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7 Download: 0

서비스디자인 관점에서의 주거 브랜드 디자인 경영 모델 연구

Title
서비스디자인 관점에서의 주거 브랜드 디자인 경영 모델 연구
Other Titles
Possible Design Management Models in Housing Industry in the Age of Service Design
Authors
이은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선
Abstract
서비스 산업 시장이 확대되고 혁신적인 서비스 디자인이 장기적인 미래 경쟁력으로 평가되면서 제조 기업이 서비스 기업으로 변모하고 있다. 또한 디자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디자인 영역의 확장으로 기업에서 창의적인 디자인적 사고에 주목하여 디자인 경영을 통한 성공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가격 경쟁의 구도에서 벗어나 차별화된 요소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통해 고객 감동을 실현하는 시대를 맞아 디자인은 기업 활동의 핵심 요소로 위치하게 된 것이다. 선진국형 경제의 미래는 서비스 디자인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주거 산업 분야 또한 이러한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디자인 경영을 통한 서비스 기업화로 전략을 수정하였다. 국내에서도 현대카드, 기아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디자인 경영을 통한 성공 사례가 속출 하였고 주거 산업에서도 디자인을 통한 가치 창출을 목적으로 이례적으로 디자인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이루어졌으나, 그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디자인 경영의 성공 사례는 아직 찾아 볼 수가 없다. 디자인 활동이 심미성을 중심으로 한 조형 활동의 영역에서 행위 개념을 위주로 재해석되고, 최근에는 창의적인 활동, 디자인적 사고를 적용하는 활동으로 그 개념이 진화 했음에도 기업의 아이덴티티를 고려하지 않은 유명 디자이너와의 협업, 화려한 외형의 개선에 치우친 투자는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에 큰 기여를 하지 못했고, 한국 주거 산업의 특성을 무시하고 해외 또는 타 분야의 성공 사례를 도입하는 것 역시 실패가 예고된 시도였던 것이다. 한국 주거 시장은 자산으로서 비중이 큰 주거 가치관,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주거 상품의 대형 브랜드화, 급속도로 진전되고 있는 고령화, 1인 가구의 급증으로 대표되는 가구 유형의 다양화 등 한국만의 독특한 시장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 개인화, 양극화, 맞춤화 등 세계 시장과 공유하는 사회 문화적 글로벌 트렌드와 함께 한국적 특성에 따른 디자인 경영 모델이 절실하게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디자인 시대에 미래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한 전략으로 한국 주거 산업에 적합한 디자인 경영 모델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디자인과 디자인 경영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주거 산업의 디자인 경영의 당위성과, 정확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 경영의 다양한 관점을 정리하였다. 디자인은 기업과 고객 사이의 채널의 개념으로 진화하였다. ‘혁신을 위한 비즈니스 활동은 곧 창의적인 디자인 활동이다’라는 논리에 의거, 기업의 모든 활동에 디자인적 사고를 적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3장에서는 디자인 경영 및 서비스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고 산업과 디자인의 진화 단계를 근거로 하여 주거 산업의 미래를 서비스 디자인 시대로 추론했으며, 4장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한국의 주거 산업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디자인 경영 및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 연구 및 한국의 주거 산업에 대한 고찰을 통해 주거 산업의 디자인 경영 전략에 있어 경험디자인, 소통하는 디자인, 다양성과 밸런스라는 핵심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 세 가지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디자인 경영을 수준에 따라 전략, 전술, 실행 차원으로 분류하고 프레임웍을 구축하기 위한 디자인 경영의 요소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사용자 측면에서의 주거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기업의 디자인 경영 모델은 이론적인 제안으로 끝내지 않고, 좀 더 구체적으로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업 사례로 ‘S'사의 디자인 경영 진단을 통해 개선 방향을 도출, 디자인 경영의 모델을 적용하여 프레임웍을 완성해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주거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러한 환경에서 본질적으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주거의 개발 방향을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해결해 보고자 노력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디자인 경영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거나 이미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기업의 디자인 경영 전략 수립에 지침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현 주거 시장에서 주요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는 대형건설사에 한하며, 새로운 형태의 주거 디자인 기업은 본 연구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본질적인 인간의 삶을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주거 가치관의 변화가 시급하나 본 연구는 현 주거 시장을 기반으로 논의하였기 때문에 기업이 주거 문화와 가치관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켜 주택 시장의 안정을 찾는 정책적인 문제, 이로 인해 요구되는 다양한 주택 유형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다음의 논고로 미루기로 한다.;The core of Korean economy moves rapidly into service industry under the influence of changing global industrial structure. Service market becomes extended into further areas and innovative services are recognized as services with long-term future competitiveness, so conventional business based on manufacturing also changes into service business. In addition, changing awareness about design and extended applications of design drive companies to pay attentions to creative thinking of design, so that there are a series of successful business cases based on design management. It is design that takes a crucial position in business activities in the age of customer emotion realized through value creation beyond conventional paradigm of competitive pricing.