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27 Download: 0

일한 출판 번역물에 나타나는 번역 양상과 번역전략 고찰

Title
일한 출판 번역물에 나타나는 번역 양상과 번역전략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spects and Strategies of Publications of Japanese-Korean Translated Works
Authors
이은용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통역번역대학원 통역번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송영빈
Abstract
Translation is to produce a receptive target language from a meaning of starting language between two languages-regarding many definitions of translation. On this progress, it needs some intervention to negotiate the differences from two different language and cultural background. Korean and Japanese are very close in language and culture, but those languages and cultures are so different that there is need to intervene in translation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better strategy and solution for Japanese-Korean translation by considering translator's intervention during its process. For this, I defined translator's intervention as "translation shift" in influence of Catford(2000) and categorized those translation shifts. Then I studied the reason and aspects of those types of translation shifts in each textual level. First, I divided translation shifts into 'obligatory shift' and 'optional shift' according to its occurrence, and divided into 'substitution', 'insertion', 'ellipsis' and 'word order transition' according to its shape. And I rebuild and used the categorization that consists of 'word level', 'grammatical level', 'textual level' and 'pragmatic level' in influence of Baker(1992). The text for analysis were Japanese-Korean translation works-10 of literary works and 10 of nonliterary works. I built a corpus for content and quantitative analysis- Starting Text(ST), Target Text(TT) and Direct-Target Text(DTT); which is well translated following its original shape for comparing to target text. For content analysis, I did more specific research on where, how and why the translation shift occurs by comparing ST, DTT and TT. Furthermore, I researched the strategic effect of translation shift into three-'explicitation', 'generalization' and 'simplification' by using concept of 'universals of translation'. Then I did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lation shift and quantitative elements of text. Here is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1) From analysing types of translation shift according to textual level, I found that 'substitution' type is found over all level. 2) 'insertion', 'ellipsis' and 'word order transition' types have the effect on higher textual level even they occurred on lower textual level. For example, when 'word order transition' occurs, that translation shift belongs to grammatical level. However, word order has strong relationship with topic structure and stream of information so that the actual effect of this translation shift tends to be found on textual level. 3) I found the negative effect of translation shift as the translation strategy besides its original intention. For example, too much 'explicitation' could disturb readers since too long translated text(TT) and too much 'generalization' could harm author's original intention in use of marked expression and structur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element of translation shift types and quantitative elements of text. 1) The number of characters and length has relationship with three types of substitutions-'substitution', 'insertion', and 'ellipsis'- and in Japanese-Korean translation, TT has less number of characters and shorter sentence than ST. 2) In the number of phrase, it has small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ST and Korean TT very little around one on each sentence. The translation shifts related to the number of phrase, 'insertion', 'ellipsis' occurred in relatively similar ratio then conclusionally the number of phrase doesn't have big change. 