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선희-
dc.contributor.author최은정-
dc.creator최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6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2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7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21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서사 구조(narrative structure)와 시제상과의 연관성을 밝힌 담화구조가설(Discourse Hypothesis)을 살펴본 후,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가 작성한 서사 담화를 대상으로 가설의 적용 여부와 시제상 형태소 사용 양상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시제상 체계는 시간의 선후 관계 및 내적 시간 구성을 파악하기 위한 중심 요소들을 포함하는 만큼 그 의미 실현 양상 또한 복잡하다. 특히 제2언어 학습자들은 개별적인 한국어 시제상 형태소의 기능 습득만으로는 목표어에 근접한 이해와 생산이 불가능하다. 이에 맥락을 고려한 시제상의 사용이 의사소통에 중요하다는 인식이 요구되며 관련 연구의 활성화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에서 맥락을 고려한 시제상 습득 연구는 아직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서사 담화 자료에 나타난 시제상 사용 조건을 알아보기 위해 이야기 다시쓰기 과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모어화자를 비교 집단으로 설정하여 차이를 밝히고자 했다. 이에 담화구조에 따라 시제상 형태소 사용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고, 숙달도 향상에 따른 변화 양상을 살피고자 했다. 또한 서사 담화 구조에 따라 동작류의 분포가 달라지는가를 살펴 학습자의 시제상 사용 양상을 해석하고자 했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담화구조가설을 주제로 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검토를 통해 얻은 사실들을 바탕으로, 한국어에서 담화구조가설의 적용 여부와 변인 설정에 따른 결과를 고찰하기 위한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연구 문제 해결에 필요한 분석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언어적 맥락 변이와 중간언어 담화구조가설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대상인 실험 참여자 선정 기준과 연구 절차, 자료 수집에 사용된 과제 유형과 개발의 근거를 밝히고 수집한 자료의 분석 방법에 대해 상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술하였다. Ⅴ장은 본고의 내용을 요약·정리하여 본고의 결론과 제언으로 마무리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전경과 배경을 구분하기 위해 시제상의 사용에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전경에는 과거시제의 높은 사용률을 보였고 배경에서는 다양한 시제상의 사용을 보였다. 시제상 사용률 측면에서 상위권 학습자와 하위권 학습자의 시제상 사용 간의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으며 상위권 학습자 집단과 모어화자의 시제상 사용 양상은 전경에 한해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동작류는 담화구조에 따라 분포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담화구조의 구분 기준과 동작류의 세 가지 의미 자질은 시간성 측면에서 시제상의 분포와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적 맥락에 따른 시제상 형태소 사용을 고찰함으로써 한국어 시상 습득 연구 방법의 확대를 모색하였다. 둘째,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생산한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실제적 언어 사용의 양상을 밝힐 수 있었으며 비종결어미를 포함하여 시제상 형태소 전반을 분석함으로써 분석의 영역을 확대하였다. 셋째, 서구권에서 이미 검증을 거쳤던 중간언어 담화구조가설을 한국어에 적용하여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언어 간 비교가 가능했으며 한국어의 특성이 가설 성립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할 수 있었다. 넷째,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상 선택과 사용 조건을 밝혀 한국어 시제상 교수-학습의 설계와 적용을 논의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제한된 담화 유형과 실험 참여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학습자 언어의 변이성 측면에서 언어적 맥락에 주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다양한 배경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여러 장르에 담화구조가설을 적용한 후속 연구가 기대된다. 아울러 상황적 맥락, 심리언어학적 맥락에 주목한 시제상 후속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시제상 형태소 실현 조건을 보다 면밀히 밝힐 수 있기를 희망한다.;This Study has that after examining Discourse Hypothesis which revealed relation between narrative structure and tense·aspect it examines overall whether to apply hypothesis and using patterns of tense-aspect morphology as its object. As Korean tense-aspect system includes core elements to understand the order of time and situation-internal time, realization patterns of meaning is also complicated. Especially, Second Language learners can't comprehend and produce close to target language only based on function of each Korean tense-aspect morphology. So, awareness that tense use considering context is important in communication is required and activation of related study is essential. But, since study on acquisition of tense-aspect considering context is not activated in Korean education, necessity of study is raised. On this study, to investigate using conditions of tense-aspect appeared in narrative discourse of Japanese learners of Korean, I collected data through story-rewriting task and intended to figure out difference by setting up native speakers as a comparative group. So, I intended to analyze whether differences in learners' use of tense-aspect exist according to narrative structure and examined changing patterns according to