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7 Download: 0

다문화 가족 내 결혼이민자 여성의 경제적 특성과 소비행태 분석

Title
다문화 가족 내 결혼이민자 여성의 경제적 특성과 소비행태 분석
Other Titles
Study on the economic situation and the consumption culture of the marriage migrant women within the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urban areas
Authors
이승희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숙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economic problems and patterns of consumption, experienced by married migrant women through in-depth interview,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 rapid transformation to the multicultural family causes a variety of troubles and problems at hand. In addition, the recent increase of the married migrant women in urban areas, positively exposed to the consuming environment, causes their own dedicated economic problems and patterns. From this perspective, in this thesis I will discuss how the married migrant women in urban areas manage their purchase, the factors enhancing and relieving, and common patterns of these mutual reactions mentioned. The interview carried out from Mar. ’11 to May ’11 for 11 the married migrant women in Seoul, each interviewee participated twice or three times of in-depth interview every week for 60~90 mins. Especially, the interview covers a variety of method as such the in-person interview for the individual participant, group interview, telephone interview. The venue of the interview was decided upon the preference of interviewee, where they feel comfortable such as home or other personally preferred locations, in the mean time the details of interview has been recorded upon the acceptance of the interviewee then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thesis can be divided into economic attributes of the married migrant women and their consumption culture. To begin with, their economic attributes are as below. Firstly, the economic problems for the married migrant women of multicultural family recognized in connection with various family situations. Even though the income of the family for the married migrant women appears to be less than the average level of income for the families in urban areas, the participants who developed a happy family tends to positively realize their relatively poor economic situation. Secondly, the married migrant women, who joined the Korean culture through the media of “marriage”. So their families have been gived to the limited budgets from other family members, therefore not being able to manage their economic life and consuming actions as a proactive consumer. Thirdly, the married migrant women appeal the difficulties in economic life, especially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family members and the role of housewives in the family group. Next, the consumption culture of the married migrant women can be divided into five aspects as below. Firstly, the married migrant women, who joined the Korean culture through the media of “marriage”, shows a passive pattern of consumption since they feel they still experience the transactional phase. Secondly, their main consuming activity is restricted to the extent of the purchase of groceries only for realizing their existence, not been fairly exposed to leisure activity cause of lack of education and experiences. Thirdly, the married migrant women basically show a burden and fear for the consuming activities. Therefore, of course it depends on countries to countries by in large they tend to make a purchase together with their family members and friends. Fourthly, the lack of education for the economies/consuming activities an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limits the active purchasing activities. Fifthly, the relationships within the family circl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eir own country to help families in economic life and if you were a passive consumer. Finally, a various range of systematic supports and subsidies are in need to encourage the growth of the the married migrant women in urban as a sound consumer accordingly. Firstly, for the purpose of the married migrant women’s soft lending in Korean consuming culture,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shall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ntire situation of the married migrant women in-depth. Secondly, the governmental subsidies shall be provided to encourage the other family members to accept the married migrant women as a real member of family. Thirdly, the various psychological assistances shall be provided so that the married migrant women become a sound member of consumer, family, and society. Fourthly, the economic independence is the main issue for being an active consumer. Therefore, the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married