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지향-
dc.contributor.author주나현-
dc.creator주나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44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3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7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3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교육실습일지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예비 음악교사들의 교육실습 경험을 파악하고, 실습생이 음악교과와 교수학습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수업현장과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교육실습의 질을 높이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 소재 음악대학의 교직이수자와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육실습생 73명의 교육실습일지를 수집하고, 그 기록 내용에서 음악교과와 교수학습상황에 대한 인식과 수업실습에 대한 성찰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육실습일지에서 드러나지 않은 예비교사들의 수업실습에 관한 심층적인 정보를 파악할 목적으로 교육실습과정을 이수한 3명의 예비음악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실습일지 분석과 면담을 통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예비 음악교사들은 음악교과를 수업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이해와 활동 영역이 적절하게 구성되어야 하는 교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활동 중심의 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목표 달성 모두를 만족시키기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교과지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상황에서는 학습자에 대한 이해와 구체적인 수업사건에 대한 대처 능력에 관심을 가졌다. 특히 학생들의 수업 태도, 학습내용 이해 수준 개인차, 음악 지식 수준, 음악교과에 대한 관심 등 학습자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의 이해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업의 연계성과 체계성,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활용, 수업 자료 준비, 수업 시간의 배분 등에 관심을 가지며 수업하였고, 수업경험 결과 구체적인 수업사건에 대한 대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지도교사의 조언은 수업과 관련된 내용에 치중되어 있으며 지도교사마다 조언의 양과 질은 큰 차이가 있었다. 교육실습생은 지도교사의 조언에 큰 의미를 두어 받아들이고 있고, 이를 통하여 자신의 수업을 반성하고 개선한다. 자기 평가, 동료평가, 실습학교의 평가회 등을 통한 수업실습 경험을 성찰한 내용을 살펴보면, 수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모색보다는 음악 교사로서의 교육관, 교직관, 가치관 등의 변화를 기술한 사례가 많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의 내실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대학기관에서는 실습생이 어려움을 느끼는 교과지식과 교수전략을 파악하여 이를 강조해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실습일지가 공개되는 문서라는 인식과 작성 시간의 부족, 작성에 대한 부담 등으로 기록이 누락되는 사례가 있었다. 교육실습 과정에서 실습일지를 작성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교육실습일지 기록의 중요성을 미리 인지하도록 하여 솔직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일지를 기록하도록 지도한다면 교육실습일지가 교육실습 상황을 이해하는 데에 더 효과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 self-reflection, self-evaluation and thereby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student teachers on teaching practice in the music department as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 To strengthen the liaison between teaching practice and chalkface, hence,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the teaching practice later date. For this study, student teaching practice journals of 73 students majoring in music education in Seoul were collected and surveyed awareness of music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circumstances during teaching practice, based on their self-, peer-assessment and other reflections. Additionally, to acquire in-depth information of chalkface conducted interview to 3 student teachers after the student teaching practice was completed. Teaching practice journal analysis and the results of interview were summarized as follow: Student teacher recognized that to achieve the instructional objective, an understanding and activity area must be configured appropriately. However, activity-oriented instruction couldn't satisfy both student's interests and instructional objectives properly, moreover student teachers faced difficulty due to lack of curriculum knowledge. Teaching-learning circumstances, student teachers had interested on their ability to cope with accidental and unexpectable occasion in music classroom and piecemeal approach of learners. Especially, student teachers have tried to understand and approached the learner's standpoints as regards to attitude in class, individual difference in understanding, knowledge level of music, interest in music education. They usually have interested in connectivity and method of lessons, use of multi-media in music class, preparation learning material and time allotment during a class, and after all gained confidence to cope with specific occasion properly in educational arena. The advice of the guidance teacher was mostly concentrated on class teaching and its quantity and quality of the advice varied. Student teachers attached a great significance on advise of the guidance teachers and through which they reflect on and improve. Statement of self-assessment, peer-assessment, evaluation meeting in school show that they described rather seeking of improvement of teaching and education, than their view of education and values as a music teacher.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make the student teaching practice substantial, universities should primarily verify and emphasize the curriculum knowledge and teaching strategy which student teachers have difficulties. Also, there were several cases of missing on teaching practice journals, due to lack of time for recording compare to big load of journals and lack of responsibility of documentation as a public document. To offer enough time to write the student practice journal and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frank and active answer could be another solution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eaching practice journal and it would be more discerning material to understand situation of teaching practi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4 C. 연구문제 4 D.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A. 교육실습의 목적 및 필요성 6 B. 교육실습일지 작성 방법 및 필요성 12 C. 음악수업의 실제와 교사 전문성 15 D. 선행연구 고찰 18 Ⅲ. 연구방법 26 A. 연구대상 26 B. 연구절차 27 C. 연구도구 28 D. 자료분석 30 Ⅳ. 예비 음악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32 A. 음악교과에 대한 이해 32 B. 교수학습상황에 대한 이해 38 C. 피드백과 평가 52 D. 면담 결과 61 Ⅴ. 결론 및 제언 71 A. 결론 71 B. 제언 74 참고문헌 74 부록 1. 수업참관 목록 79 부록 2. 수업계획안 80 부록 3. 실습활동에 대한 성찰 및 조언 81 부록 4. 실습지도교사와의 교육실습 종합평가회 82 부록 5. 실습학교의 교육실습 평가회 83 부록 6. 교육실습 소감 84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910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육실습일지 분석을 통한 중등 음악과 교육실습생의 수업 경험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econdary Music Student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through Teaching Practice Journal Analysis-
dc.creator.othernameJu, Na Hyun-
dc.format.pageviii,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