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샛별-
dc.contributor.author김수정-
dc.creator김수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2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8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210-
dc.description.abstractThe twenty-first century is called the century of culture. With the post materialistic era coming, people tend to pursue a more culturally abundant way of life and they try to participate in various cultural activities accordingly. As such changes in social circumstances arise, aspects of social inequality also become more related to cultural consumption. According to Pierre Bourdieu, a person's cultural consumption is strongly influenced not only by his/her economic capital but also by his/her cultural capital. There have been numerous researchers who has tried to prove how well one's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explain their cultural consumption.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hasn't been a stable class system due to the uniqueness of Korean history, which is the basic presupposition of Bourdieu's theory, this study presumes that cultural consumption based on one's economic capital is the preceding factor that enables formation of cultural capital. This study deals with the culture divide between two different parts of Seoul, Gangnam and Gangbuk districts which are representatives of the rich and the poor, under the presupposition that economic inequality can be led to inequality in terms of culture; in other words, to the culture divide.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differences shown through cultural lessons opened in those two regions to prove that the culture divide is evident between them. Preceding studies on culture divide has limited its research subjects to culture and arts, a rather narrow sense of culture, although pointing out its broad meaning. In order to overcome their limitation, this study sets its research subject including cultural lessons for adults that covers lifestyle related to a broader sense of culture, as well as those that covers culture and arts related to a narrower meaning.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cultural gap between Gangnam and Gangbuk by conducting such research,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clear differences between those two regions in both quantitative aspects such as the number of lessons and qualitative aspects such as the kinds of lessons being. First of all, there are more cultural centers and cultural lessons in Gangnam than in Gangbuk. In particular, in Gangnam there are more high-quality cultural centers. For example, private music halls are only located in Gangnam. Also, culture centers run by department store, which is considered as middle class institution, are more located in Gangnam area. Research results show that, among lower class institutions, Dong art centers are better than community centers in terms of its facilities, and there is 19 times more Dong art center in Gangnam than in the other side of the city.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areas are significant in terms of number and contents of lessons. By comparing each institution's number in those two districts, this study found out every kind of cultural lessons, except for Korean language course as a literacy education, is more located in Gangnam than in Gangbuk. Besides, lessons of more rarity and of higher quality that are closer to upper class’ taste, which Bourdieu calls the taste of luxury, are opened more in Gangnam, while there are more general and popular ones in