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류한영-
dc.contributor.author박주현-
dc.creator박주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8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5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5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533-
dc.description.abstract혁신은 급변하는 시장 환경과 기업 간의 치열한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기업이 선택한 핵심 전략이고, 혁신을 통해 시장을 선도하게 된 사례들을 발견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초기 혁신은 기업내부 구조, 업무, 공정 등에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거나 새로운 기술, 제품, 서비스를 개발하는 기업내적 혁신으로 진행되면서 혁신을 통한 기업의 생존 및 발전에 한계가 나타났다.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가 상품이나 서비스의 판매를 통한 이윤의 추구라고 할 때, 기업내부에서 이루어지는 혁신은 비용의 절감과 능률의 향상 측면에서 가치가 있겠으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적극적인 전략이 되지 못하면서 더 이상 혁신을 위한 핵심 수단이 되기 어려운 상황이 전개되었다. 기업은 이러한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한 방법으로 혁신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디자인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디자인의 역할을 강화시키고 디자인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다각적으로 기울이고 있다. 디자인은 평준화된 기술력을 차별화시키고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적극적인 혁신을 추구할 수 있는 핵심인 것이다. 하지만 혁신에 대한 연구에서 디자인은 여전히 핵심 요인으로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디자인분야의 연구에서도 혁신을 이루기 위한 핵심 방법으로서의 디자인에 대한 논의는 매우 피상적이고 원론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중심의 혁신이 지니는 의미와 디자인 중심의 혁신에서 추구되어야 할 가치를 규명함으로써, 디자인을 중심으로 하는 혁신 방안을 정립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혁신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 혁신을 선행적으로 이해하고, 혁신을 주도하는 주체의 변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혁신의 핵심 방법으로 디자인의 당위성을 논의하였다. 또한 기업에서 바라보는 디자인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고정관념으로 인해 혁신의 핵심 방법으로서의 디자인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논의가 잘못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밝힘으로, 혁신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그들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디자인 중심의 혁신을 정립하고 그 특징을 정리하였다. 둘째, 디자인 중심의 혁신에서 추구되어야 할 가치와 이들이 나아가야 할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디자인관점에서 디자인 중심의 혁신성 요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핵심 개념으로 사용자 경험을 정의하고, 사용자 경험을 논의하고 있는 다양한 문헌에서 세부 요인들을 정리하였다. 정리된 요인을 활용하여 디지털미디어를 대상으로 실증적 조사를 진행한 결과, 디자인 중심의 혁신성 요인은 자기표현, 편의성, 학습성, 감성, 유용성, 사회적 위상, 자극된 고무성, 타인과의 공유의 8 가지로 도출되었다. 셋째, 많은 사용자들이 혁신을 선도하는 혁신자들의 의견과 평가를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혁신자들이 긍정적으로 경험하고 받아들이는 혁신성 요인들이 더욱 가치가 있을 것이다. 이에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혁신자 집단이 비혁신자 집단 보다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디자인 중심의 혁신성 요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자기표현, 감성, 자극된 고무성은 개인적 가치, 사회적 위상, 타인과의 공유는 사회적 가치, 편의성, 학습성, 유용성은 기능적 가치의 3가지 디자인 가치 개념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조사를 진행한 결과 혁신성 요인에 대한 집단 간에 주목할 만한 차이가 보였는데, 개인적 가치에 해당하는 자기표현, 자극된 고무성, 그리고 사회적 가치에 해당하는 사회적 위상, 타인과의 공유를 혁신자 집단이 비혁신자 집단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혁신자가 비혁신자에 비해서 디지털미디어 기기를 통해서 갖게 되는 기능적 가치보다는 자신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개인적 가치나 사회적 가치를 긍정적으로 여기고 있음을 보여준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중심의 혁신을 정립하고 디자인 가치로서의 혁신성 요인을 도출한 후, 혁신을 선도하는 혁신자들이 비혁신자들보다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혁신성 요인을 조사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혁신이 사회전반에 걸쳐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시점에서 새로운 가치로서 디자인이 혁신의 핵심이라는 것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디자인은 인간중심적인 사고로 기술적 경제적으로 실현 가능한 것들을 적절히 결합시켜 사용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탄생시킬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이 있다. 이전의 혁신은 분석적이고 논리와 추론에 입각한 사고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지만, 디자인 중심 혁신은 창조적이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직관적인 사고로 진정한 혁신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디자인이 혁신을 이끄는 힘이 될 수 있는 것이며, 디자인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능력을 혁신의 핵심으로 여긴다면 성공적인 혁신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의 네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기업에게 혁신을 추진함에 있어 디자인이 중심임을 인식시키고, 혁신 제품 및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 디자인 중심의 혁신을 어떻게 이끌어 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디자이너에게 스타일링과 미학으로 제품을 차별화를 만들어 내는 역할뿐만 아니라, 디자인적 사고와 창조적 능력을 가진 그들의 역량과 혁신 활동의 주체로서의 역할이 확대·강화되고 있음을 인식시킬 수 있었다. 