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5 Download: 0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동작류에 따른 과거시제 습득 연구

Title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동작류에 따른 과거시제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Korean past tense acquisition of L1 Japanese learners according to lexical aspect.
Authors
이민아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고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동작류(lexical aspect)에 따른 시제상 사용을 중심으로 한 그들의 과거시제 습득(past tense acquisition) 양상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과거시제는 다른 시제에 비하여 동작류의 기본적인 의미자질인 지속성(durative)과 종결성(telic)의 속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시제이다. 그러므로 이 과거시제를 대상으로 한 제2언어 습득 연구는 그 동안 외국어 교육 분야에서 다양하게 수행되어 왔다. 반면,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일부 연구 이외에 아직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의 과거시제 습득 연구는 좀 더 다양한 국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진다. 기존의 많은 선행 연구들에서 밝힌 시상가설(Aspect Hypothesis, 이하 AH)에 관한 예측은 과거시제 형태소의 습득(past tense morphology acquisition)양상의 경우 달성 동사(achievement verb)를 시작으로 완성 동사(accomplishment verb)와 행위 동사(active verb)를 거쳐 상태 동사에 이르는 습득 순서를 보인다고 하였다(Andersen과 Shirai, 1996). 본고에서는 이 가설을 바탕으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거시제 습득 양상이 시상가설(AH)의 예측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이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학습자의 모어(L1) 변인에 의한 것인지에 초점을 두고 서술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가 과거시제를 습득할 때 동작류의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본어와 한국어의 동사 가운데 동작류가 일치하는 동사들을 가지고 빈칸 채우기 과제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한국어 모어 화자와 양상을 비교하였다. 다음으로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는 숙달도를 기준으로 두 집단으로 재분류하여 학습자의 과거시제 사용 양상이 숙달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시상가설과 관련된 한국어 교육과 외국어 교육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그 문제점을 통해 본고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한국어의 과거시제와 시상가설에서의 과거시제 습득을 본격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와 일본어의 동작류 동사 형태소 관계를 제시하여 한국어와 일본어를 비교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거시제 습득에는 중간 언어 현상이 존재함과 학습자의 모어(L1) 변인에 따른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대상인 실험 참여자 선정 기준과 연구 절차, 연구에 사용되는 빈칸 채우기 과제의 문항 설계 원리를 밝히고, 수집한 자료의 분석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서술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본고는 우선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동작류의 영향을 받아 과거시제를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거시제 사용 양상이 모든 동작류에 걸쳐 한국어 모어 화자와 유사한 과거시제 사용 비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시상가설(AH)에서 예측하는 습득 순서는 밝히는 대신 시상가설(AH)이 범언어적이라는 기존의 경향에 대한 반례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고에서도 달성 동사가 과거시제와 가장 결합이 잘됨을 밝혀냄으로써 동사의 의미자질에 따른 과거시제 습득이 잘 이루어짐을 확인하였고, 시상가설이 예측하는 바와 일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서는 상 집단이 하 집단에 비하여 모든 동작류에서 과거시제를 잘 사용함을 확인하였다. 본고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그동안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시상가설(AH)을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과거시제 형태소 습득에 학습자의 모어(L1)가 변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임으로써 한국어 교육에서의 시상가설(AH) 연구의 폭을 넓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는 숙달도가 낮을수록 동작류에 영향을 받아 과거시제 사용 비율이 다르게 나타나며, 동작류 중에서 ‘달성 동사+과거시제’의 결합이 잘 이루어진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발견은 한국어 교육 현장으로의 환류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한계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연구자는 과거시제 습득에서의 숙달도 변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숙달도 ‘상’인 집단과 ‘하’인 집단으로 집단 구분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 가운데 초급 수준의 학습자를 제외한 중·고급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실제로 모든 숙달도에 걸쳐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거시제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후속연구에서는 초급을 포함한 모든 숙달도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과거시제 습득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숙달도 변인과 모어(L1) 변인의 영향력이 존재하는가를 보다 면밀히 밝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adopts as a scope the tense-aspect use of lexical aspect. and It chooses as subject Japanese Korean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and aims to look into their patterns of past tense acquisition. Compared to other tenses, past tense show the two basic semantic features of lexical aspect.(i.e. durative and telic) most properly. There have been conducted many foreign language studies of tense expression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o far.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of Korean language acquisition except those which target Chinese Korean learners. So, the Korean acquisition study on past tense acquisition need to target Korean learners with more variety of nationalities. According to many previous studies, Aspect Hypothesis predicts the development pattern of past tense morphology acquisition will be done in the order of achievement verb, accomplishment verb, active verb and stative verb (Andersen and Shirai, 1996). This research investigated whether or not the result of a research of Japanese Korean learners' acquisition of past tense is identical to the prediction of Aspect Hypothesis, and that result gave a description of difference between learner’s mother language(L1) variable. This study employed the following steps in order to know whether Japanese Korean learners are affected by lexical aspect when learning past tense. First, I chose Japanese and Korean verbs whose lexical aspects are identical to each other. Second, I made an assignment to fill in the blanks with the chosen verbs. Finally, I compared Japanese Korean learners' patterns of past tense acquisition with Korean native speakers' patterns. Further, this study reclassified Japanese Korean learners by the standard of proficiency and then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the learners' patterns of using past tense according to proficiency. Summarized are the main points the this study made in each chapter. In Chapter I illuminat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I presented study questions of this study through the problems resulting from the discussion of previous Korean and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studies related to Aspect Hypothesis. Chapter II examined deeply looked into past tense acquisition of Korean language and past tense acquisition according to Aspect Hypothesis. Further, I compared the two languages Korean and Japanese by suggesting the relations between verb morphemes of Korean and Japanese lexical aspect; the comparison identified that there exists an interlanguage phenomenon in the process and that there is an influence on Japanese Korean learners' L1 backgrounds. Chapter III explained the followings: (1) the selection criteria for participants, (2) the process of study, (3) the principle of designing questions for the assignment to fill in the blanks, and (4) the analytical method of collected data. Chapter IV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of this study. For the patterns of Japanese Korean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past tense use, Japanese Korean learners used past tense under the influence of lexical aspect, contrary to Korean native speakers. In addition, I identified that high-proficiency group use past tense of all lexical aspect properly compared to low-proficiency group. However, this research identified that there are similar rates of past tense use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Korean learners. As a result, this research did not make clear the order of Japanese Korean learners' past tense predicted by Aspect Hypothesis; this is a counterexample of the existing argument that Aspect Hypothesis is cross-linguistic. Nevertheless, this study identified that semantic features and past tense of verbs are properly acquired by make it clear that achievement verbs are best combined with past tense. It can be drawn from this that some of the above development pattern is identical to those predicted by Aspect Hypothesi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two significances. The one is to verify Aspect Hypothesis which has not been taken up by many Korean acquisition studies by adopting Japanese Korean learners as subjects. and this verification process showed the possible influences of Korean learners' L1 backgrounds on their acquisition of morphemes. So,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e sense that it broaden the range of Aspect Hypothesis in Korean language acquisition. and the other is the return current to the si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identifying that rates of past tense use vary according to lexical aspect (i.e. achievement verb + past tense) in that learners are more affected by lexical aspect as their proficiency is lower.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is study did not investigate the pattern of past tense use of all proficiency levels of Japanese Korean learners. This study just involved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So, on further studies must recruit as participants all levels of Japanese Korean learners for identifying influence of proficiency variable and mother language variable on the Korean past tense acquis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