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용-
dc.contributor.author남화정-
dc.creator남화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8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0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6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008-
dc.description.abstract미국의 시사 잡지인 타임은 2010년도 ‘올해의 인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페이스북(facebook)의 창업자 마크 주커버그를 선정했다. 1984년생인 주커버그가 500억 달러(약 56조원)이상의 가치를 지닌 페이스북의 CEO가 되기까지의 원동력을 살펴보면 '흥미'와 '상상력'이다. 이러한 사례가 우리에게 제시하는 것은 무엇일까? 한국의 교육이 과거에는 경쟁위주의 입시위주였다면 이제는 정말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를 키우는 교육으로 변화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 선진국의 교육은 '창의성'에 맞춰 인재를 육성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제 7차 교육과정'에서 미술교과의 목표는 미술활동을 통하여 표현 및 감상능력과 창의성 계발이다. 2007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역시 미술에서 두 가지 중요한 목표로 제시되었던 창의성과 표현능력을 '창의적 표현능력'으로 합쳐 제시함으로써 표현능력에서 창의적인 사고과정을 강조하고 있다. 미술과의 여러 영역 중에서 디자인 분야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해내고 그것을 구체화 시키는 과정을 통해 사고력과 상상력, 창의력 계발을 돕는다. 하지만 오늘날 학교교육에서 디자인교과는 표현기법의 답습과 주입식 테크닉으로 결과물을 완성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래서 학생들의 아이디어나 표현방법이 우연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도 비슷하고 단순한 모방 작업으로 그치는 경우가 대다수다. 대다수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결과 위주의 디자인 교육이 학생들에게 사물을 관찰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향상되어지는 창의력을 말살시키고 있다. 이런 교육여건에서는 학생들의 창의력은 생각할 수조차 없는 것이 당연하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디자인 대학에 진학하거나 혹은 취업을 하더라도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 보다 창의적이며 예상치 못한 결과물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발상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디자인수업을 전문계 고등학교 2학년에게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디자인과 교과서, 창의적 사고기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개발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경기도 소재의 A 전문계 고등학교 2학년 디자인과 2학급 68명(실험집단 34명, 통제집단 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 전 창의적 표현력이 동일한 집단임이 검증되었고, 수업은 8차시에 걸쳐 이루어졌다. 둘째, 창의적 표현력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된 창의적 표현력 측정 결과 검사도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작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16-1_공업(교육부, 2008)'의 평가에 대한 내용을 참고하여 제작하였다. 또한 교사는 학생 작품 결과를 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재료와 용구에 의해 상, 중, 하 질적 평가를 하였고 자기평가지와 동료평가지는 교사의 주관적인 평가를 보완할 수 있어서 참고자료로 활용하였다. 셋째, 자료 분석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 통계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4.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집단 간 동질성 검증은 독립표본 t-test, 집단별 창의적 표현력 성향 변화는 대응표본 t-test, 창의적 표현력 네 가지 항목의 하위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은 일원다변량분석(One way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전통적인 디자인수업을 한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창의적 표현력 성향 검사의 모든 하위영역(창의적 행동, 학습동기, 계획 및 기획능력, 의사소통 정확성, 의사소통 풍부성, 디자인 관련 행동특성)에서 증가효과가 있었다. 둘째,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전통적인 디자인수업을 한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창의적 표현력 측정 결과 검사의 모든 하위영역(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재료와 용구)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결론적으로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디자인수업이 전문계 고등학교 2학년의 창의적 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특정 지역의 학교와 소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기에 전체 전문계 고등학생들에게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긍정적인 효과가 입증되었으므로 다양한 영역(일러스트레이션, 타이포그래피, 편집디자인, 광고디자인, 포장디자인, 아이덴티티 디자인, 영상 및 멀티미디어 디자인)과 다양한 교과(컴퓨터그래픽, 제품디자인, 환경디자인, 사진, 광고일반)에서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다양한 디자인 수업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The Time Magazine named Mark Zuckerberg, founder and CEO of Facebook, a social network service, 2010's "Person of The Year". Born in 1984, Mark Zuckerberg was driven by 'interest' and 'imagination' to become the youngest billionaire in the world with Facebook currently worth USD 50 billion, approximately KRW 56 trillion. What does the story of Mark Zuckerberg imply to Korean education? Korean education has traditionally placed significant emphasis in gaining admission to top universities. Going forward, the education curriculum needs to change in a way to foster a culture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as is the case with the curriculum in advanced nation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imed to promote creative expression and thinking. Revised in 2007, the art curriculum also placed great focus on 'creative expression' to emphasize creative way of thinking. The field of design helps students to develop imagination and creativity through the process of idea generation and concretization. However, today's design curriculum places too much emphasis on imitating and memorizing artistic expression techniques to complete a given task. As a result, students' ideas and artistic expressions are not coincidentally too similar and often end up imitating someone else. Result-oriented design curriculum at most specialized high schools in Korea is being criticized for dampening creativity that is fostered through the process of observation and problem solving, causing undesired consequences. Thus a curriculum that encourages how to think is highly desired.