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광자-
dc.contributor.author최남영-
dc.creator최남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5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8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537-
dc.description.abstract부부관계는 모든 인간관계 중에서 가장 밀접한 인간관계이며 동시에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필요한 관계이다. 부부관계가 건강하게 유지될 때는 상호인격이 성숙되어지고 만족스러운 결혼생활로 발전 할 수 있으나, 불건강한 상황일 때는 어떤 인간관계보다 파괴적이며 고통스런 관계가 될 수 있다. 정신질환자들 역시 결혼에 대한 욕구는 매우 높으나, 결혼하기도 매우 어렵고, 결혼했다 하더라도 결혼 후 정신질환 발병 및 재발로 이혼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성의 경우 임신, 육아, 가사 등의 요인과 함께 한국사회의 가부장적인 유교문화적 배경으로 인해 남성보다 더욱 큰 역할부담이 있다. 이에 만성정신질환 여성의 이혼 경험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들의 이혼 경험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여 예방차원의 접근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만성정신질환 여성의 이혼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고 이혼 경험의 본질, 각 개념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만성 정신질환 여성의 이혼 경험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충청도 일대의 정신병원과 사회복귀시설에 거주하는 총 8명의 만성정신질환 여성으로서 연령은 43세부터 60세였다.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면담 내용은 녹취를 한 후 필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연구방법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분석과정을 통해 82개의 개념과 23개의 하위범주 및 13개의 범주들이 도출되었다. 이어서 유형분석과 과정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상황모형이 형성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만성정신질환 여성들의 이혼 경험 과정의 인과적 조건은 ‘결혼을 받아들임’, ‘역할 수행에 실패함’이였고, 이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은 ‘가족관계를 벗어남’이었다. 이러한 현상의 맥락적 조건은 ‘남편이 버거움’이었고, 중재적 조건은 ‘현실의 장벽을 실감함’, ‘모성 역할 수행을 원함’이었다. 2. 이혼을 경험한 만성정신질환 여성들이 ‘가족관계를 벗어남’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흐트러진 마음 다잡기’, ‘세상에 도전하기’, ‘의지하며 살기’, ‘현실을 인정함’으로 나타났다. 이들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결과로는 ‘환자로 살아감’, ‘홀가분함’, ‘무덤덤함’으로 도출되었다. 3. 만성정신질환 여성의 이혼 경험에서 ‘가족관계를 벗어남’의 현상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면서도 다른 모든 범주들을 아우르는 핵심범주로서는 ‘어두운 울타리 속에서 밀려 나아감’이 도출되었다. 4. 만성정신질환 여성의 이혼 경험의 유형은 현 상황에 머무르기보다 미래를 설계해 나아가는 ‘성장형’, 자신에게 힘겨움 이었던 가정을 벗어남이 홀가분하기만 한 ‘해방형’, 그리고 결혼 시부터 이혼 후 까지 삶에 대해 소극적 자세를 유지하는 ‘둔감형’의 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5. 만성정신질환 여성의 이혼 경험에서 핵심범주인 ‘어두운 울타리 속에서 밀려 나아감’의 과정은 ‘떠밀리기’, ‘걸어 나오기’, ‘움츠리기’, ‘부딪히기’, ‘혼자서기’를 통해 진행되고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패턴을 나타낸다. 5. 만성정신질환 여성의 이혼은 개인-가족-사회문화적 차원에서 이루어진 작용/상호작용의 결과 경험하게 되는 현상으로서, 만성정신질환 여성의 결혼 및 이혼 전반에 걸친 관리를 위해 지역사회와 국가적 차원에서 새로운 제도와 지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 의하면, 이혼을 경험한 만성정신질환 여성들의 삶이란 ‘어두운 울타리’속에서 ‘밀려 나아가는’ 과정이다. 만성정신질환 여성들은 어쩔 수 없이 ‘가족관계를 벗어남’을 겪어 가끔은 자신의 처지에 절망하기도 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세상에 부딪혀 자신의 삶을 만들어가려고 노력한다. 만성정신질환 여성들의 이혼 경험 과정에서 도출된 변수들은 치료자 및 전문가들이 정신질환자들의 이혼을 예측할 수 있고 이혼 후 대상자들이 삶을 영위해 나가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어두운 울타리에서 밀려 나아감’ 모형은 간호실무, 교육, 연구, 정책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해 주었고, 만성 정신질환자들의 이혼에 관한 이론을 구축함에 좋은 토대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Conjugal relations are the closest human relationship and needs continuous interaction. When the relations are maintained well, each personality can mature and married life can be satisfactory, but if not satisfactory, it can be the most destructive and painful. Although people with mental illness also have desire for marriage, they are difficult to marry, and easy to divorce because of mental illness developing or recurrence. In particular, women have more trouble than men due to pregnancy, infant care and housework must be Korean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lead women with vulnerability to divorce, not overlooked. On this, it is considered that divorce experience of women with chronic mental illness should be fully understood, and precautional approaches should be taken by developing practical theory for their divorce experi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practical theory for divorce experience of women with chronic mental illness, by investigating divorce experiences of women with chronic mental illness, drawing parameters related to the essence of the mental or emotional disorder as a result of repressed anger or stress, and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oncep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eight (8) women, aged 43 to 60 years old, with chronic mental illness in mental hospitals and halfway houses in Chungcheong-do. Data came form in-depth interviewing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details of interviewing were transcribed after record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of Strauss & Corbin(1998).