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손운산-
dc.contributor.author이정원-
dc.creator이정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3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7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384-
dc.description.abstractThe new generations who live in an affluent and free society tend to have difficulties in joining military service that requires strict regulations and corporate life styl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some realistic caring programs for these soldiers, especially the participants in Green Camp.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Hope making Program" to materialize pastoral care of hope to Green Camp participants and to verify its effects, then to find its pastoral implication. To do this, this research combined the methods of documentary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First, by theological and psychological documentary research on hope, I found the curative implication as the basis for curative methodology. Also I reflected the basic concept of psychological ground which is the hope as a power to enhance one's ability based on their goal. That hope is the promise for the ultimate nature which can overcome the pain of the present and can lead to find the strength for theological grounds. The developmental method for this program is first to fi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for military misfits, then search for the therapeutically methodology to solve the problems, effects of controlling anger and forgiveness, hope to reinforce positive psychology and quality of life and applica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one's strength. Second, I conducted the data analysis on meaningful concepts and did a survey. The components of this program drawn out from these procedures is the hope training, such as improving self-esteem, realization of one's tendency towards anger, controlling anger, training for forgiveness, techniques for communication, ment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one's mi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o find the goals and strengths of one's life. With the empirical study, I applied the developed program to Green Camp participants to prove its effectualness. To do this, I performed a "Hope making program" to 27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Green Camp of ○○ Division who participated from 2 August 2010 to 24 September. I divided the group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analyzed them with SPSS program to find out how 9 periods of Hope making Program can affect the participants in their self-esteem, realization of one's tendency towards anger, controlling anger, training for forgiveness, techniques for communication, ment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one's mind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each group I have conducted preliminary and post research to compare the collected results of self-esteem, quality of life, anger, hope and problem-solving ability by t-test. After verifying the results for this program, every aspect showed higher average value in post research than preliminary research.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meaning to the results. The reason for this non statistical meaning is due to the small number of sampling, and there was no motivation to the anxious and depressed participants who in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fter the program, every aspect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changes but in controlled group, every aspect has worsened, and this tendency is somewhat meaningful. With these research results from Green Camp participants, the hope suggested here with the pastoral care is the hope of a goal, pain-faced, interpretation and promise. Also, I suggest the implication of military context as a field of healing, transition and care.;풍요롭고 자유로운 사회에서 생활하던 신세대들은 군입대와 함께 획일적 통제 및 단체 생활이 요구되는 군 생활과의 이질감으로 인해 적응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군 