셋째, 앞서 도출된 디자인 중심의 혁신성 요인은 제품 및 서비스를 디자인 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참여자들로 하여금 공동의 목표를 추구 할 수 있으며, 출시하기 전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평가 과정에서 기준으로도 활용됨으로써 디자인 중심의 혁신 활동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혁신자가 비혁신자 보다 긍정적으로 여기는 혁신성 요인을 조사하여, 디자인 중심의 혁신이 나아가야할 방향이나 컨셉을 도출하는 등 효과적인 디자인 중심의 혁신을 이루는데 본 연구가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Innovation is a key strategy of choice by a company to survive from the radically changing market and harsh competition. Successful cases of a company leading the market through innovation are not difficult to find. However some limits became apparent hindering survival and progress of a company as an initial innovation brings changes in internal structure, task and process or as the innovation develops through new technology, product and service into an internal innovation. If an ultimate goal of a company is making profits through selling products or services, an internal innovation of a company might be effective reducing costs and enhancing work efficiency. However such an internal innovation could not be an aggressive strategy appealing directly to consumers. In reality, it became ‘less new and less innovative’ and failed to serve as a key method for innovation. Thus companies turned their attention to design which offers a new direction for innovation. They make various efforts to reinforce the role of design and enhance design competitiveness. Design is the key to differentiate indiscriminate technology and apply aggressive innovation strategy directly to consumers. However previous studies on innovation fail to discuss design as a key factor. Even the discussions on design studies handle this issue of design being the key method for innovation only on the surface and in theory. Against this backdrop,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design-centered innovation and define values to pursue during such innovation. It was also to devise innovation plans focused on design.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previous studies on innovation were reviewed, innovation was understood proactively, changes of subjects leading innovation were examined and justification of design as a key method of innovation was discussed. Moreover the current approach of companies towards the meaning and function of design as a key method of innovation was criticized based on the fact that design had been stereotyped and misunderstood. Here, a clear understanding of design to achieve innovation was solidly established. Subsequently design-centered innovation to provide new experience for user and new value in daily life was define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summarized. Second, innovativeness factors for design-centered innovation were investigated from the design perspective in order to present values, standards and directions in design-centered innovation. User experience was proposed as a key concept of innovativeness factors, and factors were categorized based on various studies which discuss the user experience. By applying these factors to a verification process on digital media, eight factors were identified as follows: self-expression; convenience; learnability; usefulness; social prestige; stimulated elevation; and sharing with others. Third, many users highly value the opinion and critique of an innovator so that innovativeness factors positively experienced and accepted become highly valuable. Thus a classification was made by characteristics of users and certain innovativeness factors for design-centered innovation appreciated more by the innovator group than non-innovator group were examined. Here, eight innovativeness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as follows. Individual value included self-expression, emotion and stimulated elevation, while social value included social prestige and sharing with others. Functional