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selective coding of analysis, 82 concept and 23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ere drawn. After that, type and process were analyzed, and situational model were formed.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1. Causal conditions for divorce experience of women with chronic mental illness are 'accepting the marriage' and 'failing a role performance', and the phenomenon from them is 'getting out of family relations'. The contextual condition of the phenomenon was 'being beyond my capacity to a husband', and conciliatory conditions are 'realizing serious obstacle of the reality' and 'wanting a mother role performance'. 2. The strategies of action/interaction to solve 'getting out of family relations' of women with chronic mental illness experiencing divorce are 'calming unstable spirit', 'challenging into the world', 'depending on someone' and 'accepting reality'. The effects from the strategies of action/interaction are 'living as a mental illness patient', 'being lighthearted' and 'being unmoved'. 3. For the core category as the process to solve 'getting out of family relations', the phenomenon from divorce experience of women with chronic mental illness and encompassing all other categories, 'being pushed out of darkness fence' was drawn. 4. Types of divorce experience for women with chronic mental illnes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growing' that she advances with planning future, instead of staying reality, 'liberating' that she feels free after breaking away from family, her pain, and 'insensitive' that she is passive in life from marriage until divorcing. 5. The process of 'being pushed out of darkness fence', the core category in divorce experience of women with chronic mental illness works through 'being pushed', 'walkingout', 'shrinking', 'standing alone'. The process has continuing and repetitive patterns and helps women with chronic mental illness 'being pushed out of darkness fence' effectively. 6. Divorce of women with chronic mental illness is the phenomenon from action/interaction of the personal-family-social and cultural level, and new policy and aid is required at local and national level to manage effectively marriage and divorce of women with chronic mental illness. According to the study, lives of women with chronic mental illness experiencing divorce is the process of 'being pushed out' in 'darkness fence'. Women with chronic mental illness are obliged to suffer 'getting out of family relations' and despairs at her circumstance, but tries to make her life without giving up. The study improves understanding of women with chronic mental illness experiencing divorce and will help curers and experts sympathize them and make therapeutic relations with them. Parameters from the process of divorce experience can predict divorce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can be used to lead subjects to their life after divorcing. If nursing intervention suggested based on the source data is applied to real women with chronic mental illness, subject's-demand-oriented nursing will be possible. The theory of 'being pushed out of dark fence' will suggest alternatives for nursing practice, education, research and policy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building theories for divorce of people with chronic mental illn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질문 4 Ⅱ. 문헌고찰 5 A. 여성과 정신질환 5 B. 정신질환자의 결혼 9 C. 이혼의 영향 및 과정 10 Ⅲ. 연구방법 14 A. 연구 설계 14 B.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론 15 C. 연구자 준비 16 D. 연구 참여자 선정 17 E. 자료수집 방법 18 F. 자료 분석절차 19 G. 연구방법의 진실성 23 H. 윤리적 고려 25 Ⅳ. 연구결과 27 A. 연구 참여자의 특성 27 B. 개방코딩: 근거자료의 범주화 28 C. 축코딩 79 1.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79 2. 관계진술 86 D. 선택코딩 88 1. 핵심범주: 어두운 울타리 속에서 밀려 나아감 88 2. 이야기 윤곽의 전개 90 3. 관계의 체계화와 정형화 95 4. 어두운 울타리 속에서 밀려 나아감의 유형분석 96 E. 어두운 울타리 속에서 밀려 나아감의 과정분석 107 F. 어두운 울타리 속에서 밀려 나아감의 상황모형 114 Ⅴ. 논의 118 A. 만성정신질환 여성의 이혼 경험 어두운 울타리 속에서 밀려 나아감 121 B. 유형별 어두운 울타리 속에서 밀려 나아감 과정 논의 130 C. 간호학적 의의 136 Ⅵ. 결론 및 제언 141 참고문헌 144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152 부록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53 부록 3. 임상시험심사 결과통보서 154 Abstract 1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581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만성정신질환 여성의 이혼 경험-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ivorce Experience of Women with Chronic Mental illness-
dc.creator.othernameChoi, Nam Young-
dc.format.pageviii, 15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