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기숙-
dc.contributor.author황유선-
dc.creator황유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33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2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5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292-
dc.description.abstract단클론 단백은 비정상적으로 증식된 클론성 형질세포에서 분비된 면역글로불린으로, 다양한 질환에서 검출된다. 단클론 단백의 검출은 혈청이나 소변의 단백 전기영동검사를 이용하여왔고, 최근에는 유리경쇄검사가 도입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형질세포 종양에서 단백 전기영동검사, 유리경쇄검사, 골수검사의 진단적 민감도를 산출하여 단클론 단백 검출을 위한 최적의 선별검사를 찾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대목동병원에서 1998년부터 2010년까지 혈청이나 소변에서 단클론 단백이 검출된 113명의 환자의 진단과 검출된 단클론 단백의 성상에 대해 검토하였고, 진단명을 바탕으로 혈청 단백 전기영동검사, 골수검사, 그리고 유리경쇄검사의 진단적 민감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의학연구심의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하였다. 단클론 단백 검출은 2006년 이전에는 아가로즈 겔 전기영동 (REP syste단클론, Helena laboratories, TX, USA)를 이용하였고 이후에는 모세혈관 전기영동 (CAPILLAYS 2, Sebia, Issy-Ies-Moulineaux, France)를 이용하였으며, 면역고정 전기영동을 통해 단클론 단백의 유형을 확인하였다. 유리경쇄검사는 FREELITETM (The binding Site Ltd., BirMinghaM, UK) 시약을 이용하여 BNⅡ (Dade Behring)로 측정하여 κ/λ 비를 구하였다. 113명 환자의 진단은 다발골수종 76명 (67%), 미결정유의성 단클론감마병증 29명 (26%), 발덴스트롬 마크로글로불린혈증 2명 (2%), 아밀로이드증 2명 (2%), POEMS 증후군 1명 (1%), 림프종 3명 (3%)이었다. 단클론 단백 농도는 다발골수종에서 3.27 ± 2.14 g/dL, 미결정유의성 단클론감마병증에서 0.97 ± 0.81 g/dL으로, 다발골수종과 미결정유의성 단클론감마병증 사이에는 단클론 단백의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00). 그리고 유리경쇄검사에서 단클론 단백의 유형에 따라 κ/λ 비에 차이를 보였다 (P = 0.004). 혈청 단백 전기영동검사, 유리경쇄검사, 골수검사를 단독으로 시행하는 경우 양성률이 87.6%, 84.1%, 84.5%인데 반해, 두 개 검사를 동시에 선별검사로 하는 경우 양성률이 모두 100%로 진단적 민감도가 높았다. 결론으로 혈청 단백 전기영동검사를 이용하여 단클론 단백을 검출하고 유리경쇄를 확인하는 것이 형질세포 종양의 비침습적이며 효율적인 선별검사로 판단된다.;The monoclonal protein is immunoglobulin produced by single clone of plasma cells and detected in various diseases. The monoclonal protein has been detected by serum and urine protein electrophoresis. And recently quantitation of free light chain enables to diagnosis more sensitively.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characterize and quantify the monoclonal protein according to the diagnosis and to find the best screening test(s) based on the diagnostic sensitivity of each test. This study had been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in Ewha Womans University Medical Center. The diagno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noclonal protein of 113 patients with monoclonal protein from 1998 to 2010 were reviewed. The detection of the monoclonal protein was established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REP system, Helena laboratories, TX, USA) before 2006 and by capillary EP (CAPILLAYS 2, Sebia, Issy-Ies-moulineaux, France) since 2006, and the ambiguous results were confirmed by immunofixation electrophoresis. The free light chains (rFLC) were measured with FREELITETM (The Binding Site Ltd., Birmingham, UK) by BNII (Dade Behring, Marburg, Germany). The diagnosis of 113 patients were multiple myeloma (MM) 76 (67%), monoclonal gammopathy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MGUS) 26.3%,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WM) 2 (2%), amyloidosis 2 (2%), POEMS syndrome 1 (1%), and lymphoma 3 (3%). The concentration of monoclonal protein was 3.27 ± 2.14 g/dL in mm, 0.97 ± 0.81 g/dL in MGUS, 1.29 ± 1.57 g/dL in WM, 0.61 g/dL in amyloidosis, 0.99 g/dL in POEMS syndrome, and 3.93 ± 2.49 g/dL in lymphoma. The concentration of monoclonal protei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M and MGUS (P = 0.000). And κ/λ ratio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immunotype of monoclonal protein (P = 0.004). The diagnostic sensitivity of each serum protein electrophoresis, free light chain test, and bone marrow study were 87.6%, 84.1%, and 84.5%, respectively. And the sensitivity of all combined tests was improved to 100%. In conclusion, considering the diagnostic sensitivity and convenience, the combination of protein electrophoresis test with immunotyping in serum and urine and free light chain test in serum could be best screening tests for the detection of monoclonal protei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대상 및 방법 3 A.연구 대상 3 B.방법 3 Ⅲ. 결과 6 A.혈청 단클론 단백이 검출된 환자의 진단 및 특성 6 B.각 검사들의 진단적 예민도 산출 7 IV. 고찰 9 V. 결론 17 표 18 참고문헌 20 영문초록 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22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형질세포 종양의 진단에서 선별검사들의 유용성 검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valuation of the screening tests for the diagnosis of plasma cell neoplasm-
dc.creator.othernameHwang, Yu Sun-
dc.format.pagevii, 2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