migrant women shall be provided in terms of the strategy of empowerment for them. Fifthly, the entire and specialized one-stop system for the surroundings around the multi-cultural family and the married migrant women shall be established to assist them in case of facing the problems-related and to be utilized as guidance to others in need. Moreover, a various range of the realistic service program shall be provided for the multicultural family and the married migrant women. Firstly, the realistic education shall be provided for the married migrant women to be a sound and active consumer. Secondly, the mentoring and continuous post-case caring service shall be provided to assist the married migrant women mentally relieved. Thirdly, a various range of program shall be continuous provided for other family members of the married migrant women. Parent education .the economic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nd so on shall be provided. Furthermore, not only for the married migrant women, but also the study for the economic situations and patterns of consumption in the various surroundings shall be investigated.;본 논문은 질적 연구의 방법 중 하나인 심층면접을 토대로 다문화 가족의 결혼이민자여성이 겪는 경제적 문제 및 소비문화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문화 사회로의 급격한 변화는 국제결혼을 통한 결혼이민자 여성들에게 다양한 고민과 문제점을 가지게 하였다. 더불어 도시지역의 결혼이민자들은 소비환경에 적극적으로 노출이 되어 이들만의 경제적 문제 및 소비문화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시가계의 결혼이민자 여성들이 한국에서 소비생활을 어떻게 하고 있으며, 소비생활을 강화시키거나 약화시키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이것들과 상호작용하여 나타나는 적응유형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 참가한 결혼이민자여성은 모두 11명으로 서울의 도시에서 거주하는 대상자로 심층면접은 2011년 3월부터 5월까지 실시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별로 주1회를 간격으로 60분~ 90분동안 2~3회에 걸쳐서 면접을 실시하였다. 특히, 대면 면접(in-person interview)과 다른 결혼이민자 여성들과 함께 집단면접(group interview), 추가적인 연구에 대해 전화 면접(telephone interview)을 고루 실시하였다. 면접 장소는 이들의 집이나 이들이 편하게 생각하는 환경에서 이루어졌으며, 면접 내용은 피면접자의 사전 동의를 얻어 녹음한 후, 녹음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결혼이민자 여성의 경제적 특성과 소비행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우선 이들의 경제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의 여성 결혼이민자 여성들에게 경제적 문제는 다양한 가족상황과 맞불려 이해되고 있다는 점이다. 원만한 가족관계는 경제적 상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생활하고 있다. 둘째, 결혼이민자 여성들은‘국제 결혼’이라는 방법으로 가족원으로 인정이 되었기에, 이들에게 가족 내의 경제적 권한과 관계되는 것으로 결혼이민자 여성에게 수입과 지출의 주체성을 부여하지 않고 있다. 셋째, 결혼이민자 여성들은 실제로 경제활동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고, 주부이자 자녀의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부여받고 있기에 경제활동을 통한 소득을 가지고 싶지만 실제로 어려움을 호소하며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있기도 했다. 다음으로 결혼이민자 여성의 소비행태에 대한 연구를 요약해 볼 수 있는데, 다섯가지로 나타나고 있었다. 첫째, 결혼이민자 여성은 다른 나라에서 ‘결혼’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한국문화에 유입된 사람들로서 문화적응 단계에서 소극적인 소비의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한국사회에서 제대로 된 여가활동에 대한 교육과 경험이 부족한 상황에서 소비활동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고 ‘즐거움’을 경험하는 소극적인 여가활동으로 의미하고 있었다. 셋째, 결혼이민자 여성들은 근본적으로 소비에 대한 부담과 두려움으로 인하여 대체로 다른 가족원이나 친구와 함께하는 동반소비를 지향하고 있었다. 넷째, 특히 결혼이민자 여성들은 구매수단에 대한 정보와 지식이 부족했다. 통장과 신용카드의 유무에 있어서 자신의 이름으로 된 구매수단을 가지지 못한 여성이 많았다, 다섯째, 가족관계 내에서 결혼이민자 여성 자신의 본국의 원 가족에게 경제적인 도움을 주고 있는 경우 소극적인 소비생활을 하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도시가계의 다문화 가정의 결혼이민자 여성의 건강한 소비자로의 성장과 경제적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다양하고도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정책적으로 첫째, 결혼이민자 여성의 전반적이고도 심층적인 경제적 문제 및 건강한 소비생활의 적응을 위하여 국가 및 지역 지자체 단위의 심층적인 실태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결혼이민자 여성을 둘러싼 다른 가족원들의 의식 함양을 위한 국가단위의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셋째, 결혼이민자 여성의 잠재력을 개발시켜 건강한 소비자, 가족원, 사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심리적인 체계가 필요하다. 넷째, 이들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소비자로 자리매김 하는데 이들의 경제적 자립이 주요한 이슈이다. 따라서 결혼이민자여성의 임파워먼트(empowerment) 전략과 관련하여, 이들을 위한 직업교육 등이 절실히 필요하다. 다섯째, 다문화가족과 결혼이민자여성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전반적이고도 전문적인 원스톱(one-stop)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실제로 이들이 필요로 하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손쉽고 신속하게 해결하고 또다시 이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더불어 다문화 가족과 결혼이민자 여성들을 위한 실질적이고 다양한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결혼이민자 여성 스스로가 적극적이고 건강한 소비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소비자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결혼이민자 여성들이 심리적 안정을 위해 상담, 멘토-멘티의 지속적인 연결, 꾸준한 사례관리 등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원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부모교육이나 자녀 경제교육등을 제공해야 한다. 더불어 결혼이민자 여성 뿐만 아니라 이들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내의 경제적 상황 및 소비행동에 대한 연구가 추후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