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s on creative artistic expression from a design curriculum that incorporate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juniors at a specialized high school. The step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new teaching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that was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provided by the specialized high school curriculum and design textbooks. Sixty eight juniors at a specialized high school located in the Kyunggi Province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nd divided into two groups of 34, one being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being the control group. The new teaching program was taught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total of eight times. Second, in order to verify the efficacy of improvement in creative artistic expression capabilities, a measurement scheme was devised in accordance with curriculum evaluation guidelines specified by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Each student's art work was evaluated by the instructor along four factors including topic expression, expression method, modeling element/principle and expression material/instrument used. A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 was used where each evaluation factor was given a score of either high, medium or low. In addition, self-evaluation and peer-evaluation were used in order to minimize subjective evaluation by the instructor. Third,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14 was used to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paired-sample t-test and one way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for homogeneity test, group disposition change and interaction effects among the subcomponents of the four factors, respectively, in order to deri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superior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in all subcomponents of the creative artistic expression disposition test. The subcomponents included creative behavior, motivation, planning capability, communication accuracy, communication channel diversity and design-related characteristic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superior excellency than the control group in all subcomponents of the creative artistic expression measurement test. The subcomponents included topic expression, expression method, modeling element/principle and expression material/instrument used. In conclusion, the new design teaching program that incorporated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was prove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omoting creative artistic express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of this study. Howeve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a limited number of students at a specialized high school in a specific region. Therefore, it may be insufficient to draw a general conclusion that the new teaching program will work for all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Nevertheless, given the positive effects demonstrated by this study, the author is hopeful that more design teaching programs will be developed to incorporate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in various fields(illustration, typography, editorial design, identity design and multimedia design) and curriculum(computer graphics, product design, environmental design, photography and advertis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서론 1 A.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연구의 방법 및 내용 3 Ⅱ.이론적 배경 4 A.창의적 표현력 4 1.창의성의 개념 및 요소 4 2.창의적 표현력 9 B.전문계 고등학교와 디자인 교육 11 1.전문계 고등학교 창의성 교육 11 2.전문계 고등학교 디자인과 교육과정 15 C.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디자인수업 24 1.창의적 사고기법 24 2.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디자인수업 모형 42 Ⅲ.연구방법 44 A.연구대상 및 절차 44 1.연구대상 44 2.연구절차 44 B.연구도구 45 1.수업도구 45 2.평가도구 52 C.자료 처리 및 분석 56 Ⅳ.연구결과 및 논의 58 A.연구결과 58 1.창의적 표현력 성향 58 2.창의적 표현력 63 3.수업 결과물 평가 분석결과 70 B.논의 81 Ⅴ.결론 85 참고문헌 88 부록 92 ABSTRACT 12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978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디자인수업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전문계 고등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Creative Thinking Technique based Design Curriculum on Creative Artistic Expression : Apllied to Juniors at a Specialized High School-
dc.creator.othernameNam, Hwa Jung-
dc.format.pagexii, 12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