improvement of proficiency levels in using tense morpheme. Also, I intended to interpret learners' using patterns of tense-aspect by investigating whether distribution of lexical aspect varies according to narrative structure. Composition of this manuscript is as in the following. In Chapter I, I reveal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study and reviewed precedent studies on Discourse Hypothesis. On the basis of the facts acquired by reviewing, I suggested a subject for inquiry to study whether Discourse Hypothesis can be applied and results according to setting up variables. In Chapter II, I studied linguistic context variation and interlanguage Discourse Hypothesis to set up analysis criteria needed to resolve a subject for inquiry. In Chapter III, I revealed selecting criteria of research participants who are target of study, study procedures, task categories used in collecting data and the basis of development and elaborated on analysis method of collected data. In Chapter IV, I wrote study results. In Chapter V, I summarized and arranged contents of this manuscript and finished with conclusions and proposals. After research, I can know that learners present differences in using tense-aspect to distinguish foreground and background. Especially, in foreground using rate of past tense was high and in background various using patterns of tense were identified. In an aspect of using rate of tense-aspect, differences between high-ranking learners and low-ranking learners could not be identified and using patterns of high-ranking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were similar only in foreground. All lexical asp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tribution according to narrative structure and I can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distribution of tense-aspect and, division criteria of narrative structure and three semantic features of lexical aspect in an aspect of temporality.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this sought the expansion of study method on acquisition of Korean tense-aspect by studying use of tense-aspect morphology according to linguistic context. Second, this could reveal the actual language use patterns by analyzing data that learners naturally produce and enlarged scope of analysis by analyzing overall tense-aspect morphology including nonfinal-ending. Third, by applying interlanguage Discourse Hypothesis which is already verified in the West to Korean language and suggesting the results, comparisons among languages were possible and I can study what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influence on validity of hypothesis. Fourth, this offered basic data which can discuss design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of Korean tense-aspect by revealing selection of tense-aspect and using conditions of Japanese learners of Korea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limited discourse types and experiment participants. Also, I carried out study paying attention to linguistic context from an aspect of interlanguage variability. So, targeting learners of various backgrounds, follow-up study which applies Discourse Hypothesis to various genre is expected. Also, through follow-up study which pays attention to situational context and psychological context, I hope to reveal realization conditions of learners' tense-aspect morphology more clos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B. 선행 연구 8 C. 연구문제 26 Ⅱ. 중간언어 담화구조가설 30 Ⅲ. 연구방법 43 A. 실험 참여자 43 B. 연구도구 46 C. 분석방법 51 D. 연구절차 60 1. 예비실험 61 2. 본실험 71 Ⅳ. 연구결과 73 A. 담화구조에 따른 시제상의 사용 73 1. 담화구조에 따른 시제상 사용의 차이 73 2. 전경에서의 시제상 사용의 차이 78 3. 배경에서의 시제상 사용의 차이 80 B. 숙달도에 따른 시제상의 사용 88 1. 담화구조에 따른 집단별 시제상의 사용 89 2. 전경에서의 담화구조에 따른 집단별 시제상의 사용 93 3. 배경에서의 담화구조에 따른 집단별 시제상의 사용 95 C. 담화구조에 따른 동작류의 분포 100 1. 담화구조에 따른 동작류의 사용 100 2. 담화구조에 따른 동작류별 시제상의 사용 103 Ⅴ. 결론 및 논의 122 참고문헌 127 부록 1.학습자용 연구 참여 동의서와 서사문 작성지 140 부록 2.모어화자용 연구 참여 동의서와 서사문 작성지 143 부록 3.숙달도 분류를 위한 시험 문항 146 ABSTRACT 1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432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title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서사 담화에 나타난 시제와 상 습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cquisition of Tense and Aspect appeared in narrative discourse of Japanese Learners of Korean-
dc.creator.othernameChoi, Eun Jeong-
dc.format.pagexi, 14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