3) In comparison between DTT and TT, I analyzed the types of word of two since TT has sino-Korean word and loanword, like ST has but TT has different types of words. As a result, TT has less sino-Korean word and loanword than DTT. It shows the change of type of word during 'substitution' among the translation shift and tends to be fond upon literary works. I found that there are more translator's intervention into literary translation than nonliterary translation. 4) For finding the diversity of vocabulary upon literary, nonliterary text and ST, DTT, TT, I analyzed a ratio of 'type versus token'. As a result, literary text has more vocabulary diversity than nonliterary text and ST has more than TT. It has samel result with the former studies about universals of translation. However, considering the analysis the ratio of 'type versus token' from ST, DTT and TT, the difference between ST and DTT shows the 'possibility of interven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DTT and TT shows a degree of intervention. Then I found that literary text has more possibility of intervention than nonliterary text, From above content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 with quantitative elements, I have a conclusion like following. 1) From the analysis of types of translation shifts to each text type, when translation shift is needed, translator should consider the textual level of occurrence and actual effect. 2) There is a possibility to lose author's intention from ST, as side effect, when translator makes translation shift for 'explicitation', 'generalization and 'simplification'. Then translator needs to consider which is better way in conflict between effect and loss of translation shift for minimizing the loss of ST. This study has limit of sample number on analysis, however it has value on quantitative assessment on effect of translation shift on texts by quantitative analysis with content analysis to categorize types of translation shift. Also, this study has value on systematic describing the reasons and aspects of intervention occurring on progress of translation by analyzing very closely those types of translation shift in viewpoint of contrastive linguistics and text linguistics, I hope that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resource on actual work and education of translation. and be useful primary data for future research and study about the aspect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Japanese-Korean translation.;翻訳に関する様々な定義において共通して述べられていることは、翻訳とは、起点言語のメッセージを受容側の言語のニーズや文化的期待に合せて、自然な表現で再産出する行為であり、そのためには、言語や文化の相違への介入が必要であるという点である。韓国語と日本語は言語的・文化的に近い関係にあるが、決して同一の言語や文化ではないため、翻訳の過程において他の言語と同じく介入の必要性がある。本研究では、日韓の翻訳における翻訳者の介入を考察することにより、翻訳の様相・戦略を検討し、よりよい翻訳への示唆点を模索しようとするものである。 翻訳者の介入を「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translation shift)」と定義し、その類型をいくつかに分類し、テキストをなす各レベルにおいて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が現れる様相と原因の考察を行った。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は、その発生的側面からは、「義務的シフト」と「選択的シフト」に分け、そのシフトを「代替」、「挿入」、「省略」、「語順の交替」に分類し分析を行った。