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5 Download: 0

1980년대 미술에 나타난 차용(appropriation) 방식 연구

Title
1980년대 미술에 나타난 차용(appropriation) 방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ppropriation Strategy of 1980’s Art
Authors
류민정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본 논문은 1980년대 미술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미술의 차용(appropriation) 방식을 참조대상에 따라 나누어 분석한 연구이다. 기존의 이미지나 오브제를 자신의 작품에 그대로 사용하는 ‘차용’은 포스트모던 사진가들과 모조주의(Simulationism) 미술가들의 작업에서 널리 사용되어 온 전략이다. 핼 포스터(Hal Foster)와 프레드릭 제임슨(Fredric Jameson)과 같은 일부 비평가들은 이러한 차용미술 작업을 종종 독창성을 포기한 작가들의 무기력한 복제물로 치부해왔다. 그러나 본고는 차용을 모더니즘의 기본 전제에 의문을 제기하는 저항적 포스트모더니즘의 한 전략으로 보고, 차용미술(Appropriation Art)의 역사적·이론적 문맥과 함께 그것이 모더니즘의 독창성과 순수성 신화를 해체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19세기 중반부터 1950년대에 이르기까지 모더니즘 미술은 예술의 자율성을 추구하는 가운데 형식실험을 지속해왔다. 특히 형식주의 모더니즘의 기틀을 세운 이론가 클레멘트 그린버그(Clement Greenberg)는 독창성과 순수성을 미술이 도달해야 할 목표로 설정했다. 그러나 형식주의 모더니스트들의 원본성과 순수성에의 맹목적 지향은 1960년대 중·후반부터 시작된 포스트모더니즘 논의와 더불어 다각도로 재고되고 비판받기 시작했다. 차용은 그러한 비판의 한 전략으로서, 일관된 주체의 죽음을 선포한 후기구조주의의 대전제를 기본입장으로 하여 20세기 초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이 레디메이드(readymade)를 통해 보여준 비판적 제스처를 되살린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매체상의 분류를 고수하기보다는 참조대상에 따라 차용미술가들을 분류하여 각각의 전략에 나타난 특징이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차용미술가들이 차용하는 대상이 이들이 비판하고자 하는 형식주의 모더니즘의 측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먼저 참조대상을 미술 내부에서 찾은 경우와 외부에서 찾은 경우로 분류하였다. 미술 내부에서 참조 대상을 찾은 경우는 다시 모더니즘 미술 이미지를 차용하는 경우와 양식을 차용하는 경우로 세분할 수 있다. 모더니즘 미술 이미지를 차용한 대표적인 예로는 모더니즘 거장 사진가들의 사진을 그대로 찍은 셰리 르빈(Sherrie Levine)과 모더니즘 회화뿐 아니라 그 창조자의 행위까지 차용한 마이크 비들로(Mike Bidlo)가 있다. 또한 모더니즘의 미술 양식을 차용한 대표적인 작가로는 기하추상 양식을 차용한 피터 핼리(Peter Halley)와 추상회화 양식 전체를 차용한 앨런 맥컬럼(Allan McCollum)이 있다. 이처럼 미술 내부에서 참조대상을 찾은 경우는 미술을 통해 미술에 대해 이야기 한다는 점에서 메타미술이라고 할 수 있으며 모더니즘의 독창성 신화를 해체하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미술 외부에서 참조 대상을 찾은 경우는 소비사회 이미지를 차용하는 경우와 상품을 차용하는 경우로 세분할 수 있다. 소비사회 이미지를 차용한 대표적인 작가로는 대중문화 이미지를 재촬영한 리처드 프린스(Richard Prince)와 상품 로고나 기호를 차용한 애슐리 비커튼(Ashley Bickerton)이 있다. 마지막으로 상품을 차용한 대표적인 예로는 상품뿐 아니라 모더니즘 미술 경향들을 한꺼번에 차용한 제프 쿤스(Jeff Koons)와 일상용품을 물신처럼 제시한 하임 스타인바흐(Haim Steinbach)가 있다. 이와 같이 미술 외부에서 참조대상을 찾은 경우는 후기자본주의 소비사회와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을 반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모더니즘의 순수성 신화를 부정하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차용미술가들은 ‘차용’이라는 동일한 양식을 공유하고 있으나 그 안에 담긴 내용은 상당히 다양하다. 그러한 다양성은 차용이 이론적 기반으로 삼은 포스트모던 이론이 다원성을 포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형식주의 모더니즘이 단일한 이상만을 추구했기 때문에 위기를 맞이했으므로 그것을 해체하고 재구축하는 데 있어서 그와 다른 방식이 고려된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과정일 것이다. 차용미술가들은 모더니즘이 지향하는 독창성과 순수성의 신화가 허구임을 입증하는 가운데 모더니즘 이후의 미술이 나아가야할 하나의 방향을 제시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riticisms on formalistic Modernism by scrutinizing appropriation strategy of 1980's art in relation to different references. Appropriation strategy which allows the artist to apply pre-existing images or objects without limit has often been criticized for its lack of originality. Howev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valuate appropriation as part of postmodernism of resistance which casts doubts upon the fundamental values of modernism and to study the dissolution of the myth of originality and purity as well as the context of historical and theoretical frame works of Appropriation Art. Modernism, based on a progressive view of history influenced by the Enlightenment, bloomed in earnest in mid-19th century and it has persisted in formalistic