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1 Download: 0

朝鮮 前期 王陵 武石人 硏究

Title
朝鮮 前期 王陵 武石人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Stone Statues of Military Officials at Royal Tombs of the First Half of Joseon Dynasty
Authors
조영서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선표
Abstract
This paper is designed to define the significance of early Joseon Dynasty’s stone statues of military officials(武石人)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Buddhist Art at the time. The royal tombs of Joseon Dynasty, the stone men and stone animals, comprises of scholarly officials along with stone sheep, stone tiger, stone horse and military officials. The stone statues of military officials armed with armor and helmet first appeared in Hyeonjeongreung(the royal tomb of King Gongmin of Koryo Dynasty, 玄正陵) then was passed on to royal tombs of Joseon. The researcher studied the stone statues of the Mausoleum of Song, especially the stone statues found in the Mausoleum of Southern Song to identify the origin of stone statues of military officials in Hyeonjeongreung of Koryo Dynasty. This research was necessary in order to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origin of early Joseon Dynasty’s stone statues of military officials. After losing its capital Kaifeng to Jingkang Incident(靖康事變), Southern Song did not install stone statues in royal tombs, believing that they would restore their lost territory and remove the royal tombs. However, they still installed stone statues for the Mausoleum. They were mostly located along the Dongqian Lake in Ningbo, Zhejiang Province(浙江省 寧波 東錢湖). There are two types of stone men; the scholarly officials and military officials. The youth of officials was distinguished by the presence of beard. This particular attribute is well reflected in the stone men in Hyeonjeongreung which proves that the origin of its development could be traced back to the Mausoleum of Southern Song. The stone statues placed before the tomb and royal tombs were designed and built according to the strict codes of the proprieties in Joseon Dynasty which was founded on the ethics of Neo-Confucianism. At the early stage of its development, Joseon mostly followed the systems of Koryo; therefore, resemblances are easily witnessed in the stone statues from both periods. During King Sejong’s reign, the Old Laws(古制) were studied as an attempt to establish the codes of the proprieties and these efforts were realized as The Annals of King Sejong(『世宗實錄』) Five Rites(「五禮」). After Five Rites(「五禮」), the stone statues of military officials confirmed its designation and their sizes. Stone horses were also placed behind the stone men. They were added as part of the Old Laws(古制) and this particular code is believed to be from the Southern Song. The construction of a royal tomb was based on this system. For the national funeral of the King and Queen, three organizations(山陵·國葬·殯殿都監) were temporarily appointed to execute the procedures. The stone statues were produced by Daeboosukso(大浮石所) which belonged to Sanreungdogam(山陵都監). The stonemasons from Seongonggam(繕工監) were drafted to Daeboosukso(大浮石所) for the job. However, many stonemasons were in demand in order to complete the job within limited time. Furthermore, skillful masters of stone art were required as the stone statues of the royal tombs represented the power of the royal family as well as embellished the tombs. For this reason, the role of the mater monk-craftsmen was reviewed. The development and attributes of the early Joseon Dynasty’s Stone Statues could be observed and categoriz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extends from Taejo(太祖) to Sejong(世宗). During this early phase, the stones statues of military officials at Hyeonjeongreung carried on the legacy of Koryo Dynasty. The second period is from Moonjong(文宗) to 25th year of Joongjong(中宗) when the stone statues of military official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The Annals of King Sejong(『世宗實錄』) Five