なお、この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をテキストを対象に各レベルによって分析するには、べ-カー(Baker 2005)のテキストレベルから概念を借りて再構成した、「語彙レベル」「文法的レベル」「テキスト的レベル」「語用論的レベル」の区別を用いた。 分析テキストは、出版された日韓翻訳書であり、具体的には文学テキスト10冊と非文学テキスト10冊の原文(以下、「ST」と称する)、翻訳文(以下、「TT翻」と称する)、それに翻訳文との比較のためにSTの形式を忠実に移した直訳文(以下、「TT直」と称する)をコーパスとして構築し、内容分析や計量的分析を行った。 内容分析においては、ST・TT直・TT翻の比較により、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が生じる部分や様相、原因について具体的な考察を行った。なお、「翻訳の普遍的な特徴(universals of translation)」に基づいて再定義した「明示化」、「一般化」、「簡潔化」の側面から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が翻訳戦略としてもたらす効果を分析し、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とテキストの数量的要素との関係を探るため、計量分析を行った。 以上の手続きにより分析を行ったが、まず内容分析の結果をまとめると、以下のようになる。 1)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の類型をテキストのレベルに基づいて分析した結果、「代替」類型はテキストのすべてのレベルにおいて多く分布している。 2)「挿入」、「省略」、「語順の交替」類型の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は、それが生じるレベルがテキストの下位レベルの場合でも、テキストの上位レベルにまでその影響が及ぶ事実が確認された。 3)翻訳戦略としての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は、意図した効果以外にマイナス効果まで発生する場合も確認された。例えば、過度な「明示化」はとりとめのない文章になり、読みやすさに影響を及ぼす場合がある。また、過度な「一般化」は有標的表現・構造を使った著者の意図を生かせることができない場合がある。 次は、それぞれの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とテキストの量的要素との関係を分析した結果である。 1)文字数と文章の長さは「代替」、「挿入」、「省略」と関係しており、日韓翻訳の場合、STよりTTの文字数が少なくなり、文章が短くなっている。 2)文節数は、STとTTの間で一つ前後というわずかな差を見せている。この文節と関係する「挿入」や「省略」がほとんど同じような割合で生じていることから、その結果である文節数にはわずかな格差しか観察されなかった。 3)TT直とTT翻の比較により、TT直ではSTで使われた漢語や外来語をそのまま移しているが、TT翻ではそれとは違う語種に変えていることから、その結果を数字の面から確認するため、語種分析を行った。その結果、TT直よりTT翻には漢語と外来語が少なく現れた。特に、文学テキストにおいてこのような傾向が目立っている。このことは、非文学テキストより文学テキストの方が語彙面における翻訳者の介入が活発であることを示している。 4)文学テキストと非文学テキスト、そしてそれぞれのST・TT直・TT翻の語彙の多様性の検討のため、「トークンとタイプ」の割合を分析した。その結果、文学テキストが非文学テキストより、STがTT翻より、語彙の多様性が高いことがわかり、これはこれまでの翻訳学での研究結果から報告された内容とも一致している。ただ、STとTT直、TT翻の「タイプとトークン」の割合を比較・分析した結果、STとTT直の格差は「介入の余地」を示すものであり、TT直とTT翻の格差は介入が行われた程度を示すものであることを考えると、それぞれの格差が示す数字から文学テキストは非文学テキストより介入の余地が多いといえる。 上記の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に関する内容分析および計量的要素との関係を中心とした結果に基づいて、本稿では以下のような結論を導き出すことができた。 1)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類型のテキストタイプ別の分析により、翻訳の過程において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が求められる場合は、実際そのシフトが生じるレベルだけでなく、実際に効果の及ぼす範囲まで考慮するひ必要がある。 2)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により、「明示化」、「一般化」、「簡潔化」の効果を得ようとする際、当該の効果以外にSTの著者の意図したことを損ねる場合もある。このように効果と損失が対立する場合、どこに価値を置くのか、損失を最少化する方法は何かということまで考慮する必要がある。 本研究は限られたテキストを対象に分析を行ったという制限を持っているが、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を類型化し、内容考察したことともに計量的分析を行うことにより、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がテキストの量的側面に及ぼす効果を計量化した点は初の試みであり、研究の意義の一つといえる。なお、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の類型を対照言語学やテキスト言語学の視点から詳細な分析を行い、翻訳の過程における介入の様相と原因を体系的に記述したことからも研究の意義を見出すことができる。本研究の結果が、翻訳の過程や翻訳教育に役立つこと、今後、日韓翻訳の様相や計量的研究の基礎資料として一つの土台になることを期待してやまない。;번역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통하여 번역은 두 언어 사이에서 출발 텍스트의 의미를 수용성 있는 도착텍스트로 산출하기 위한 행위이며, 그 과정에서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에 따른 차이를 중재하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우는 언어적, 문화적으로 매우 근접한 관계에 있으나 동일한 언어, 문화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번역 과정에서 개입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한 번역 과정에서 일어나는 번역자의 개입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번역 양상 및 번역전략을 살펴보고 더 나은 번역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하였다. 이를 위하여 번역자의 개입을 번역변이로 정의하여 번역변이 유형을 나누고 텍스트의 각 층위에서 번역변이 유형이 나타나는 양상과 원인을 고찰하였다. 번역변이는 그 발생적 측면에서는 ‘의무적 변이’와 ‘선택적 변이’로 나누었고, 형태에 따라서는 ‘대체’, ‘삽입’, ‘생략’, ‘어순 교체’로 나누었다. 