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future of economy toward advanced countries is the age of service design. In the context of such a changing industrial paradigm, the housing industry has also turned its business strategy into service business based on design management. In Korea, there have been a series of successful business cases based on design management (e.g Hyundai Card). Korean housing industry has also made exceptional efforts to invest into design with a view to create values through design. Despite these efforts, however, there could be no successful case of design management anywhere in Korea. Design activities have conceptually evolved from formative activities based on esthetics into creative and thinking-driven activities, but industrial collaborations with celebrated designers without regard to any corporate identity as well as concentrated investments for visible improvement became barriers to taking competitive advantages on a sustainable basis. Besides, it was also meaningless to indiscreetly introduce successful cases from foreign countries or other industrial fields without considering any origi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housing.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Korean housing market was characterized by creation of Korean original market environment including value of housing asset, commercialized branding of housing, aging population, diversified household categories, and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single households. That is why it is urgently demanded to find out Korean design trends shared with world market (e.g. individualization, social bi-polarization, customization, globalization, etc) and develop design management model to meet characteristics of Korean design industry.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a design management model suitable for Korean housing industry as a part of strategy for sustainable future growth in the age of service design.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of design and design management, Chapter 2 discussed justifications of design management for housing industry and dealt with various viewpoints of design management for correct communications. Design has conceptually evolved into a channel between business and customer. Every business activity is carried out with ideas of designing on logical basis of a motto: ‘Business Activities for Innovation Mean Creative Activities of Design.’ Chapter 3 focused on investigating design management and service design and inferred that the future of housing industry would be the age of service design on the basis of industrial and designing evolution phases. Chapter 4 examined such characteristics of Korean housing industry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design management and service design and examined Korean housing industry, so that it could deduce key elements such as diversity, balance, empirical design and communicative design in promising strategies of design management for housing industry. Based on these three key-words, this study classified design management into three dimensions such as strategy, tactics and execution according to level, and established a desired framework of design management. This study sought not to just theoretically propose but to further concretely and feasibly implement such a design management model for business on the basis of housing design thinking in the aspect of end users as proposed herein.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selected ‘S' Company as a model case of Korean housing industry and examined the design management of said company to deduce possible orientations of improvement and apply a model of design management for completion of its desired framework. This study has its own implications in that it recognized Korean original values of housing and made efforts to present possible directions of housing development for the better life quality in essence under Korean housing enviro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service design.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as a reference material in developing a strategy of design management for companies that are concerned about design management or go through trials and errors. However, these findings are limited to large-sized constructors that own major housing brands in current Korean housing market, and emerging forms of housing design companies are excluded in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Changing value of housing is urgently demanded before fundamental improvement of human life quality, but this study focused upon discussing current housing market in Korea. Therefore, it is required for the follow-up studies to discuss and examine policy issues about company-initiated change of housing culture and values into sound directions and higher stability of housing market, in parallel with justifications of various housing categories as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