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1 Download: 0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과 학습자 인지 양식이 우연적 한국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과 학습자 인지 양식이 우연적 한국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Multimedia Vocabulary Annotation and Learner's Cognitive Style o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in Korean
Authors
백승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과 학습자 인지 양식이 우연적 어휘 학습의 즉각적 효과와 기억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어휘 주석의 유형으로는 텍스트 주석, 그림 주석, 텍스트와 그림의 혼합형 주석, 무주석을 제공하였으며 학습자 인지 양식은 시각형 인지 양식, 언어형 인지 양식으로 구분하였다. 이를 독립변수로 하여 어휘 주석 유형이 우연적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어휘 주석 유형과 학습자 인지 양식이 우연적 어휘 학습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이 읽기 중 우연적 어휘 학습에 효과적일 것인가? 연구 문제 2.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의 유형에 따라 우연적 어휘 학습 효과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 문제 3.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의 기억 효과에 효과적일 것인가? 연구 문제 4.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의 유형에 따라 우연적 어휘 학습의 기억 효과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 문제 5.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의 유형과 학습자 인지 양식에 따라 우연적 어휘 학습 효과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 문제 6.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의 유형과 학습자 인지 양식에 따라 우연적 어휘 학습의 기억 효과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 문제의 검증을 위해 어휘 주석 유형과 학습자 인지 양식을 두 개의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1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와 2차 사후 어휘 평가 점수를 각각 종속변수로 하는 통제 집단 사후 검사 설계를 사용하였다. 국내 소재 2개의 대학 부설 언어 교육 기관에 속한 3, 4급 중국인 학생 43명을 대상으로 학습자 인지 양식을 측정한 뒤 그 결과에 따라 시각형 인지 양식과 언어형 인지 양식으로 나누었다. 이어 다시 전체를 4집단으로 나누어 텍스트 주석, 그림 주석, 텍스트와 그림의 혼합형 주석, 무주석이 제시된 읽기 텍스트를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제공하였다. 그리고 사전 동질성 평가, 읽기 이해 평가, 예고하지 않은 1차 사후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다. 1주일 후 2차 사후 어휘 평가와 회고적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개별 피험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일원 분산 분석, t-검정, Scheffé 사후 검정, 이원 분산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림 주석과 텍스트와 그림의 혼합형 주석을 제공받은 학습 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1차 사후 어휘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텍스트 주석 학습 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은 우연적 어휘 학습의 기억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림 주석과 텍스트와 그림의 혼합형 주석을 제공받은 학습 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2차 사후 어휘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텍스트 주석 학습 집단은 통제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과 학습자 인지 양식이 우연적 어휘 학습의 즉각적 효과 및 기억 효과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텍스트 주석, 그림 주석, 텍스트와 그림의 혼합형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과 그 기억 효과를 촉진시킴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가 일일이 가르칠 수 없는 방대한 어휘에 대한 교수 대안으로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을 활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습자 인지 양식에 따른 우연적 어휘 학습의 효과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개인의 인지 양식과 선호하는 자료 유형의 형태가 다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학습자 개인차를 고려한 다양한 유형의 교수 자료를 제공하여 자발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제언하였다.;This study intends to inspect the effects of multimedia annotation and learners’ cognitive style on the immediate and memory effects of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s for the type of annotation, text annotation, picture annotation, text-picture mixed annotation and non-annotation were presented. And as for learners’ cognitive style, it was divided into the visualizer and verbalizer. Setting these above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measurement was done for the effect of annotation type on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nd for the interaction effect of annotation type and learners’ cognitive style on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o verify this, research topics were set as follows: 1. Is multimedia annotation effective on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in reading?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ccording to the type of multimedia annotation? 3. Is multimedia annotation is effective on the memory effect of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4.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mory effect of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ccording to the type of multimedia annotation? 5.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effect according to the type of multimedia annotation and learners’ cognitive style? 6.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mory effect of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ccording to the type of multimedia annotation and learners’ cognitive style? For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topics, setting the type of annotation and learners’ cognitive style as two independent variables, posttest design for control group was conducted with the dependent variables of scores of the immediate and delayed posttest vocabulary tests, respectively. Measured learners’ cognitive style for adult intermediate Korean as Second Language learners of chinese speakers(N = 43). As the result, it was divided into visualizer and verbalizer. After dividing the entire into 4 groups, reading text presenting text annotation, picture annotation, text-picture mixed annotation and non-annotation was given in the multimedia environment. And, homogeneity pretest, reading comprehension test, unannounced immediate vocabulary posttest were conducted. After a week, delayed vocabulary posttest and retrospective vocabulary test were conducted with interview for the individual subjects. Analysis was done for collected data using one-way ANOVA, t-test, Scheffé post-hoc test and two-way ANOVA. As the experiment results, first multimedia anno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 learning group provided with picture annotation and test-picture mixed annotation scored higher than control group at the immediate vocabulary posttest,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ext annotation learning group scored higher than control group but it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multimedia anno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emory effect of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 learning group provided with picture annotation and test-picture mixed annotation earned higher scores than control group at the delayed vocabulary posttest,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ext annotation learning group earned higher scores than control group but it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of multimedia annotation and learners’ cognitive style on the immediate and memory effects of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o conclude, in the multimedia environment, it was identified that text annotation, picture annotation, text-picture mixed annotation facilitat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nd its memory effect. This study presents using of multimedia vocabulary annotation as the instructive alternative to enormous amount of vocabulary a teacher can’t teach all.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ffect of the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ccording to learners’ cognitive style. But it showed individual cognitive style and instructional data type he prefers are diversified. Therefore, it proposes a spontaneous and efficient learning through providing learners with the teaching materials of the various types considering their individual differ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