experiments pursuing artistic autonomy. This tendency was epitomized by the works of 1950’s formalistic Modernists along with its prominent art critic Clement Greenberg. They strongly believed that an artistic creation could embody complete authenticity. Also, they argued that originality was the only way to separate art from kitsch, the low or popular culture, and secure it in a sacred place. Nevertheless, this craze for originality and purity has been criticized and re-evaluated in various aspects of postmodernism movements which began in the middle and towards the end of 1960’s. Appropriation is part of this paradigm shift and could be understood as a revived example of critical gesture which was suggested earlier in the readymades of Marcel Duchamp. Appropriation Art was on the rise from the late 1970’s and finally made a breakthrough in 1980’s. The term ‘appropriation’ is most commonly used by postmodernist photographers and Simulationist artists since it means ‘to borrow’. In this paper, however, the attributes of each strategy applied by Appropriation artists in relation to their references, rather than their medium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ose who found the references within the realm of art were revealed to focus on dissolving the myth of originality whereas those who found them beyond the boundaries of art were proven to disband the myth of purity. The artists who appropriated within art are as follows. Sherri Levine (1947~) disclosed the repetitiveness within modernism by re-photographing the pictures of prominent modernist photographers. Mike Bidlo (1953~) urged re-evaluation of modernism by appropriating not only the paintings of modernism but also the conducts of its creators. Peter Halley (1953~) represented a society and simulated the system with geometric abstraction which had been closely related to transcendent values. Lastly, Allan McCollum (1944~) raised the question of commercial values of art by appropriating the framework of abstract paintings. The artists listed above shared the common belief in meta-art. On the other hand, the appropriation artists who found their references outside art are as follows. Richard Prince (1949~) pondered upon the process of manipulation of the real by re-filming the images of popular culture. Ashley Bickerton (1959~) made his works to be interpreted in surrounding contexts by hyperrealizing secondary elements of art which had been deliberately ignored or hidden in modern art. Jeff Koons (1955~) not only appropriated the attributes of commercial products as well as modernism art forms indiscriminately but also kitschified the identity of himself. Lastly, Haim Steinbach (1944~) intentionally blurred the boundaries between a product and art by combining everyday objects and the shelves designed by him. The works of these artists proved the influence of consumerism of capitalism and mass media on art. Although the Appropriation artists share the common mode of method, appropriation, their ways to realize its form are diverse and distinctive. The root of diversity in Appropriation Art could be traced back to its theoretical background, postmodernism which emphasized pluralism. Since the pursuit of one doctrine and uniformed idea is the cause of the collapse of Modernism, it is inevitable that diverse methods were applied to dissolve and reconstruct its value. The Appropriation artists proved that not only that the myth of originality and purity is not a prerequisite for art to subsist but also art will be less violent and more fruitful without 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