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유경-
dc.contributor.author이지숙-
dc.creator이지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56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1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8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114-
dc.description.abstract교사가 교육의 핵심이며 교사에 의해 교육의 성패가 좌우된다. 또한 그것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무한하다. 오늘날 교육은 국가, 사회발전의 원동력이 되고 있어 교육의 발전이 없이는 국가의 발전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선진국이든 후진국이든 모든 국가가 자국의 발전과 번영을 위해 교육을 그 어느 것보다도 중요시하고 있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도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그 어느 때보다도 크게 증대되고 있으며, 교육발전을 위한 교육개혁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도입이 과연 실효성이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한 필요조건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은 교원평가제가 성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충분히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원능력개발평가의 7월 학생 만족도를 분석하고, 같은 문항으로 12월에 한 번 더 실시하여 학생 만족도 변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본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7월 학생 만족도 평가 결과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2. 7월과 12월의 학생 만족도 평가 결과는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3. 학생 만족도 평가 결과 및 평가의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A중학교 41명에 대한 7월 학생 만족도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교원평가가 교사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5명의 교사를 선발한 후 이 15명의 교사를 평가한 308명의 학생들에게 7월에 실시한 교원능력개발평가와 같은 내용으로 12월에 다시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 program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유의 수준은 p<.05, p<.01, p<.001에서 검증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사도구는 사전연구(Pilot test)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한 후 본 조사에 사용되었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만족도 변화에 따른 교사의 인식 조사를 위하여 자유 토론 및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중학교 41명에 대한 교사 평균은 4.35이고 표준편차 0.22로 나타났으며 교사 배경 변인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이는 A중학교 교사별 학생 만족도 결과의 평균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교사 배경변인에 따라 학생 만족도 분석 결과가 약간의 평균의 차이는 보였으나 통계상 유의미한 수치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에 참여한 15명의 교사에 대한 7월 실시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균 점수는 4.38로 12월 교원능력개발평가 보다 0.78정도 높게 나왔다. 이는 p<.05, p<.01, p<.001 미만의 매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학생에 의한 평가 결과는 신뢰하지만 이 결과가 수업에 반영된 정도는 적었다고 대답했다. 교사들에게 있어 학생 만족도 평가가 가장 크게 미치는 요인으로는 수업의 전문성이 가장 크다고 응답했다. 12월의 평가결과는 평가 자체가 외부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며 결과 변화에 수긍하지 못했지만 앞으로 자신의 능력개발을 위해 평소 노력하겠다는 교사의 의견이 많았다. 앞으로의 개선방안에 대해 2년에 1회씩 2학기에 실시하기를 원하였고, 평가 방식은 현행을 유지하되 평가항목에 대한 전반적인 수정을 원하였다. 평가 결과에 교사들은 근무성적, 성과급, 교원인사 등에 연계되는 것을 바람직하지 않다고 대답하였고, 교사의 전문성 향상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학생에 의한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시행에 대하여는 이견이 없었다. 다만 많은 학생들이 평가에 참여하도록 독려하는 과정에서 같은 번호에 동일하게 체크를 하거나 지그재그 식으로 답을 체크하는 경우들이 있었는데,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학교는 학생들이 진지하게 평가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지도를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학생평가는 필요하지만, 진지하게 평가에 참여하는 분위기 조성과 함께 자발적인 참여를 위한 개선책이 필요하겠다. 다음으로 전체적인 결과를 보았을 때 7월의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결과보다 12월의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점수가 낮았다. 이렇듯 성과가 미미한 것은 평가 자체가 교사가 자신의 문제점을 찾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방법에 도움이 되지 못했기 때문이며, 또한 평가과정에서도 명확한 기준 없이 진행되어 일관성이 떨어졌고, 무리한 평가 참여 비율 높이기도 평가 성과를 높이지 못한 원인이 될 수 있다. 가장 크게 지적되었던 평가의 시기가 그동안 여러 차례 제기 되었지만 개선책 없이 그대로 시작된 것은 평가의 의미를 퇴색시키기에 충분했다. 마지막으로 평가를 받은 쪽이나 하는 쪽 모두 평가지표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서로의 이해관계 없이 일부분만 손질해서 다시 시행한다면 올해와 같은 문제는 사라질 가능성이 없다. 이미 시작되었지만 어느 쪽도 공감할 수 없는 평가제를 계속 해서는 안 되며, 공감대가 형성되는 평가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평가가 보편타당한 제도로 자리 잡기위해서 평가지표와 평가방법 등을 개선하는 작업이 꼭 있어야 한다. 즉, 충분한 논의와 검토를 통해 모두가 인정하고 공감하는 평가제도의 개발이 필요하다 하겠다.;Teachers are key to a education and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a education. Also They has a infinite influence on the students. It becomes more important in connection with their development and prosperity, because we can't expect it without education. In recent days, social perceptions on the importance of education in our society are increased than ever. And educational reform is being pushed forward with a development of education. At this point in time,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and the requirement of it to take root successfully is worth to use preliminary data to success i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students' satisfaction of Teachers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in July and conducts Teachers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in December oncer more, and looks into the teachers' cognizance of change in students'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t would help to find the right direction of the Teachers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were designed. 1. What differences in the result of the students' satisfaction can be showed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2. What differences can be showed between the test result in July and December? 