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4 Download: 0

가정과 교육에서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과 실행

Title
가정과 교육에서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과 실행
Other Titles
Home Economics teachers' concern and performance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Based on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CBAM)
Authors
이인숙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채정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육에서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 그리고 실행 실태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자료는 전국의 중학교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체계적 표집과 편의 표집을 하여 우편과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된 18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도구는 주로 Hall(1987)이 개발한 혁신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 수준에 대한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그 외는 선행연구를 기초하여 개발하였으며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자료는 SPSS/window(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 단계는 정보적 관심 단계(85.51)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개인적 관심 단계(85.18), 운영적 관심 단계(81.88), 지각적 관심 단계(82.15), 강화적 관심 단계(68.80), 협동적 관심 단계(61.97), 그리고 결과적 관심단계(59.76)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실행 수준은 기계적 실행 수준(수준 3; 21.4%)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탐색 수준(수준 1; 20.9%), 정교화 수준(수준 5; 17.1%), 사용하지 않는 수준(수준 0; 15.0%), 준비 수준(수준 2; 10.2%), 통합 수준(수준 6; 5.9%), 갱신 수준(수준 7; 4.8%), 일상화 수준(수준 4; 4.8%) 순이었다. 셋째,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실행 실태를 조사한 결과, 반 이상의 가정과 교사(56.1%)는 가정과 수업에서 인성 교육에 치중하고 있으며, 31.0%의 교사는 창의·인성 교육을 모두 실행한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소수의 교사(6.4%)는 창의성 교육을 실행한다고 응답하였고 같은 수의 교사(6.4%)는 창의성과 인성 교육 어느 것도 실행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절반 이상의 가정과 교사들(55.1%)은 가정과에서 글로벌 창의인재를 ‘변화를 수용하고 미래를 개척하며 무한히 성장하는 실용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였고, 30.5%의 가정과 교사는 ‘고정관념을 뛰어넘어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창의적인 사람’, 12.8%의 가정과 교사는 ‘지구촌 어느 곳에서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는 능력있는 사람'이라고 응답하였다. 가정과 교사의 창의·인성 교육 요소의 실행 정도를 조사한 결과, 창의·인성 교육 요소의 실행은 평균은 5점 만점에서 3.76이었고 창의성 요소의 평균은 3.59, 인성 요소의 평균은 3.94로 보통보다 높았다. 창의성 교육 요소의 실행 정도에 대해서, 개방성/민감성(3.97)을 가장 많이 실행하였고 다음으로 문제해결능력(3.79), 호기심/흥미(3.73), 비판적 사고(3.68), 논리/분석적 사고(3.63), 문제발견능력(3.61), 독창성(3.57), 유추성(3.47), 유창성/융통성(3.46), 정교성(3.46), 상상력(3.37), 몰입/공감(3.37)의 순으로 실행하였다. 인성 교육 요소는 실천력(4.07)을 가장 많이 실행하였고, 다음으로 협동/배려/공정(4.06), 자기관리능력(4.04), 시민의식(4.04), 진로개발능력(4.03), 환경친화능력(3.95), 책임(감)/소유(3.94), 의사결정능력(3.89), 신뢰/정직/약속(3.88), 자율성(3.86), 글로벌역량(3.55)의 순으로 실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인성 교육을 실행할 때 어려운 점으로, 많은 가정과 교사(64.71%)는 창의·인성 교육을 실행할 수업 자료가 부족한 데 있다고 하였으며, 40.11%의 교사는 창의·인성 교육의 연수 기회가 적은데 있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38.50%의 가정과 교사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평가 기준을 설정하거나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어렵다고 응답하였고, 25.67%의 교사는 창의·인성 교육 방법을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창의·인성 교육 실행을 위해서 필요한 지원에 대해서, '창의·인성 교육과 관련된 학생들의 체험활동의 확대'(4.34), '창의성과 인성을 중시하는 가정과 수업 문화 조성'(4.29), '학생 발달 단계에 적합한 창의·인성 교육 내용'(4.27), '창의·인성 교육을 담당할 교수·인력 확보'(4.21), '창의·인성 교육의 개념과 가치 확립'(4.09), '지역 사회·기업 등과 연계한 창의·인성 교육 추진'(3.94)의 순으로 응답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age of concern, level of use,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regard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HE) classroom.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sent through mails and e-mails to middle-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in the whole country selected by systematic sampling and convenience sampling. Questionnaires of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developed by Hall (1987) were used in this study. 187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y using SPSS/window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for the stage of concerns of Home Economics teacher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formational stage of concerns (85.51) was the one with the highest response rate and the next high in the following order: operational stage of concerns (81.88), perceptual stage of concerns (82.15), consolidation stage of concerns (68.80), co-operational stage of concerns (61.97), and consequential stage of concerns (59.76). Second, the levels of use of Home Economics teacher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was highest with mechanical levels of use (level 3; 21.4%) and the next high in the following order: exploratory levels of use (level 1; 20.9%), elaborative levels of use (level 5; 17.1%), not-used levels of use (level 0; 15.0%), preparatory levels of use (level 2; 10.2%), integrated levels of use (level 6; 5.9%), renewal levels of use (level 7; 4.8%), routinized levels of use (level 4; 4.8%). Third, for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more than half of the Home Economics teachers (56.1%) mainly focused on personality education in their Home Economics classes; 31.0% of the Home Economics teachers performed both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a small number of teachers (6.4%) focused on creativity education; the same number of teachers (6.4%) responded that they do not focus on neither of the two. More than half of the participants (55.1%) regarded a globally creative talent as someone who ‘accepts changes, cultivates future, knows no limit, and thus practical’. 30.5% of the participants chose ‘a creative person who suggests alternatives by being able to think outside the box’. 12.8% of the participants chose ‘a competent person who can exert his power anywhere on earth’ Examining the level and type of performance Home Economics teachers applied, the average score on the performance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was 3.76 out of 5.00 and the average score of creativity component was 3.59 and of personality component was 3.94, higher than standard. For the creativity education, openness/sensitivity (3.97) education was performed most and the next most in the following order: problem-solving skill (3.79), curiosity/interest (3.73), critical thinking (3.63), problem-finding skill (3.61), originality (3.57), analogy (3.47), fluency/adaptability (3.46), precision (3.46), imagination (3.37), and focus/ sympathy (3.37). For the personality education, the following components were performed in order from most to least: power of execution (4.07), cooperation/consideration/just (4.06), self-management skill (4.04), civic consciousness (4.04), career development ability (4.03), environment adaptability (3.95), responsibility/ownership (3.94), decision making (3.89), trust/honesty/promise (3.88), autonomy (3.86), and global competency (3.55). Regarding what makes perform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difficult, most Home Economics teachers (64.71%) chose the lack of instructional materials and 40.11% of participants chose the lack of seminar and workshop opportunity. 38.50% of participants chose the difficulty of developing an evaluation criteria or an evaluation tool while 25.67% of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do not know any means of perform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Regarding the better way to support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e Home Economics teachers chose in order from most to least: ‘expansion of hands-on activities for students related to education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4.34),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classroom culture putting emphasis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4.29), ‘a proper class curriculum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at goes along with students’ development stages’ (4.27), ‘securing enough human resource and number of professors who will conduct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4.21),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and value of the education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4.09), and ‘educational promotion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supported by local communities and companies’ (3.94).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