Gangbuk. These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more varied and higher quality cultural lessons in Gangnam than in Gangbuk. Third, by comparing each institution’s tuition fee per one class perio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ose two districts. By displaying one’s economic status, tuition fee not only establishes ties among people of similar socio-economic status, but also functions as a way of exclusion that prevents lower class from coming in. Thus, the fact that the tuition fee is more expensive in Gangnam can work as an entry barrier to those living in Gangbuk. Cultural lessons can be a way to acquire 'cultural capital' which functions as a hidden mechanism of social reproduction. Therefore, the gap between those two parts of the city in terms of the quality and the quantity of cultural lessons leads to unequal chance to acquire cultural capital. In particular, high expense required to take a better quality lesson, by functioning as entry barrier, discourages solving the problem of culture divide and even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unequal social class structure. This study presents a meaningful contribution in that it goes further than existing studies, which only proposes cultural education programs as a solution to culture divide, and uses cultural lesson itself as an indicator to examine cultural gap. Moreover, by consider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ety, this study developed a new discussion that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such as taking cultural lessons are based on one’s economic capital and this has a critical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cultural capital, while preceding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ctivities and cultural capital focused on explaining relative effect of cultural capital and economic capital on cultural activities. Finally, by conducting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of 4,520 cultural lessons opened in 116 cultural institutions of 5 different kinds located in Gangnam and Gangbuk area, this became a more macroscopic comparative study than the existing studies that conducted researches of only one cultural lesson or of cultural lessons opened in one institution.;본 논문은 문화의 세기라 불리는 21세기에 문화와 결부된 삶의 질이 갖는 가치가 높아지는 등 사회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사회불평등 역시 문화 소비를 매개로 하는 문화 불평등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배경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본 논문은 경제적 차원에서의 빈부격차가 문화적 차원에서의 빈부격차, 즉 문화격차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현 한국 사회의 빈부격차를 대표하는 지역인 서울의 강남과 강북 지역을 연구 지역으로 설정하여 두 지역 간 문화격차 실태와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문화격차에 관한 기존의 논의들은 문화가 갖는 광범위한 의미를 지적하면서도, 실질적인 문화격차 조사에 있어서는 조사 대상 범위를 협의의 문화, 즉 문화예술에 대한 것들로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협의의 문화 개념과 관계된 문화예술뿐만 아니라 광의의 문화 개념과 관계된 생활문화까지를 다루고 있는 성인 대상 문화강좌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를 통해 드러나는 강남과 강북의 문화격차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문화강좌의 개수와 같은 양적인 측면과, 문화강좌의 종류나 내용과 같은 질적인 측면에서 강남과 강북 간에 나타나는 차이들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연구 결과 강남과 강북은 문화강좌의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 모두에서 차이를 보였다. 첫째, 강남에는 강북보다 많은 수의 문화강좌기관이 위치하고 있었고, 개설되어 있는 문화강좌 개수도 더 많았다. 특히 강남에는 고급한 문화강좌기관들이 많았는데, 가장 상층에 해당하는 문화강좌기관인 사설음악감상실은 강남에만 위치하고 있어 강북과 차이를 보였고, 중층 기관인 백화점 문화센터도 강남에 더 많아 차이를 보였다. 특히 하층 기관으로 분류된 기관들 중 시설적인 측면에서 주민센터보다 더 우수한 동(洞) 문화센터의 경우 강남이 강북보다 19배 더 많아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둘째, 문화강좌의 수와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강남과 강북 간 차이가 나타났다. 