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준식-
dc.contributor.author유현주-
dc.creator유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9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1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7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129-
dc.description.abstract1885년 최초의 선교사가 내한한 이래, 한국 개신교의 역사는 1세기를 지나며 본질과 성숙을 고민하는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현재 한국은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며 종교다원주의가 현저히 나타나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러한 다종교 상황에도 불구하고 한국 개신교에 대한 연구는 개신교 신학의 배타적이고 호교론적인 테두리 안에 머물고 있는 경향을 보인다. 이 글은 이러한 시각에서 벗어나 한국적 개신교의 특성을 관찰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개신교에서 나타나는 개성적 면모를 한국 전통종교 중 특히 무교와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무교는 한국 문화의 기층을 형성하는 심층적 문화 원리로서 한국인의 종교와 문화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무교는 한국의 기층종교이면서, 역사적으로 볼 때 외래종교에 대하여 수용적인 태도를 가져왔기 때문에 개신교 문화와도 다양한 접촉점이 존재할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이 글에서는 신앙·교리적 차원, 제의적 차원, 경험적 차원, 사회적 차원으로 범주를 나누어 한국 개신교의 무교적 특이성을 짚어보았다. 신앙·교리적 차원에서는 한국 개신교인들이 이해하고 있는 하나님과 성령의 개념을 무교의 신관(神觀)과 비교해보았으며, 교회 내의 기복적인 신앙 경향과 죄와 회개에 대한 무교적 이해를 살펴보았다. 제의적 차원에서는 한국 개신교의 대표적인 예전인 예배, 새벽기도회, 산기도와 기도원 집회, 부흥회, 신유(神癒)와 축사(逐邪)집회를 통해 무교적 종교성이 교회의 의식 속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보았다. 경험적 차원에서는 신비체험을 중시하는 한국인의 종교 성향을 바탕으로 개종1세대의 종교체험과 해방 이후 한국 개신교에서 나타난 은사주의적 경향 속에서 무교적 양상을 찾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차원에서는 사제관과 심방, 속회(구역예배) 제도를 통해 무교와 한국 개신교 문화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들을 검토하였다. 이상의 현상학적 비교분석을 통해 무교와 한국 개신교 간의 다양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현재 한국 개신교 문화의 내용적 기반 중 많은 부분이 무교적 전통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추론해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한국 개신교의 개성적 면모를 이해함에 있어서 기독교 우월주의적 태도에서 벗어나 이에 영향을 준 한국의 종교 전통, 특히 무교의 종교성을 긍정적으로 해석해 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가능한 한 다각도에서 개신교와 무교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노력했지만 여전히 많은 미비점들이 보인다. 먼저 한국 개신교의 전개과정에서 정치·사회적인 맥락을 언급하지 못했으며, 비슷한 시대적 상황에서 개신교가 전파된 다른 문화권의 사례를 비교해보지 못했다. 또한 1990년대 이후 급성장한 후발대형교회에서 나타나는 양상들을 다루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The history of Korean Protestantism has entered into the period of agonizing its essence and maturity since 1885 when the first missionary visited Korea. Presently, Korea is in the situation in which a variety of religions coexist and religious pluralism is noticeably appearing. Despite this multi-religions culture of the present, studies on the Korean Protestantism seem to stay within the rim of self-protecting and exclusive characteristics of the theology of Protestantism. This research started from the critical mind free from the viewpoints in order to observe the singularity of Korean Protestantism. This thesis tries to look into the special aspects appearing in the Korean Protestantism in relation to the Korean traditional religion, especially shamanism. Shamanism deeply affected Korean religion and culture as the cultural fundamental, forming the basic floor of Korean culture. It is deducible that shamanism will share several aspects with the Protestant culture both because shamanism historically has been eclectic toward foreign religions and it is still the base religion of Korea.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shamanistic singularities of Korean Protestantism in several categories: religious and doctrinal, suggestive, experiential, and social levels. For the religious and doctrinal level, the concept of God and the Holy Spirit has been compared to shamanistic understanding, and the shamanistic interpretation of sin, repentance and the aspect of praying luck within the churches has been researched. In the suggestive level, this research tries to see how shamanistic religion acts in the church through representative religious ceremonies of Korean Protestant churches such as service, praying in the mountains, prayer house assembly, revivals, divine healing, and exorcism. For the experiential level,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religious style which regards mysterious experience as important, shamanistic aspects have been studied within the tendency of Charismatic Movement appeared in the Korean Protestantism after the national emancipation in 1945 and religious experience of the first generation who converted to Protestantism. Finally, this research reviewed aspects which commonly appeared in both Korean shamanism and Protestantism through researching priest’s office system and shimbang (visiting service tradition of Korean shamanism), and sokhwae (class meeting, quarter service system) for the social level of research. Through this phenomenological analysis, it was possible to find out a range of common aspects between shamanism and the Protestantism of Korea. Overall, it was deducible that considerable parts of the contents of the present Korean Protestantism were influenced by shamanistic tradition. What will be meaningful in this thesis is trying to interpret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Korean religion, especially shamanism, as a religion by itself, not defining it from the Christian chauvinism when trying to understand unique aspects of Korean Protestantism. Although this research tries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stantism and shamanism from a wide variety of angles as much as possible, there are still several imperfections: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in the developing process of Koran Protestantism and cases of other cultures into which Protestantism has been spread have not been mentioned. Also, there is still wishful sense of researching further into aspects appearing in large-sized churches grown fast lat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들어가는 말 1 A. 문제제기와 연구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4 C. 연구범위와 방법 9 Ⅱ. 한국의 개신교와 무교 10 A. 한국인과 개신교 10 1. 한국 개신교의 전래상황과 한국적 적응 10 가. 성령운동의 영향을 받은 선교사들 10 나. 개종 1세대의 종교적 성향 12 2. 1907년 대부흥운동 이후 개신교회의 성장 15 B. 무교 17 1. 무교의 정의 18 2. 한국인과 무교 21 3. 무교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배타적인 태도 23 Ⅲ. 한국 개신교와 한국 무교의 접촉점 28 A. 신앙 · 교리적 차원 28 1. 지고신(至高神)인 하나님 29 2. 성령(聖靈) 32 3. 기복신앙 33 4. 죄와 회개의 문제 36 B. 제의적 차원 38 1. 예배 39 2. 새벽기도회 43 3. 산기도와 기도원 집회 48 4. 부흥회 52 5. 신유와 축사집회 59 C. 경험적 차원 62 1. 신비체험을 중시하는 한국인의 종교 성향 64 2. 개종1세대의 종교체험에서 나타나는 무교적 양상 65 3. 해방 이후 한국 개신교의 은사주의적 경향 68 가. 방언과 입신 70 나. 예언 73 D. 사회적 차원 75 1. 사제관(司祭觀) 75 2. 심방(尋訪) 78 3. 속회(屬會 : 구역예배) 80 가. 가족 단위로 구성되는 한국 속회 81 나. 여성의 역할이 주체가 되는 한국 속회 82 4. 성미 84 Ⅳ. 맺음 말 86 참고문헌 89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90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개신교에 나타난 무교적 성격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hamanistic Characteristics seen in Korean Protestantism-
dc.creator.othernameYoo, Hyun Joo-
dc.format.pagevi,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