value included convenience, learnability and usefulness. The resul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regarding innovativeness factors. Innovator group evaluated individual value of self-expression and stimulated elevation, social value of social prestige and sharing with others more positively than non-innovator group did. It was due to the difference that the innovator group considered individual and social values generated mainly by self more important than functional value obtained by possessing a digital media. This study defined design-centered innovation and innovativeness factors from the design perspective. The difference in user characteristics was also elabora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onducting an explorative study on innovation in which design, as a new value, plays a key role. It is a timely subject since the idea of innovation is emphasized throughout the society in general. Furthermore design has a unique power to produce a product or service that can satisfy users by combining viable technique and economy based on a human-centered thinking. Innovations in the past tried to solve problems with analytic and rational thinking. By contrast, design-centered innovation enables an authentic innovation by creative and intuitive thinking. Hence design can be a leading force for innovation and a successful innovation can be achieved by treating special quality of design as a key to innovation. Sugges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four. First, the fact that design is a key to innovation was recognized by companies in promoting innovation. A direction was offered how to lead design-centered innovation for creating innovative products and services. Second, designers recognized their role both as a creator of distinguished products through styling and aesthetic and as a subject of innovation through design thinking and creative mind. Their role and capacity are expanding and reinforced. Third, above-mentioned innovativeness factors for design-centered innovation allow participants of a design process for products and services and pursue a common goal. They can be also used in design-centered innovation activities as a standard for various evaluation procedures prior to a market release. Finally, thanks to this study on innovativeness factors valued more by innovators than non-innovator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n effective design-centered innovation such as providing a direction or concept for such innov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1 B. 논문의 구성 체계 7 Ⅱ. 문헌고찰 9 A. 혁신 연구 및 혁신성 요인의 변화 9 1. 혁신 개념 및 연구 관점의 변화 9 2. 소비자관점의 혁신성 요인 변화 13 3. 소비자 특성에 따른 소비자 혁신성 19 B. 디자인 중심의 혁신과 사용자 경험 23 1.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 23 2. 디자인 중심의 혁신 28 가. 디자인으로의 혁신 주체 변화 28 나. 디자인 중심 혁신의 특성 35 3. 디자인 중심의 혁신성 요인으로서의 사용자 경험 40 가. 디자인 중심의 혁신을 위한 사용자 경험의 이해 41 나. 디자인 중심의 혁신성 요인으로서의 사용자 경험 요소 43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59 A. 연구문제 59 B. 연구방법 61 1. 디자인 중심의 혁신 정립 61 2. 디자인 중심의 혁신성 요인 정리 62 3. 디자인 중심의 혁신성 요인 도출 62 4. 디자인 중심의 혁신성 요인에 대한 사용자 특성별 차이 조사 63 Ⅳ. 연구결과 64 A. 연구문제 1의 결과 64 1. 디자인 중심의 혁신 정립 64 B. 연구문제 2의 결과 68 1. 문헌을 통한 디자인 중심의 혁신성 요인 정리 69 2. 디자인 중심의 혁신성 요인 도출 77 가. 설문조사의 절차 78 나.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79 다. 디자인 중심의 혁신성 요인 도출 결과 80 C. 연구문제 3의 결과 84 1. 디자인 중심의 혁신성 요인에 대한 사용자 특성별 차이 조사 84 가. 측정 도구와 변수의 조작적 정의 85 나. 설문 조사의 절차 89 다.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매체 이용의 특성 90 라. 조사 대상자의 사용자 혁신성에 따른 집단 분류 93 마. 디자인 중심의 혁신성 요인에 대한 집단 간 차이 결과 95 Ⅴ. 결론 및 제언 107 A. 결과 요약 및 논의 107 B. 연구의 함의 및 한계와 추후 연구방향 114 참고문헌 120 부록 1. 디자인 중심의 혁신성 요인 도출을 위한 설문지 133 부록 2. 디자인 중심의 혁신성 요인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위한 설문지 138 Abstract 1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05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디자인 중심의 혁신을 위한 디자인 가치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혁신적 디지털미디어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Design Values for Design-Centered Innovation : Based on Innovative Digital Media-
dc.creator.othernamePark, Joo Hyun-
dc.format.pagex, 14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