각각의 문화강좌들이 강남과 강북에 개설되어 있는 빈도와 비율을 살펴본 결과, 문해교육에 해당하는 ‘한글/한국어’ 강좌를 제외한 모든 종류의 문화강좌는 강남에 더 많이 개설되어 있었고, 강북이 가장 일반적이고 대중적인 문화강좌들만을 개설하고 있는 반면 강남은 이와 더불어 더 고급하고, 더 희소하며, 보다 사치 취향에 가까운 문화강좌들 역시 많이 개설하고 있어 강북과 차이를 보였다. 셋째, 각 문화강좌기관 별 문화강좌 1회 평균 수강료가 지역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해 본 결과, 강남이 강북보다 비싼 수강료 수준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화강좌 수강료는 해당 문화강좌를 수강하는 사람의 경제적 수준을 보여줌과 동시에, 비슷한 계급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묶어주고, 다른 계급 배경을 가진 사람, 특히 자신보다 낮은 계급 배경을 가진 사람을 배제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평균적으로 강남에 더 높게 나타나는 문화강좌 수강료는, 강북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보다 양질의 문화자본진입장벽으로 기능할 수 있다. 문화강좌는 불평등한 사회 계급 체계를 재생산하는 데에 보이지 않는 기제로 작용하는 ‘문화자본’을 획득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문화강좌의 양적이고 질적인 측면에서 나타나는 강남과 강북의 격차는 곧 각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문화자본을 획득하고 축적할 수 있는 기회를 불균등하게 갖게 됨을 의미하는데, 특히 양질의 문화강좌에 대한 고액의 수강료는 그에 대한 진입 장벽으로 기능하여 문화격차 해소를 저해하고 궁극적으로는 불평등한 사회 계급 구조를 공고히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논문은 문화격차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이 문화강좌와 같은 문화교육프로그램을 단순히 문화격차의 해소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에서 더 나아가, 그 자체를 문화격차를 살펴볼 수 있는 지표로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첫 번째 의의를 갖는다. 또한 문화 활동과 문화자본의 관계를 연구한 기존의 연구들이 문화 활동에 대한 문화자본과 경제자본의 상대적 효과를 설명하는데 주력했던 것과 달리, 본 논문은 한국사회의 역사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경제자본에 기반을 두어 행해지는 문화강좌 수강이라는 문화 활동을 통해 문화자본이 획득될 수 있음을 보고자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강남과 강북에 위치하고 있는 다섯 종류의 116개 문화강좌기관에서 개설하고 있는 총 4520개의 문화강좌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그 동안 하나의 기관 또는 특정 종류의 문화강좌의 개설 현황을 조사한 연구들과 달리 보다 거시적인 차원에서 비교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배경 및 문제제기 1 B. 논문의 구성 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7 A. 문화격차 7 1. 문화격차의 개념과 유형 8 2. 선행연구 검토 10 B. 계급과 문화, 공간 13 1. 문화취향과 계급 13 2. 공간과 구별짓기 19 Ⅲ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26 A. 연구문제 26 1. 연구 개념의 설정: 문화격차 26 2. 연구문제와 연구내용 26 B. 연구대상 28 1. 강남 3구와 강북 3구의 선정이유 28 2. 강남 3구와 강북 3구의 배경특성 30 C. 연구방법 및 연구절차 34 1. 자료의 수집 34 가. 양적 자료 34 나. 질적 자료 35 2. 양적 자료의 분류 37 3. 자료의 분석 39 Ⅳ. 문화강좌기관들 간의 구분 40 A. 문화강좌 1회 평균 수강료에 따른 구분 40 B. 문화강좌의 종류에 따른 구분 45 1. 문화강좌 대분류에 따른 구분 45 2. 문화강좌 중·소분류에 따른 구분 47 가. ‘문화/예술’: 차별화된 고급스러움 47 나. ‘생활/취미’: 생활의 양식화(樣式化)와 삶의 미학화 51 다. ‘건강/미용’: 건강과 체력에 대한 관심 53 라. ‘자기계발’: 가장 실용적인 것 56 C. 문화강좌기관의 계급적 특성 58 1. 사설음악감상실/문예회관 58 2. 백화점 문화센터 67 3. 동(洞) 문화센터/주민센터 75 Ⅴ. 강남과 강북의 문화격차 82 A. 문화강좌기관 및 문화강좌의 분포 82 1. 문화강좌기관의 분포 82 2. 문화강좌 개설 빈도 84 B. 강남·북 문화강좌의 특성 비교 93 1. ‘문화/예술’ 93 가. 강남에 집중되어 있는 ‘예술의 감상과 이해’ 강좌 95 나. 강남은 비싼 ‘첼로’, 강북은 저렴한 ‘플루트’ 98 2. ‘생활/취미’ 101 가. 웰빙과 이국적 취향을 보여주는 강남의 ‘음식/요리’ 강좌 103 나. 강남의 경제적 여유를 보여주는 ‘재테크’ 강좌와 ‘여행’ 강좌 106 3. ‘건강/미용’ 108 가. 강남은 ‘골프’와 ‘헬스’, 강북은 ‘탁구’와 ‘단전호흡’ 109 나. 강남은 ‘메이크업’, 강북은 ‘피부관리’ 114 4. ‘자기계발’ 117 가. 강남은 ‘영어’, 강북은 ‘문해교육’ 118 나. 강남은 ‘스마트폰’, 강북은 ‘정보화교육’ 120 C. 강남과 강북의 문화강좌 수강료 차이 122 1. 문화강좌 1회 평균 수강료 범위의 강남·북 비교 122 2. 문화강좌기관별 문화강좌 1회 평균 수강료의 강남·북 비교 125 Ⅵ 결론 및 한계 127 A. 결론 127 B. 연구의 한계 및 의의 132 참고문헌 137 부록1.문화강좌기관별 문화강좌 분류 144 부록2.문화강좌 내용에 따른 통합 강좌분류표 147 ABSTRACT 1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40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문화강좌를 통해 본 서울시 문화격차-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강남과 강북의 문화강좌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f Culture Divide between Gangnam and Gangbuk of the Seoul Metropolis : focusing on cultural lessons-
dc.creator.othernameKim, Su Jung-
dc.format.pagex, 15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