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6 Download: 0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녹색생활교육 학습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및 요구도

Title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녹색생활교육 학습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및 요구도
Other Titles
Importance, Status and Requirement for Components of Green Lifestyl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Domestic Science Teachers
Authors
우윤미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채정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if the domestic science teachers understand how important the components of green lifestyle education are, how much teaching is being done through classes, and what kind of educational components are required.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domestic scienc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throughout the country and a remote sampling via e-mail had been used. E-mail addresses of the domestic science teachers were gathered by visiting respective web pages. Except those e-mails without responses and incorrect e-mail addresses, 97 out of total 512 e-mails were used as analytical data for the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8.0. The summary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desired components of green lifestyle education for each section of domestic science (children/family life, household management/consumer lifestyle, eating, wearing, and residing) have been looked into. For children/family life section, ‘caring-for-family experience and evaluation (creating a sustainable society through looking after family in harmony), ‘practicing green lifestyle at home’, ‘establishing a democratic family relationship to form a sustainable household’, ‘ways to reduce CO2 emission during wedding ceremony (outdoor wedding ceremony)’, ‘eco-friendly family welfare service (using health center)’, ‘participating voluntarily in local community’, and ‘understanding different cultures and diversity. Highly desired educational components in children/family lifestyle section are ‘green purchasing (use of local markets)’, ‘use of eatery marking system (food tracking system)’, ‘environment ledger writing-method’, ‘status of household’s disposing of container wastes’, ‘finding out of CO2 level per unit’, ‘quality guarantee mark for green consumption (environmental mark, carbon level mark)’, ‘Lohas lifestyle, Lohas spending’. In the eating section, the highly desired educational components are ‘use of food bank’, ‘eco-cooking (reasonable cooking time, saving water, etc.)’, ‘relationship between food and environment’, ‘food diet using organic products’, ‘quality guarantee mark for traditional food products’, ‘recycling of used cooking oil’, and ‘significance of 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s)’. Highly desired educational components for wearing section include ‘eco-friendly and pro-human underwear-putting on methods’, ‘selection of more eco-friendly detergent such as natural detergent’, ‘use of natural fabrics and eco-friendly fabrics (corn fabric clothes, etc.), ‘use of natural dyeing’, ‘period of buried clothes to be decomposed’, ‘relationship between synthetic detergen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nd ‘ways to redo clothes’. Lastly, in the residing section, highly desired educational components include ‘eco-friendly materials’, ‘nature-centric residence design’, ‘energy-saving houses’, ‘eco-friendly components of hanok’, ‘eco-friendly DIY furniture’, ‘eco-friendly architecture recognition program’, and ‘sick house syndrome and building syndrome’. Second,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importance and status of green lifestyle education for domestic science,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status among children/family, household management/consumer lifestyle, eating, wearing and residing - subsections of green lifestyle educational components were significant, and the importance for all subsections was shown to be higher than the status. Hence, we can see that the execution status is lower than the importance for all subsections. Lastly, child/family lifestyle section had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extbook usage, green lifestyle training experience, and educational credibility as per establishment type and reformation of educational courses in 2007. The teachers of children/family lifestyle section who did not teach using the reformed