Rites(「五禮」) and The National Five Rites (『國朝五禮儀』). Various attempts were made to gain independence from the legacy of Koryo and lay the foundation for Joseon’s own unique style of art. The last period covers from the 32nd year of Joongjong to Myeonjong(明宗). Details in decoration were expanded to overcome the rigid shape of pillars under the influence of stone statues of military officials as the perspective towards Ming Dynasty was changed after Joongjong. In addition, the researcher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Joseon’s stone statues of military officials and the guardian gods of Buddhism and tried to define its significance. The stone statues of military officials at Hyeonjeongreung of Koryo, which are believed to be the origin of the early Joseon’s stone statues of military officials, were the first armed stone statues of military officials in armors and helmets. The attribute of the structure could also be found in statues of the guardian gods of Buddhism at the time. Also, the early Joseon’s stone statues of military officials are in accordance to the guardian gods of Buddhism at the time. From the observations above, the researcher put forward the following conclusion that this concordance of styles was possible as both the stone statues of military officials and the guardian gods of Buddhism symbolized protection and the monk-craftsmen were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stone statues of royal tombs of the first half of Joseon Dynasty.;본 논문은 조선 전기 왕릉 武石人에 관한 것으로 조성배경과 양식의 변화 그리고 동시대 불교미술과의 관계 및 그 의미를 밝히려는데 목적이 있다. 조선왕릉 석인·석수의 구성은 문석인, 석양, 석호, 석마에 무석인이 더해짐으로써 완성된다. 무석인은 왕릉에만 세울 수 있었기 때문에, 무석인의 존재가 곧 왕릉을 園·墓와 구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점에서 무석인은 왕릉 상설제도를 상징하는 가장 대표적인 석물이라 할 수 있다. 갑주로 무장한 무석인은 고려 玄正陵에서 가장 처음 등장하여 조선에 계승되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조선 전기 왕릉 무석인의 조성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고려 현정릉 무석인의 연원을 밝혀보려는 시도로 송대 능묘 석인상, 그 중에서도 남송대 제후릉의 석인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정강의 변으로 수도 開封을 금나라에 빼앗긴 남송대에는 화북지역을 되찾고 황제릉을 옮길 것이라 생각해 황제릉에 석물을 설치하지 않았다. 그러나 제후릉에는 여전히 석물을 설치했는데, 주로 절강성 영파 동전호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제후릉에 배치된 석인은 文石人과 무석인 두 종류가 있으며, 석인의 늙고 젊음을 수염을 통해 구별하고 있다. 현정릉의 무석인에는 이러한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어 도상의 연원이 남송대 제후릉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리학을 근본이념으로 삼아 건국한 조선에서 석인상을 비롯한 왕릉 석물과 산릉의 조성은 철저히 예제에 따라 만들어졌다. 건국 초에는 주로 고려의 제도에 따랐기 때문에 석인상 역시 고려의 제도와 양식을 따라 마련하였다. 이후 세종대에 들어 조선의 예제를 마련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古制 연구가 이루어졌고 이는 『세종실록』「오례」로 구현되었다. 「오례」이후 무석인의 명칭이 ‘의갑석인’, ‘관대석인’에서 ‘무석인’으로 정해졌고 크기는 길이 9척, 너비 3척, 두께 2척 5촌으로 지정되었으며, 무석인의 뒤에 석마가 추가로 설치되었다. 석마가 추가된 것은 고제에 따른 것이라 하였는데 이때의 고제는 남송의 제도였을 것이라 추론해 보았다. 산릉의 공사는 이렇게 마련된 제도를 바탕으로 진행된다. 왕과 왕비의 國葬에는 山陵·國葬·殯殿都監이 임시로 설치되어 喪事에 관한 모든 일을 담당한다. 그 중에서 무석인은 산릉도감의 大浮石所에서 제작하게 되어 있는데 대부석소에는 선공감에 소속된 석수들이 동원되었다. 그러나 한정된 기간 안에 제작을 마쳐야 했기 때문에 많은 수의 장인들이 필요하였으며, 나아가 왕릉의 석물은 능역을 장엄할 뿐만 아니라 왕실의 권위를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기에 숙련된 기술을 가진 장인들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산릉공사에 동원되었던 승장의 역할을 짚어보았다. 조선 전기 무석인의 현상과 특징은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먼저 태조부터 세종대 까지는 현정릉 무석인의 양식을 계승했던 고려의 유풍이 지속되는 시기로 보았다. 다음은 문종대부터 중종 25년까지로 『세종실록』「오례」와 『국조오례의』에 근거해 무석인을 조성한 시기이다. 고려의 양식에서 벗어나 조선의 양식을 성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마지막은 중종 32년부터 명종대까지다. 중종대 이후 바뀐 對明觀으로 명대 무석인의 영향이 반영되었으며, 사각주형의 신체를 극복하려는 노력으로 세부 표현에 있어 장식성이 확장되었다. 나아가 본 논문은 조선 전기 무석인과 불교 신장상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찾고자 하였다. 조선 전기 무석인의 직접적인 시초라고 할 수 있는 고려 현정릉 무석인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제작된 갑주를 착용한 무장형 석인상이다. 현정릉 무석인의 도상적 특징은 동시대 불교미술에 나타난 신장상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조선 전기의 무석인 역시 동시대 신장상의 이미지를 차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무석인과 신장상이 수호라는 ‘수호’라는 동일한 함의를 지니고 있고, 왕릉 석물 제작에 승장이 참여했기 때문으로 이해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