복무 부적응 병사들 특히 그린캠프 입소자들에게 구체적인 돌봄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과제는 그린캠프 입소자를 대상으로 희망의 목회적 돌봄을 구현하기 위한 “희망 만들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해 보며 이에 대한 목회상담적 함의를 찾아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현재의 고통을 넘어서는 궁극적 실체에 대한 약속으로서의 희망에 대한 신학적 근거와 강점을 발견하고 목표를 통한 지각된 능력을 고양시키는 힘으로서의 희망이라는 심리적 근거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의 기본적 개념을 설정하고 이를 프로그램에 반영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복무 부적응자의 심리적 특성과 실태를 살펴보고, 치료적 방법론으로서의 문제해결치료와 분노조절 및 용서의 효과, 삶의 질과 긍정심리 역량 강화를 위한 희망과 강점개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한 뒤 의미 있는 개념들을 기초 자료 분석 및 설문을 통해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출된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문제 해결력을 통한 자존감 향상 훈련, 분노 성향에 대한 인식과 분노조절 및 용서 훈련, 의사소통 기술, 심리 정서적 측면, 대인관계 능력을 통한 삶의 질 향상 훈련, 목표와 강점 발견을 위한 희망 훈련이다. 실증연구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그린캠프 입소자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8월 2일부터 9월 24일까지 00사단에서 그린캠프에 들어온 27명의 병사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3주간 동안 실시한 9회기의 ‘희망 만들기’ 프로그램이 참여 대상자들의 자존감, 분노 특성에 대한 이해, 희망, 삶의 질, 문제 해결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를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집단별로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집단 구성원들로부터 수집된 자존감, 삶의 질, 분노, 희망, 문제해결력 척도 검사를 t 검증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에서 자존감, 특성 분노, 삶의 질 전체, 문제해결력의 모든 항목에서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의 평균값이 더 높게 나왔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이유는 표본수가 작고, 피험자의 심리상태가 매우 불안하고 우울감이 높은 대상자들이 비자발적으로 참여한 프로그램이라 동기부여가 전혀 되지 않은 상황임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프로그램 조치 후 실험집단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변화의 경향을 보였으나 통제 집단에서는 오히려 악화된 경향성을 비교해 볼 때 연구 결과는 의미 있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그린캠프 입소자들을 대상으로 목회적 돌봄으로 제시한 희망은 목표로서의 희망, 고통을 직면케하는 희망, 해석으로서의 희망, 약속으로서의 희망임을 밝히고 이를 통해 군이라는 현장은 치유로서의 장, 전환으로서의 장, 돌봄의 장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2 2. 연구 목적과 범위 4 3.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 5 Ⅱ. 희망의 목회적 돌봄에 대한 이론적 고찰 9 1. 희망의 의미 9 (1) 희망의 신학적 의미 10 1) 희망의 의미 10 2) 희망의 근원 13 3) 희망의 힘 15 4) 희망의 부재 17 (2) 희망의 심리적 의미 20 1) 긍정심리학에서의 희망이론 20 2) 희망과 목표 21 3) 희망의 심리적 발달 22 4) 심리학에서의 희망의 힘 24 2. 문제해결치료 26 (1) 문제해결 치료의 개념 26 (2) 문제해결치료의 효과성 28 (3) 복무 부적응자들을 위한 적용 가능성 32 3. 분노와 용서 34 (1) 분노의 이해 34 (2) 군에서의 분노조절의 필요성 36 (3) 분노로 인한 상처 치유로서의 용서 42 4. 삶의 질 43 (1) 삶의 질에 대한 이해 43 (2) 군에서의 삶의 질 46 (3) 긍정심리자본으로서의 희망 48 Ⅲ. 희망 만들기 프로그램 개발 50 1. 군 복무 부적응의 이해 50 2.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53 (1) 병사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55 (2) 군복무 부적응 실태와 관련 연구 58 (3) 10개년 사고사례 분석 60 (4) 선행연구 분석 61 (5) 군 복무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현황과 평가 64 3. 프로그램 구성의 실제 73 4. 프로그램의 진행 76 (1) 프로그램 회기 76 (2) 프로그램 진행방법 87 Ⅳ. 희망 만들기 프로그램의 적용 88 1. 연구방법 88 (1) 연구대상 88 (2) 연구도구 91 (3) 검사도구의 신뢰도 92 (4) 자료처리방법 93 (5) 정규성 검정 94 (6) 연구 설계 95 (7) 연구절차 96 2. 연구 결과 98 (1) 연구 집단의 동질성 검사결과 98 (2) 자존감에 대한 실험결과 99 (3) 특성 분노에 대한 실험결과 100 (4) 삶의 질에 대한 실험결과 101 (5) 희망에 대한 실험결과 105 (6) 문제 해결력에 대한 실험결과 106 3.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 대한 논의 108 (1)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평가 108 (2)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평가 분석 110 (3) 종결소감문에 나타난 평가 112 4. 종합적 논의 116 Ⅴ. 군 부적응자들을 위한 희망의 목회적 돌봄 120 1. 목회적 돌봄으로서의 의미 120 (1) 목표로서의 희망 120 (2) 고통을 직면케 하는 희망 123 (3) 해석으로서의 희망 129 (4) 약속으로서의 희망 133 2. 군에서의 목회적 돌봄에 대한 함의 138 참고문헌 145 부록 1. 참가자 정보 설문지 156 부록 2. 자존감 검사지 159 부록 3. 삶의 질 검사지 160 부록 4. 특성분노 검사지 162 부록 5. 희망 검사지 163 부록 6. 문제해결력 척도 검사지 165 부록 7. 프로그램 평가서 167 부록 8. 종결 소감문 169 ABSTRACT 1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225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군 복무 부적응 병사들을 위한 희망의 목회적 돌봄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Pastoral Care of Hope for Maladaptive Soldiers-
dc.creator.othernameLee, Jung Won-
dc.format.pageviii, 171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