textbooks required more green lifestyle education. The household management/consumer lifestyle section had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aching of 2007 reformed materials, teaching experience, major of undergraduate degree, educational level, in-charge area, and type of school. The teachers who did not teach using 2007 reformed courses did require more green lifestyle education in terms of household management/consumer lifestyle section. For eating section, marriage status, training experience, major of undergraduate degree, educational level, in-charge section, and type of schoo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Married teachers and teachers with no training background required more eating section green lifestyle education. Wearing se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teaching experience, and location. Men were shown to require more wearing section green lifestyle education than women. Lastly, for residence section, marriage status, use of 2007 reformed materials, training experience, major of undergraduate degree ha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Married teachers and teachers with no training background required more residing section green lifestyle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사들이 녹색생활교육 학습요소에 대해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수업을 통해 어느 정도 실행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학습요소를 요구하고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중학교에 재직하는 가정과 교사이고 표집은 이메일을 통한 무선 표집방법을 사용하였다. 무선 표집 방법은 중학교 홈페이지에 모두 방문하여 가정과 교사 이메일 주소를 찾아내었다. 이메일 주소는 512개를 수집하여 응답이 없는 경우와 메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수된 이메일 중 97부부를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각 영역(아동/가족생활, 가정경영/소비생활,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의 녹색생활 학습요소의 요구도를 알아본 결과, 차기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서 포함되어야할 요구도가 높은 학습 요소는 아동/가족생활역에서는 ‘가족 돌봄 체험과 재평가(협력적 가족 돌봄을 통한 지속가능한 사회 형성)’, ‘가정에서 녹색생활 지침 활용’, ‘지속가능한 가정 형성을 위한 민주적 가족관계 형성하기’, ‘CO2 발생을 줄이는 결혼식 방법(야외 결혼식 등)’, ‘친환경적인 가족 복지 서비스(건강가정센터 활용)’, ‘지역 공동체 자발적 참여’,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다문화, 다양성 인정하기’로 나타났다. 가정경영/소비생활영역에서 요구도가 높은 학습 요소는 ‘녹색구매(알뜰시장의 활용)’, ‘먹을거리 표시제 활용(식품이력 추적제)’, ‘환경가계부 작성 방법’, ‘가정 쓰레기 중 용기포장 폐기물 실태’, ‘1세대 당 연간 CO2 배출량 추이’, ‘녹색소비와 관련한 품질인증마크(환경 마크, 탄소 성적 표지 마크)’, ‘로하스 의식, 로하스 소비’이었다. 식생활영역에서 요구도가 높은 학습 요소는 ‘푸드 뱅크 활용’, ‘에코 쿠킹(합리적 조리시간, 물 절약 등)’, ‘식품과 환경과의 관계’, ‘유기농 제품을 이용한 식생활’, ‘전통식품 품질인증마크’, ‘폐식용유의 재활용 방법’, ‘우수농산물관리제도(GAP)의 의의’이었다. 의생활영역에서 요구도가 높은 학습 요소는 ‘친환경 및 친인간적 속옷 착용법’ ‘천연세제와 같은 오염도 낮은 세제 선택’, ‘천연섬유와 환경 배려 섬유(옥수수섬유 옷 등)’, ‘천연염색의 이용’, ‘의복 매립 시 분해될 때까지 걸리는 기간’, ‘합성 세제와 환경오염 관계’, ‘의복 고쳐 입는 방법’이었다. 마지막으로 주생활영역에서 요구도가 높은 학습요소는 ‘친환경 건축자재’, ‘자연중심적 주거생활양식’, ‘에너지 절약형 주택’, ‘한옥의 친환경적 요소’, ‘친환경 DIY 가구’,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 ‘새집 증후군과 헌집 증후군, 빌딩 증후군’이었다. 둘째, 가정과 영역의 녹색생활 교육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알아보고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녹색생활 학습요소의 하위영역인 아동/가족생활영역, 가정경영/소비생활영역, 식생활영역, 의생활영역, 주생활영역에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모든 녹색생활 학습요소의 하위영역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가 실행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녹색생활 학습요소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중요도에 비해서 실행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정과 영역의 녹색생활 교육이 일반적 특성에 따라 요구도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본 결과, 아동/가족생활영역은 설립유형,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사용 여부, 녹색생활 연수 경험 유무, 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2007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로 수업하지 않는 교사들이 아동/가정생활 영역 녹색생활 학습을 더 많이 요구하였다. 가정경영/소비생활영역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수업 여부, 학부전공, 학력, 담당영역, 학교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2007개정 교육과정으로 수업하고 있지 않는 교사가 가정경영/소비생활 영역 녹색생활 학습을 더 많이 요구하였다. 그리고 식생활영역에서는 결혼여부, 연수경험, 학부전공, 학력, 담당영역, 학교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미혼보다는 기혼의 교사가,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가, 식생활영역 녹색생활 학습을 더 많이 요구하였으며 의생활영역은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성별에서는 남자교사보다 여자 교사가 의생활영역 녹색생활 학습을 더 많이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생활영역은 결혼 여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사용 여부, 연수 경험, 학부전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기혼 교사가 미혼 교사에 비해서,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주생활영역 녹색생활 학습을 더 많이 요구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