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7 Download: 0

가계특성에 따른 자산효과 분석

Title
가계특성에 따른 자산효과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Wealth Effects on Domestic Household : Considering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Authors
임혜린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은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omestic household wealth taking into account the effects of observed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to derive meanings and policy implications. The real asset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of Korean household wealth. The household wealth composition is differentiated by income level and the age of householder. The household wealth is classified into three kinds of assets: housing, real estate and financial asset. As for measuring the housing wealth, it includes the wealth of renters as well as homeowners. The analysis uses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from 1999 to 2007 to examine household wealth effects.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 the 1% rise in total wealth increases consumption by 0.026% for households. After analyzing wealth effects with respect to the wealth components, the result suggests that housing and real estate wealth effect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financial wealth does not affect household consumption. The equity share in financial wealth of households affects consumption. Only the homeowners consumption is affected by the changes in housing wealth. The result also supports the heterogeneity in the real wealth effects across age cohorts of householders. Real wealth effects for householders in their 40's and 50's are larger and more significant than the rest. The effect of capital stock wealth on household consumption rarely varies by age cohorts. The sensitivity of the household wealth effects depends on the proportion of total wealth and the nature of the assets. The higher fraction of household total wealth and the more liquid asset amplifies the corresponding wealth effects on the consumption. Especially the equity share in household wealth significantly affects the consumption despite the low proportion of total wealth, due to its liquid nature. In addition, the majority of households tend to hold wealth in equities, raising the influence of capital market fluctuations on household consumption. Judging from the result of differences in wealth effects by age cohorts, the wealth effects on consumption will be lower in the aging society. To stimulate household consumption, the government may implement relevant policy measures to encourage financial market development as well as housing market.;본 연구는 가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국내 가계의 자산효과를 살펴보고 의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은 실물자산에 편중되어 있으며, 가계의 자산구성이 가구주의 연령과 소득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가계자산을 주택자산, 부동산자산, 금융자산으로 세분화하였고, 주택자산 계산시 전세 및 월세 가구도 포함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노동패널조사를 사용하였으며, 분석기간은 1999년부터 2007년까지이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가계의 총자산이 1% 증가할 때 가계의 소비는 0.026% 증가하였다. 개별자산의 자산효과를 분석한 결과 주택자산과 부동산자산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온 반면, 금융자산은 소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가계소비는 금융자산 하위 항목인 주식자산 변동에는 영향을 받았다. 자가소유 가구의 소비는 주택자산의 변동에 영향을 받았지만 전월세 가구의 소비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가구주의 연령이 40대와 50대인 가계의 실물자산의 자산효과가 다른 연령대의 가계보다 더 크고 유의하게 나왔다. 주식자산은 연령에 관계없이 전체 가계 소비에 영향을 주었다. 가계의 자산효과는 개별자산의 비중과 자산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산의 비중이 클수록, 유동성이 높을수록 자산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실물자산의 자산효과는 전체소비의 주를 이루는 40대와 50대 가계에서 유의하게 나타났고 자산 중 실물자산의 비중도 크기 때문에 가계소비는 부동산시장의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다. 주식자산은 비중이 낮은데도 불구하고 가계 소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유동성이 높은 주식의 성격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가계가 주식자산의 비중을 점차 늘리고 있으므로 향후 주식시장의 움직임은 가계 소비에 더욱 큰 영향을 줄 것이다. 가구주 나이가 60대 이상인 가계의 실물자산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점에서 향후 인구구조가 고령화되면 국가 전체의 자산효과가 작아질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정책 측면에서 부동산정책이 소비에 주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으며 정부는 금융시장 활성화를 통해 소비를 증가시키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가계의 자산구성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