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규룡-
dc.creator최규룡-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7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6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5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674-
dc.description.abstract각막은 정상안 및 굴절이상안에 있어서 시력결정의 주요인이 되기 때문에 각막의 만곡도에 대한 정확한 측정과 각 개인별 차이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이 점증하고 있다. 이에 저자는 1984년 9월 1일부터 1985년 2월 28일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부속병원 안과에 내원한 굴절 이상자 중 근시안에 있어서 각막 만곡도의 평균치를 구하고 굴절이상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각막의 수평만곡반경과 수직만곡반경의 평균치는 각각 우안의 수평만곡 7.7876±0.9791mm, 수직만곡 7.7217±0.8527mm 좌안의 수평만곡 7.8628±0.7295mm, 수직만곡 7.5986±1.2349mm이었다. 2. 성별로 본 각막만곡 평균치의 비교에 있어서는 좌ㆍ우안 및 수평ㆍ수직만곡 평균치에 있어서 항상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5). 3. 연령 군별로 본 각막만곡 평균치의 비교에 있어서는 24세 이하군, 25~44세 군 및 45세 이상군에서 좌ㆍ우안 및 수형ㆍ수직 만곡평균치에 있어서 연령 군에 의한 각막만곡 평균치의 차이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4. 굴절이상도와 각막만곡 평균치간의 상관성 연구결과 상과도 0.32%~4.66%로서 유의한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uthor has measured refractive error and control curvature in 500eyes of 250 patients who attended the Department of Ophthalmology,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as chief complain, for 6 months from Sep. 1, 1, 1984 through Feb. 28, 1985, and found the found the following conclusions : First, as for the means of each corneal horizontal curvature and vertical curvature, the mean of horizontal curvature was 7.7876±0.9791mm; that of vertical curvature was 7.7217±0.8527mm in right cornera, while the mean of horizontal curvature was 7.8628±0.7295mm; that of vertical curvature was 7.5986±1.2349mm in the left cornea. Second, as for the comparison of corneal curvature by sex, it was highly significant (P〈0.05) that the means of each corneal horizontal curvature and vertical curvature were always larger in the case of male than that of female. Third, as for the comparison by each age group (age groups under 25 years, from 25 through 44 years, and from 45 years up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P〉0.05) in respective means of each corneal horizontal curvature and vertical curvature among age groups. Fourth, as the result of this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corneal curvature and refractive error, its correlation is 0.32% to 4.66%, showing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연구대상 및 방법 3 III. 결과 4 A. 각막의 수평만족반경과 수직만곡반경의 평균치 4 B. 성별 각막만곡평균치의 비교 4 C. 얀량군별 각막만곡평균치의 비교 4 D. 굴절이상도와 각막만곡평균치간의 상관성 5 IV. 고찰 15 V. 결론 18 참고문헌 19 영문요약 2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958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굴절이상과 각막 만곡도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RRELATION BETWEEN CORNEAL CURVATURE AND REFRACTIVE ERROR-
dc.creator.othernameChoi, Kyu Ryong-
dc.format.pagev, 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