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0 Download: 0

'섹슈얼리티(Sexuality)'를 통해 본 영화와 무용 속 몸 이미지 연구

Title
'섹슈얼리티(Sexuality)'를 통해 본 영화와 무용 속 몸 이미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exuality of Human Body in Films and Dances
Authors
나수진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말복
Abstract
오늘날 섹슈얼리티 이미지는 TV 광고나 드라마에서부터 영화와 연극, 회화와 무용 등 문화와 예술 제 영역에서 ‘과잉’이라고 불릴 정도로 무분별하게 표현되고 있다. 그러나 섹슈얼리티 이미지의 과잉이라는 현실에 반해, 섹슈얼리티에 대한 올바른 이해나 표현방법에 대한 이론적 접근은 부족한 편이며 특히 섹슈얼리티 이미지의 중심이 되는 ‘몸’에 대한 연구는 극히 적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현실적 요구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섹슈얼리티의 개념과 관련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섹슈얼리티 이미지를 이해하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섹슈얼리티 이미지를 창조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몸’의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섹슈얼리티 이미지를 올바로 표현하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런 과정을 통해 무용예술이 대중과 소통하는 지점을 확대하고자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몸이라는 공통적인 요소를 근거로 무용과 영화를 하나의 틀에 놓고 분석함으로써 영화가 가지는 대중성과 무용이 가지는 예술성이 상호침투 가능한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우선 섹슈얼리티 개념의 발전과정과 섹슈얼리티 구성과 관련한 이론을 소개하고, 이들 이론을 토대로 섹슈얼리티 이미지가 내포한 의미를 기능에 따라 통속적 섹슈얼리티, 진화적 섹슈얼리티, 혼재적 섹슈얼리티라는 세 가지 틀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 틀을 기준으로 네 편의 영화「오리지널 씬」,「툼 레이더」,「필라델피아」,「처녀들의 저녁식사」와 세 편의 무용작품 케네스 맥밀란의「로미오와 줄리엣」, 마츠 에크의「카르멘」, 마기 마랭의「비대한 세상」의 다양한 섹슈얼리티 이미지를 분류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섹슈얼리티 이미지는 배우나 무용수의 몸 뿐 아니라 그들이 착용하는 의상과 소품, 그리고 스크린이나 무대에 등장하는 다양한 오브제들과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어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주변 환경과 유기적 조화를 이루는 몸의 특성을 본 연구는 ‘확장성’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확장성은 생성된 이미지를 해독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다. 확장의 대상이 많아 확장성이 커질수록 이미지의 가독성은 높아지고 상징성은 줄어든다. 반대로 확장성이 낮을수록 상징성은 높아지고 이미지의 가독성은 낮아진다. 그러나 지나친 확장성의 강조는 생동감이나 감흥을 떨어트리고, 반대로 지나친 상징성의 강조는 소통 자체를 막아버리는 폐해로 작용하는 결과 또한 얻을 수 있었다. 몸의 확장성이 섹슈얼리티 이미지를 생성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근원이 되면서, 동시에 이미지를 해석하는 통로가 된다는 연구의 결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프레임에 속한 정보가 많아 확장이 높은 영화의 이미지는 무용의 이미지보다 해석이 용이한데, 이는 영화가 무용보다 훨씬 대중적인 이유가 된다. 물론 이 말이 무용의 무대 위에 다양한 확장의 대상을 무분별하게 올려두자는 주장은 아니다. 다만 지나치게 추상적으로 치닫는 현대의 무용에 있어 이미지의 상징성을 조금 내려놓는 대신 대중과의 소통지점을 조금 높이는 것도 유의미하다는 것이다. “아무도 오지 않는 공연보다 아무와도 소통하지 못한 공연이 훨씬 가혹한 것”이기에 대중성을 잃어가는 무용 전반이 새로운 활력을 찾는데 이 연구가 작은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Today, sexual imagery is indiscriminately expressed and applied by practitioners in such cultural and artistic fields of broadcasting media, film, painting, and dance to the level of "oversaturation." Despite the current "oversaturation" state of sexual imagery, theoretical approaches to expression of and proper understanding on sexuality are discernibly lacking in the fields. Especially, very little study has been conducted on "human body" itself, the core of any image of sexuality. In light of such circumstances and the consequent needs for more academic and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prevalently consumed image of sexuality in the fields, this study primarily explores and examines the concept of sexuality and the related theories in order to provide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image of human sexuality.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endeavors to proffer the appropriate standards for properly expressing the image of human sexuality by prob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ody," the very source that gives life and meaning to any image of sexuality. Through these academic exercises, the study ultimately aims to expand the channels for dance art to more effectively communicate with the public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ter-penetration between the popularity of films and the artistry of dances by analyzing dances and films under the common analytical denominator of "human body." With respect to structure, the present study initially introduces the developments in the concept of sexuality and the related theories on the composition of sexuality. Using the introduced theories as the basis, this study categorizes the connotative meanings of the image of sexuality into the three frames of "popular sexuality," "evolutionary sexuality," and "consolidated sexuality" on functional basis. Based on these frames, this study categorizes and analyzes diverse images of sexuality projected in four movies of 「Original Sin」,「Tomb Raider」, 「Philadelphia」, and 「Dinners of Virgins」 and three dance works of Kenneth MacMillan's「Romeo and Juliet」, Mats Ek's「Carmen」, and Maguy Marin’s「Groos Land」. During the process of categorization and analysis, the study identifies that the images of sexuality become generated not only from the bodies of dancers or actors, but also from the organic harmonization of the bodies, such costumes and props worn by the dancers and actors, and other various objects appearing on screen or stage. This study perceives that this characteristic of human body which can function in organic harmony with surrounding environments represents human body’s "extensibility." This "extensibility" then influences the interpretation of the images generated from human body. As this "extensibility" increases due to the prevalence of the subjects for "extension," an applicable image’s readability correspondingly increases while its symbolism decreases. Conversely, low "extensibility" results in higher symbolism and lower read ability of an applicable image of sexuality. The study, however, also finds that the excessive emphasis on "extensibility" would decrease the image’s vivacity and delectation while the excessive emphasis on symbolism would result in the fatal effect of closing off the communication itself. This study’s finding that the "extensibility" of human body is both the source for originating and giving meaning to the image of sexuality, as well as the channel for interpreting such image has significant meaning. Images from films, media of high "extensibility"due to high volume of information present in frames are easier to interpret than images from dance, making films much more popular and easily accessible. This study does not propose to indiscriminately introduce various subjects for "extensibility" on dance floor by making this finding. Nevertheless, it may be beneficial and meaningful for the excessively abstraction driven dance art of today to endeavor to steer back towards widening the passage for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by softening on its pursuit of symbolism. Believing that “the performance that fails to connect and communicate with its audience is much more tragic than the performance with no audience," this study wishes to serve as however small momentum for the art of dance to find a new catalyst for reconnecting with the public.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