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광자-
dc.contributor.author남민선-
dc.creator남민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1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6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103-
dc.description.abstractIn Korea, the suicide rate has increased consistently for recent years, the methods of the suicide has been diversified and this trend has a great ripple effect on the society. In 2009 alone, the number of death by suicide reached 15,413, which means 42.2 persons per day, and reportedly, the first major cause of death in age groups from 10's to 30's was "suicide" in this country. This high suicide rate in the adolescent, who are supposed to prepare for their future, suggests the suicide is one of main risk factors for the adolescent's mental health in general.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how well adolescent suicide preventive education program works for the adolescent, when the program is carried out. The preventive program is developed especially for adolescents to educate them how valuable life is and to let them know about right attitude toward suicide. 32 boys and girls, currently attending H middle school (the 1st year students) within C area, are chosen as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32 boys and girls, also currently attending S middle school (the 1st year students) within the same C area, are chosen as control group by random sampling. The data was collected between March, 10 and April, 25 in 2011 and both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on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wo weeks after the preventive education, the following test was conducted on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Life - esteem scale, attitude toward suicide scale, suicidal risk scale were used for the measurement and adolescent suicide preventive education program, which had already developed by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icide Prevention, was modified and then used for the preventive education program for this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WIN 18.0 program and Chi-square analysis were used for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Homogeneity within the two groups were verified by t-test. And pre-test and post-test outcomes for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research hypothesis were verified by paired t-test. t-test. Then further changes of the program were verified by repeated measurement ANOV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After the preventiv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s life-esteem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t= 2.453, p=.017). 2. After the preventive program conducted, the experimental group's attitude toward suicid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s(t=-2.403, p=.019). 3. After the preventive program conducted, the experimental group's suicidal risk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group's(t=-2.113, p=.039). 4. In 2 weeks, after the suicide preventive program for adolescent being carried out, life-esteem, attitude toward suicide and suicidal risk of the test group's were re-measured. According to this result, life-esteem(F=7.852, p=.001) and suicidal risk (F=5.201,p=.008)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meaning the program's effect was maintained, however, attitude toward suicide (F=1.143, p=.325)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meaning its effect was not maintained.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its effect.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the following preventive program for attitude toward suicide be carried out. As represented above, the findings show suicide preventive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 works well for enhancing their life-esteem, correcting their wrong attitude toward suicide, decreasing their suicidal risk. In other words, the program will be very effective , assumably, to raise adolescents' life-esteem and to make them become healthier members of this society. Therefore, by being introduced to the schools and the communities throughout the nation, this program is highly expected to contribute to adolescent suicide prevention. Key Words : Life - esteem , Suicidal Attitude, Suicidal Risk, Suicide Preventive Program for Adolescent;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자살의 방법 및 파급 효과도 점점 확대되고 있다. 2009년 자살에 의한 사망자수는 15,413명으로 1일 평균 42.2명이 자살하였고, 10대부터 30대 연령에서의 사망원인 1위는 “자살”이라고 한다. 미래를 준비해야 하는 청소년 시기에 자살률이 높다는 것은 청소년의 자살 문제가 일반 청소년의 사망 위험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에게 생명의 소중함을 알려주고, 자살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안내하는 청소년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청소년의 생명존중의식과 자살태도,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C지역의 H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남, 여 학생 32명을 실험군으로, S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남, 여 학생 32명을 대조군으로 임의 표출하여 총 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3월 10일부터 4월 25일까지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사전조사와 사후조사를 실시하였고, 실험군에게는 프로그램이 끝난 2주 후에 추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생명존중의식, 자살태도, 자살위험성을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은 한국자살예방협회에서 개발한 청소년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1회 45분 간 총 4회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은 교차분석에 의한 Chi-square 분석을 하였고, 동질성 검증은 t-test를 시행하였으며, 청소년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paired t-test, t-test로 하였다. 그리고 청소년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의 프로그램의 추후변화는 Repeated Measures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청소년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생명존중의식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2.453, p=.017). 2. 청소년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살태도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t=-2.403, p=.019). 3. 청소년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살위험성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t=-2.113, p=.039). 4. 청소년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프로그램 2주 후 변화는 생명존중의식(F=7.852, p=.001)과 자살위험성(F=5.201, p=.00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유지하였으나, 자살태도는 2주 후 효과가 유지되지 않았다(F=1.143, p=.325). 따라서 자살태도는 2주 후에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청소년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생명존중의식, 자살태도, 자살위험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생명존중의식 함양에 밑거름이 되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유용한 프로그램이 될 것이며, 학교 및 지역사회에 보급되어 청소년 자살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연구 가설 5 D. 용어 정의 6 Ⅱ. 문헌고찰 8 A. 청소년의 생명존중의식 8 B. 청소년의 자살태도 10 C. 청소년의 자살위험성 15 D. 청소년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 18 Ⅲ. 연구방법 29 A. 연구 설계 29 B. 연구 대상 30 C. 연구 도구 30 D.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37 E. 연구의 제한점 38 F. 연구 대상자의 윤리적 고려 38 Ⅳ. 연구결과 40 A. 연구 대상자의 동질성 검증 40 B. 가설 검증 43 V. 논의 48 Ⅵ. 결론 및 제언 55 참고문헌 57 부록 65 <부록 A> 연구도구 65 <부록 B> 청소년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 계획서 72 <부록 C> 청소년 정신건강증진사업 업무협약서 76 ABSTRACT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393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청소년 자살예방 교육 프로그램이 생명존중의식, 자살태도,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uicide Preventive Program for Adolescent on their Life-esteem, Attitude toward Suicide and Suicidal Risk-
dc.creator.othernameNam, Min Sun-
dc.format.pagevi,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