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선-
dc.contributor.author정미란-
dc.creator정미란-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9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0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6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002-
dc.description.abstract전 세계의 보편적 현상으로의 세계화와 그에 따른 문화정체성의 문제는 오늘날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대립되는 두 가지 견해가 아니라, 전 지구적 현실을 구성하는 두 경향이다. 세계가 국경을 초월하여 하나의 경제권을 형성하게 되면서, 이러한 경제적 변화는 세계화와 탈경계화를 더욱 더 명확히 하고 있다. 경제적 세계화는 사회·정치·문화의 모든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무한경쟁을 부추기는 동시에, 상호 협력의 필요성을 극대화한다. 더불어 20세기 후반 출현한 포스트모더니즘은 기존 사회가 금기시했거나 억압했던 영역들을 적극 수용하고, 중심과 주변부를 구별하던 이분법적 가치관을 무너뜨려 영역의 경계를 허물었다. 영역 안에 갇혀있던 소수의 문화는 금기와 억압에서 자유를 얻고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으며,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는 다문화시대가 되었다. 경제적, 문화적 세계화로 문화의 융합과 획일화가 유발되는 시대의 조류에 무엇이든 인정, 수용하는 다문화주의의 공존은 문화 근본주의로의 강력한 회귀 본능을 자극한다. 이것은 문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디자인에 영향을 미쳐 디자인에서의 문화정체성에 대한 논쟁과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세계화의 보편화 속 특수성으로의 국가 문화아이덴티티 디자인은 국가 수익 창출의 변수인 창조성의 토대가 되고, 그 나라의 자주적인 생존과 관계를 맺는다. 이와 궤를 같이 하여, 한국 디자인에서 문화 아이덴티티를 연구하는 것은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본 논문은 문화와 디자인의 관계를 기반으로 세계화 속 우리 디자인에서의 문화 아이덴티티의 중요성을 살피고, 기존 ‘한국의 문화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 디자인 아이덴티티 표현의 현재를 정리·분석하여, 그로부터 세계화 속 한국의 디자인을 발전시켜 갈 수 있는 방향을 발견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1장에서는 연구배경 및 목적과 연구 내용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문화와 디자인의 생성 및 순환구조를 밝히는 동시에, 디자인으로 발현되는 문화구성요소와 문화의 전달방식에 대한 고찰을 통해 문화의 본질성과 내면적 개념의 외현화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세계화 속의 문화현상과 더불어 문화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중요성을 고찰하고 개념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문헌을 통해 시대별 한국의 문화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의미와 변화에 대해서 살펴보고, 연구 분석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기존 논문과 보고서의 연구물들의 분석을 통해, 한국 문화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현재를 탐구하고자 했다. 연구주제, 연구과정, 연구결과로 분석요소를 나누어 연구자들이 한국 디자인을 바라보는 관점과 이해·해석하는 과정을 찾고자 했고, 이에 따른 한국 디자인에서의 문화정체성의 표현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5장에서는 연구물의 분석을 토대로 한국 문화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앞서 디자인 연구들의 분석을 통해 몇 가지 관점에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먼저 시대성의 측면이다. 현대를 살고 있는 지금, 우리의 시대를 반영하고 있기보다는 전통이라는 이름하에 과거의 재현에 머물러 있었다. 두 번째, 표현성의 측면에서는 외적 스타일에 치중되어 원형의 재현, 재구성에 머물렀다. 사물을 창조하는 인간의 정신이나 행동양식 등의 내재적인 속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다. 세 번째, 정신성의 측면에서는 우리 문화의 정신적 가치와 의미를 찾으려는 연구가 부족하였고, 지나치게 추상화된 언어의 사용으로 한국디자인의 정신을 일관된 맥락으로 설명할 수 없었다. 이러한 시대성, 표현성, 정신성의 측면에서 한국 문화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살펴보았다. 첫째, 시대성을 반영한 전통의 활용을 통해 우리 디자인의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표현하는 것이다. 둘째, 한국의 디자인 정신을 발견하고 체계적으로 정립하여 실제 디자인 현장에서 활용하는 것이다. 디자인에서의 문화 아이덴티티의 역할이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한국 문화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현재를 살피고, 새로운 디자인 연구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본 연구의 내용이 디자인계나 기업에서 보다 효율적인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Globalization toward a universal phenomenon worldwide and the resulting issue of cultural identity are not two opposing views but tendencies comprising a global reality. As the world forms a borderless economic bloc, such an economic shift further clarifies globalization and borderlessness. Economic globaliza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every aspect of daily lives including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ones and incites infinite competition while maximizing the necessity of mutual cooperation. In the same vein, post-modernism that emerged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willingly accepted domains that had been tabooed or repressed by the existing society and broke down the boundaries across domains by demolishing the dichotomic values distinguishing a center from its peripheral areas. Minority culture confined to a domain was freed from taboos and suppression to make a voice, leading to a multi-cultural age where cultural diversity is appreciated. Against the current of the times inducing economic and cultural globalization leading to cultural convergence and homogenization, multi-culturalism appreciates and accepts anything. Such a coexistence stimulates an intense urge to return to cultural fundamentalism, which has affected design closely related to culture, evoking debates and interests concerning cultural identity in design. National cultural identity design as an exceptionality in universal tendency to globalization is the basis of creativity that is a variable in generating national benefits, having to do with independent survivial of a nation. In a similar manner, it cannot be emphasized too much that cultural identity should be studied in the context of Korean design.