3. How do teachers think about the result of the students' satisfaction evaluation and the improvements of the evaluation? To explore thes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41 teachers in A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have been analyzed about the results of student satisfaction in July Also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ass, the 308 students answered about questions relating to Teachers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To analyze the change of middle school teachers' attitude after Teachers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by students I have selected 15 teachers. And students answered again about the questions that be conducted July Teachers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in December. T-test on statistics data collected were conducted with SPSS 12 program used. The significance level was p<.05, p<.01, p<.001. Before it use, The confidence has been authenticated by Pilot test. Based on the results of changes in satisfaction surveys of teachers to recognize free speech,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average score of the test result which was conducted by 41 middle school students was 4.35 and a standard deviation of it was 0.22 and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according to a background of teaher, because the value scored by students is too similar to show the differences. Secondly, The average of Teachers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in July was 4.38, and it was higher than in December about 0.78. Thes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teaching ability got worse since July. These statistics are very meaningful under p<0.5, p<0.01,p<0.001. Thirdly, teachers trust the test result conducted by students but it was not reflected in their lecture or attitude. Teachers answered that the most influencing factor to them was the professionalism of the lecture. Though they denied the test result conducted in December because it could be affected by external factor, they sad that they would try to improve their ability. They wanted to discuss improvement once in two years, but requested overall modification of assessment items. And they insist that it is not desirable that teacher's service record, incentive, personal matters, etc relate the score and the test result has to be use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Through the study above, the following current topics could be obtained. First of all, there was no arrgument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s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by students. However, students needed the guidance of writing evaluation sheet because some students did not fill in it honestly for example checking same answers or in zigzag way. We have to recognize this problem and try to make students do evaluation voluntarily in the future. The bottom line is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tmosphere that students participate in evaluation honestly and to make a plan to encourage students voluntarily.Secondly, the score of the evaluation in July is much lower than the evaluation in December. As you see, the reasons why the outcome is not satisfactory are that it is not helpful for teachers to find their problems and fix them by themselves and that the government has pushed thoughtlessly. Futhermore, the evaluation process was conducted without clear standards. Nevertheless many experts pointed out the timing of the evaluation, the government pushed ahead it without making improvements and it also contributes to make the evaluation meaningless. The evaluation system has to be modified to maximize its usefulness. Finally, understanding of the evaluation index was insufficient for both assessors and teachers. If the problems has been discovered are fixed partly without understanding the evaluation sufficiently and the evaluation is conducted again, the same problems will occur again and there is no chance to maximize the usefulness of the evaluation system.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bond of sympathy that the evaluation system is essential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modification of the evaluation index, means, and so on is necessary to make the evaluation system contribute the improvements of the education. Even if it takes a long time to develop the evaluation that everyone understands and admits, it has to be don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정의 4 D.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A. 교원능력개발평가 6 1. 교원능력개발평가의 추진 배경과 경과 6 2.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목적 10 3. 학생평가 중심의 교원능력개발평가 12 4.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내용 및 평가방법 14 B. 수업 만족도 17 1. 학습자의 수업만족도 17 2. 학습자 수업만족도의 관련 변인 20 C. 선행연구 분석 21 Ⅲ. 연구방법 25 A.연구대상 25 B. 측정도구 30 C. 자료의 처리 32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3 Ⅴ. 결론 및 제언 46 A. 요약 및 결론 46 B. 논의 및 제언 48 참고문헌 51 부록 1. 학생 만족도 조사 설문지 55 부록 2. 교사 면담 조사지 56 부록 3. 부표 60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28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 분석 및 교사 인식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Teachers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 and a case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s-
dc.creator.othernameLee, Ji Suk-
dc.format.pageviii,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