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선-
dc.contributor.author이혜경-
dc.creator이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9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9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6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923-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has achieved proposing a franchise system model,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definitions of Design Management. ① Design Management to create attractive products and service that impress customers by combining design and management ② Design Management as a management methodology that creates value of stakeholder by using design resources as a core resource of management ③ Design Management as a methodology to apply wants or needs of users to products, including expressing functions, performances, and value on its appearance. Integrating above three definitions, Design Management can be redefined as 'a management method that creates design value that can be shared with stakeholder and consumers by designing a product that satisfy their needs, and use the design value as a core resource of the corporate management.' Secondly, to maximize efficiency for a design management-oriented franchise system model for a flower brand, this study has approached in the following two circumstances. ① developing a Strategical Means for creating design value to share with franchisees As the strategical means for a flower brand to share its design value with franchisees, the flower school trains franchisee owners to get prepared with a design planning skill. With such design planning skill, each franchisee can deliver the equal identical brand image as the franchiser intended, and this results in brand value activation. ② developing a franchise system through brand segmentation to activate brand value efficiently The big picture of sociocultural domestic needs towards flower is remarkably divided into two different needs, interior decoration and gifts for others. Combination of these two needs can come up with the idea of interior flower design products (for gifts), and this idea can end up with differentiated brand positioning as a 'Interior Design with Flower'. Flower brand 'S' already has its competitiveness in interior decoration for special occasions. This study suggest to leave such competitiveness as its luxury brand, and, at the same time, to create a new brand that aim for more popularization with general flower decorating products. The luxury brand will keep the current luxury image of the brand, and the latter will raise the brand awareness through aggressive franchise business to create a new flower-oriented lifestyle for the public.;점차 다양해지는 소비자의 문화생활 변화를 겨냥한 제품의 차별화된 기업의 브랜드 경영은 로고, 매장 인테리어 등 시각적 개념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디자인 경영의 개념으로 확대되고 있다. 플라워 디자인 제품 또한 높아지는 소비자의 소비문화와 여가문화 수준을 반영하여 고품격 디자인과 브랜드 이미지로 소비자의 꽃 문화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해 왔다. 해외 유명 브랜드의 한국 진출과 함께 1997년 창립한 국내 S 브랜드 플라워는 현재까지 5개의 직영점과 15개의 가맹점을 운영하는 프랜차이즈 사업을 통해 주로 백화점 중심 인테리어 연출 및 기업 행사를 위한 공간 연출 중심 플라워 디자인을 선보이며 고품격 플라워 디자인을 국내에 널리 소개해 왔다. 현재까지 서울 지역에 집중되어 프랜차이즈 사업을 운영해오고 있지만, 이미 지방까지 높은 수준의 플라워 디자인 제품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 충족을 위해서는 브랜드 플라워의 적극적인 프랜차이즈 사업 운영이 필요하다. 효율적인 프랜차이즈 사업 운영을 위해서는 브랜드 이미지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브랜드 가치 증대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프랜차이즈 시스템이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차별화된 프랜차이즈 시스템 개발은 타 기업이 모방할 수 없는 기업의 핵심 자산이 될 수 있다. 브랜드 플라워의 가장 핵심적인 브랜드 가치는 플라워 디자인으로 하여금 고객에게 전달되는 디자인적 가치이며, 이러한 디자인적 가치를 창출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프랜차이즈 시스템 요소들의 계획 및 전략이 디자인 경영 중심으로 접근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S 브랜드 플라워 및 일본의 성공적인 프랜차이즈 브랜드인 아오야마 플라워 마켓(Aoyama Flower Market)의 사례 조사를 통해 두 브랜드의 디자인적 가치 요소들을 분석 및 비교해 보고 S 브랜드 플라워가 디자인적 가치를 유지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어떠한 프랜차이즈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는지 알아본다. 프랜차이즈 사업은 브랜드 가맹점 수를 늘림으로써 브랜드에 대한 인지를 확장시킨다는 이점이 있지만, 가맹점 수가 늘어날수록 브랜드가 원래 보유하고 있는 브랜드 가치와 이미지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위험요소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현재 국내 베이커리 브랜드로는 가장 프랜차이즈 가맹점 수가 많으면서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가지고 있는 파리바게트((주)파리크라상)의 디자인 경영 중심 프랜차이즈 시스템을 분석하고 브랜드 세분화 중심 전략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또한, 브랜드 인지의 확장과 브랜드 신뢰도 상승의 관계에 따른 차별화된 프랜차이즈 전략을 살펴본다. 디자인적 가치 중심의 프랜차이즈 시스템과 브랜드 세분화 중심의 프랜차이즈 시스템 모두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전략적 요소로써 전자는 플라워 디자인 제품 자체를 위한 전략이며 후자는 프랜차이즈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꽃 문화수준의 상승과 더불어 꽃 문화의 대중화를 위한 브랜드 플라워 프랜차이즈 사업을 위해 국내 꽃 시장의 소비문화와 소비자의 니즈를 반영한 디자인적 가치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프랜차이즈 시스템 모델을 제안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내용 2 C. 연구의 범위 2 II. 브랜드 프랜차이즈 시스템에 대한 이론적 고찰 4 A. 프랜차이즈 사업의 정의 및 특성 4 B. 프랜차이즈 사업의 문제점 6 C. 프랜차이즈 사업과 브랜드의 상호관계 이해 7 D. 브랜드 프랜차이즈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 9 E.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유형 13 III. 플라워 브랜드 가치 중심 프랜차이즈 시스템에 대한 이론적 고찰 14 A. 브랜드 플라워에 대한 이해 14 B. 브랜드 가치 중심 브랜드 플라워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조건 15 C. 브랜드 플라워 현황 사례 연구 17 1. 아오야마 플라워 마켓 (Aoyama Flower Market) 사례 연구 17 2. 국내 S 브랜드 플라워 (Soho & Noho) 사례 연구 20 IV. 디자인 경영 중심 프랜차이즈 시스템 개념 정리 24 A. S 브랜드 플라워 프랜차이즈 시스템 분석 24 B. (주)파리크라상 프랜차이즈 시스템 사례 분석 28 C. 디자인 경영 중심 프랜차이즈 시스템 개념 정리 32 1. 디자인 경영의 기본 구조와 전략적 수단 32 2. 디자인 경영 중심 프랜차이즈 시스템 개발 프로세스 35 V. 디자인 경영 중심 플라워 브랜드 프랜차이즈 시스템 모델 제안 40 VI. 결론 43 참고문헌 45 ABSTRACT 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452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플라워 브랜드 가치 증대를 위한 디자인 경영 중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프랜차이즈 시스템 모델 제안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sign Management to Increase Brand Value for a Flower Brand : Focus on developing a franchise system model-
dc.creator.othernameLee, Hye Kyung-
dc.format.pageviii, 4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