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cultural identity of our design in globalization on the ba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design,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design identity expression centering on the previous ‘study on Korean cultural identity design’, and seeks for directions to develop Korean design in the middle of globalization. The present study is unrolled in the following manner. Chapter 1 presents the background, objectives, content and methods for the present study. Chapter 2 deals with how culture and design are generated and circulated, and considers how culture and cultural component manifested by design are transferred to review the essence of culture and the process of externalizing relevant intrinsic concepts. In addition to cultural phenomena in globalization,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identity design and its concepts are briefly mentioned. Chapter 3 concerns historical changes of Korean cultural identity design and its meaning through literature review to suggest a baseline for analyses. Chapter 4 analyzes earlier studies and finding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ultural identity design. Analytical components are divided into study subjects, process and results to find out perspectives of investigators on Korean design and how they understood and translated it as well as how cultural identity is rendered in Korean design. Chapter 5, based on the findings here, seeks for the directions of identity design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design,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rom a few perspectives. The first perspective is related to the attributes of the times. In modern times, Korean identity in design seems to reproduce the past under the name of tradition in lieu of reflecting our age. Secondly, as for expressivity, the focus is put on external styles around reproduction and reconstruction of original shapes. That is, intrinsic attributes like human spirits creating objects and behavioral modes have hardly been studied. Thirdly, in terms of spirituality, studies on how to restore spiritual values and significance of our culture have been scarce, and the spirit of Korean design has been far from consistent explanation due to excessively abstract languages used. In view of the attributes of the times, expressivity and spirituality,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s Korean cultural identity design should pursue. First, by means of tradition reflecting the attributes of the times, the values of our design need developing and rendering. Secondly, Korean design spirit needs developing and establishing systematically for the purpose of application in the field of design. As the roles of cultural identity in design are increasingly valued, the present study takes a look at the status of Korean cultural identity design, and suggests new perspectives for studies on design, so that the findings here may be applied as an efficient reference in the field of design or busin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서론 1 1.1.연구의 의의 및 목적 1 1.2.연구 방법 및 내용 2 2.문화와 디자인 4 2.1.문화와 디자인 4 2.1.1.문화의 정의 4 2.1.2.문화와 디자인의 관계 6 2.1.3.문화요소와 디자인 7 2.2.문화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개념 14 2.3.문화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필요성 15 2.3.1.경제적 세계화와 디자인 15 2.3.2.다문화주의와 디자인 17 2.3.3.문화근본주의로의 회귀 19 3.한국 문화 아이덴티티디자인 연구 분석을 위한 전제 20 3.1.한국적 디자인과 한국의 디자인 20 3.2.시대별 한국의 디자인의 의미변화 23 3.3.연구 동향 분석을 위한 전제 26 3.3.1.연구 분석의 범위 및 방법 26 3.3.2.연구 분석을 위한 기준 27 4.한국 문화 아이덴티티디자인 연구 분석 33 4.1.연구주제별 분석 34 4.1.1.인간주제에 근거한 연구 34 4.1.2.사물주제에 근거한 연구 38 4.1.3.환경주제에 근거한 연구 41 4.2.연구과정별 분석 43 4.2.1.표현면에 의한 분석 43 4.2.2.내용면에 의한 분석 55 4.3.연구결과별 분석 59 4.4.종합 66 5.한국 문화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방향성 69 5.1.디자인 연구물 분석의 종합 69 5.2.시대성을 반영한 전통문화의 표현 69 5.3.디자인 정신을 창조하는 현대디자인 74 6.결론 및 제언 78 참고문헌 81 부록 A.분석대상 자료 목록 86 부록 B.분석대상별 키워드 목록 91 ABSTRACT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215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디자인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한국 문화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ultural Identity of Korean Design through Design Research Trends-
dc.creator.othernameChung, Mi Ran-
dc.format.pagex,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