 전략 실현을 위한 언어적, 문화적 능력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이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요청 화행을 할 때 한국인 모어 화자의 요청 화행과 비교함으로써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모국어의 영향은 어떠한지를 밝힌다. 둘째로, 요청의 변인을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세분화하여 조사ㆍ분석한 결과 변인에 따라 요청 전략의 사용이 KNS 집단과 CKL 집단이 상이한 결과를 도출해냈다. 이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자기 모국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제시된 요청 상황에 내포된 맥락을 인지하고 그에 적절한 발화를 가능케 하는 요인이 사회적 지위, 친밀도뿐만 아니라 요청의 성격까지 차이가 있음을 밝혔으므로 이를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교수ㆍ학습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2 C. 연구 문제 7 Ⅱ. 이론적 배경 8 A. 요청화행의 개념 8 B. 요청화행의 전략 10 Ⅲ. 연구 방법 13 A. 예비 실험 13 1. 요청 상황 설정을 위한 변인 설정 13 2. 피험자 15 3. 실험 도구 및 절차 15 4. 결과 분석 및 적용 17 B. 본 실험 18 1. 피험자 18 2. 실험 절차 및 실험 방법 19 Ⅳ. 연구 자료 분석 결과 26 A. 집단별 전체 분석 26 1. 집단별 전체 주화행 요청 전략 비교 26 2. 집단별 전체 보조화행 요청 전략 비교 28 B. 상황별 분석 30 1. 상황별 주화행 요청 전략 비교 30 2. 상황별 보조화행 요청 전략 비교 44 C. 변인별 분석 55 1. 사회적 지위에 따른 분석 56 가. 청자가 화자보다 사회적 지위가 높은 경우 56 나. 청자와 화자의 사회적 지위가 같은 경우 58 다. 청자가 화자보다 사회적 지위가 낮은 경우 60 2. 친밀도에 따른 분석 62 가. 친밀도가 높은 경우 62 나. 친밀도가 낮은 경우 64 3. 요청상황의 성격에 따른 분석 66 가. '부탁'의 경우 66 나. '권리'의 경우 68 Ⅴ. 결론 71 참고문헌 76 부록1. 요청 상황 조사에 대한 설문지 79 부록2. 요청 화행 설문조사 90 부록3. 设问调查 96 ABSTRACT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92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화행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Request Speech Act of Chinese Korean Learners-
dc.format.pagevi,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