또한 이러한 번역변이를 텍스트 층위별로 살펴보기 위하여 베이커(Baker 2005)의 텍스트 층위를 참조로 재구성한 ‘어휘 층위’, ‘문법 층위’, ‘텍스트 층위’, ‘화용적 층위’의 구분을 사용하였다. 분석 텍스트는 일한 출판 번역물 중 문학 텍스트 10권과 비문학 텍스트 10권이며. 이에 대하여 출발 텍스트(이하 ST로 칭함), 도착 텍스트(이하 TT번으로 칭함), 도착 텍스트와의 비교를 위하여 형태에 충실하게 번역한 직역본(이하 TT직)을 코퍼스로 구축하여 내용적 분석과 계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용적 분석에 있어서는 ST와 TT직, TT번의 비교를 통해 번역변이가 일어나는 부분과 양상, 원인에 대하여 구체적인 고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번역변이가 번역전략으로서 가지는 효과를 번역 보편소의 개념을 참조로 하여 재정의한 ‘명시화’, ‘일반화’, ‘간결화’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러한 번역변이와 텍스트의 수량적 요소와의 관계에 대하여 계량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대하여 먼저 내용적 분석의 결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 번역변이 유형을 텍스트 층위에 따라 분석한 결과, ‘대체’유형은 텍스트의 모든 층위에 고른 분포를 보였다. 2) ‘삽입’, ‘생략’ ‘어순 교체’ 유형의 변이는 번역변이가 일어나는 층위가 텍스트의 하위 층위인 경우라도 그 영향이 텍스트의 상위 층위까지 미치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어순 교체’가 일어난 경우, 해당 변이가 일어난 층위는 문법 층위이지만, 어순은 주제 구조와 정보의 흐름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실제적인 효과는 텍스트 층위에서 일어나는 경향을 통해 알 수 있다. 3) 번역전략으로서의 번역변이는 의도한 효과 이외에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음이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명시화’가 지나치면 번역문이 장황해져 가독성을 저해할 수도 있으며, ‘일반화’에 치중하다 보면 유표적인 표현이나 구조를 사용한 저자의 의도가 상실되는 사례의 확인을 통해 알 수 있다. 다음은 번역변이 유형의 각 요소와 텍스트의 양적 요소와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정리한 결과이다. 1) 문자수와 문장길이는 대체 유형 중 ‘대체’, ‘삽입’, ‘생략’과 관련이 있으며 일한 번역의 경우 ST보다 TT의 문자수가 적어지고 문장길이가 짧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2) 어절수는 일본어 ST와 한국어 TT간에 한 문장 당 1개 전후의 작은 차이를 보였다. 어절수와 관련되는 번역변이인 ‘삽입’, ‘생략’이 비교적 비슷한 비율로 일어나기 때문에 그 결과인 어절수에는 큰 변화를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TT직과 TT번의 비교를 통해 TT직에서는 ST에서 사용된 어종과 같이 한자어와 외래어가 사용되었는데 TT번에서 다른 어종으로 바뀐 사례가 확인되어 텍스트 전체의 어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TT직보다 TT번에서 한자어와 외래어가 적게 나타났다. 이는 대체 유형의 변이에서 어종이 바뀐 결과라 볼 수 있는데 위와 같은 경향은 특히 문학 텍스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어휘의 면에서 비문학 텍스트보다 문학 텍스트가 번역자의 개입이 더 많이 이뤄진 결과라고 볼 수 있다. 4) 문학 텍스트와 비문학 텍스트, 그리고 각 텍스트의 ST, TT직, TT번의 어휘 다양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타입 대 토큰’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학 텍스트가 비문학 텍스트보다 어휘 다양성이 높고, ST가 TT번보다 어휘 다양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번역 보편소 등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를 통해 보고된 결과와도 일치한다. 단, ST와 TT직, TT번의 ‘타입 대 토큰’의 비율을 비교·분석한 결과, ST와 TT직 사이의 수치 차이는 ‘개입의 여지’를 보여주는 것이고 TT직과 TT번의 차이는 개입이 이뤄진 정도를 나타내는 것임을 생각할 때, 문학 텍스트는 비문학 텍스트에 비해 개입의 여지가 많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의 번역변이에 관한 내용적 분석, 그리고 계량적 요소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정리하고자 한다. 1) 번역변이 유형의 텍스트 타입별 분석을 통하여 번역 과정에서 번역변이가 필요한 경우, 번역변이가 일어나는 층위와 실제적으로 그 효과가 미치는 층위까지 고려해야 한다. 2) 번역변이를 통해 ‘명시화’, ‘일반화’, ‘간결화’의 효과를 얻고자 할 때 의도한 효과 이외에 ST에서의 저자의 의도 등이 손실될 수도 있다. 이처럼 효과와 손실이 상충되는 경우, 어디에 더 가치를 둘 것인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에 대해서까지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한정된 분석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나, 번역변이를 유형화하여 내용적 고찰과 더불어 계량적 분석을 통해 번역변이가 텍스트의 양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를 계량화하였다는 점을 본고의 의의로 들 수 있다. 또한 번역변이 유형을 대조언어학과 텍스트언어학의 시점에서 상세히 분석하여 번역 과정에서 일어나는 개입의 양상과 원인을 체계적으로 기술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번역 과정 및 번역 교육에 참고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또한 향후 일한 번역의 양상과 계량적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통역번역대학원 > 통역번역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