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2 Download: 0

국내 파티문화 유형에 따른 파티드레스 디자인 개발 연구

Title
국내 파티문화 유형에 따른 파티드레스 디자인 개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sign development of Party dress according to the Type of Party culture in Korea
Authors
이민정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인성
Abstract
Modern Party culture came from Salon culture of the nobility as a pattern of the social gathering, and it became "PARTY" mixed with the Internal culture code through media and internet. Party culture got to be a life style of people for those who has similarities in their goals, values, life patterns. Interest in their own specific life style and tendency to be served as special ones in an extraordinary place have popularized party which was considered high class culture. Party culture became very popular and people took more interest in party fashion. And now party dress got to need sensibilities in design. Party dress is considered that it helps people outstanding in style and dignifies their character, and the popularization of party culture stimulates party dress in design to be detail and specific. What is more, the growth of party dress in industry makes enormous demands on party dress and its creative design. Therefore we are to survey the consumer's need and the contemporary party culture, and design party dress according to them. Now I believe we agree that party dress needs to have dignity and practical use satisfying the customers' need, because the demand of party dress and its market in size have been increasing as party culture got to be popularized. And what I am aiming in my study is below. First, I am going to look into what they, the salon culture and the party culture in Korea, really are, where they are from and what their characteristics are. Then I will find out how they are related. Second, I am going to classify the type of party, varied by popularization,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how the party wear in Korea goes. Third, I am going to get hold of the actual state of the party culture in Korea and the party dress style according to classified party types. Then I will analyze them in groups of two, the ordinary consumers and the fashion designers. Forth, I am going to complement each other and to apply the result to develop the design of party dress. The followings are what I study and what I got. First, the party and the salon culture originated in ancient Greek festivals and sports. The salon culture was an impartial social and cultural gathering for women, that started from the palace and became very popular among an ordinary people in the 17th century. In the beginning a gathering was held at the castle and soon it appeared in various ways, such as literature, performance, concert, etc. We can divide the salons into three types; First, the salons in the feminine culture, mostly led by women. Second, the salons for social gathering of art, literature activities. Third, the salons of the elite of the Absolutism and the Enlightenment. The salons had their own styles and they grew in them. Second, the party culture in Korea started with the students studied abroad and the companies expanded the outreach overseas. The party culture has spread rapidly due to internet and media. It is no longer only for the rich. Nowadays there are a lot of different party culture. The types of party culture in Korea are the following; improved women culture, social fellowship to the party, the elite popularized, women's salon as the old days, social fellowship to the salon culture, the elite to the salon culture, etc. We find out here that the salon culture and the party culture are related; feminine sensibility and improved women culture, exchanging information and the social fellowship, the higher classes popularized. Third, according to T.P.O. the party type in Korea is classified into some; formal party, seasonal party, drinks party, music party, etc. It is quite many. The problem is that demand for the party wear increases, whereas the design and satisfaction decrease. However it gives us positive aspects of the market for party dress and of necessity of design development. Forth, I collected 1,022 pictures of the party dress style to develop the party dress design. I surveyed two groups whether they like their dress and if it is proper; one is the ordinary consumers, who belonged to a party association or had been to a party, and the other is the professionals, who involved in fashion. And I found that the recent party culture is connected with form, season and music. Fifth, what I got from what I study is the following. In the formal party dress, the ordinary and the professional both took the elegant style as No.1. They took straight and hourglass style for silhouette, satin and chiffon for material, black, white and grey for color, sharing, flounce and drape for detail. In the seasonal party dress, both took the romantic style as No.1. Hourglass for silhouette, satin, taffeta and chiffon for material, pastel pink, pastel blue and beige for color, ribbon, gather, sharing for detail. They preferred lovely style. In the music party dress, two groups took the different styles. The ordinary choose chic style, and the professional elegant style. In the ordinary group, they wanted hourglass for silhouette, satin, lace and beads/spangles for material, achromatic colors and complementary colors for color, tuck, sharing and ribbon for detail. In the professional group, they also wanted hourglass for silhouette, but satin, lace and velvet for material, peach, indi-pink and grey for color, drape, flounce and sharing for detail. I concluded in this study that the chic style is good for the music party as I focused on the ordinary's choice more than the professional's. And I designed the dresses based on it. Sixth, I made a concept of design, that is ‘fascinating delicacy for lady’. I took 'Grace with delicacy', 'Beauty with delicacy', 'Chic with delicacy' as a theme and made 10 designs of the party dress. In 'Grace with delicacy', I worked in the formal style showing noble and elegant mood.(Elegant & Elegant) In 'Beauty with delicacy', I worked in the seasonal style showing sweet and lovely mood.(Elegant & Romantic) In 'Chic with delicacy', I worked in the music style showing urban and practical mood.(Elegant & Chic) This study is able to be used for understanding the salon culture and the party culture as it shows how they are related each other in the modern party culture. The change in the party type people join in and the classification into the type of form, season, music, etc gives the standard about how to classify the party types to come. And it can be used for the partiers to choose the proper dress style in a situation. Party dress designs in different styles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not only for the source to make the party dress in the party wear market to come, but also for the marketing research to satisfy the consumers' need. Furthermore they can be used for the motive to raise the competitive power and for the database to be applied in the party dress market. In conclusion, I suggest that we should study to design for more age groups including '40s, '50s as most of ages need the party dress due to popularization of the party culture.;현대 파티문화는 차와 음료를 즐기는 사교의 한 형식으로 과거 귀족들의 살롱문화에서 시작 되었으며, 대중매체와 인터넷을 통하여 국내의 문화코드와 융합되어 사교 파티문화로 일반화되었다. 파티문화는 동일한 생활 목표, 가치관, 생활방식을 가진 사람들끼리의 생활범주를 만들어 간다는 점에서 대중들의 일상에서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 자리잡았다. 남들과 다른 독특하고 차별화된 삶에 대한 관심, 그리고 특별한 공간에서 최상의 대우를 받기를 원하는 현대인들의 경향은 고급문화로 인식되었던 파티의 대중화를 이끌어낸 배경이 되었다. 이렇듯 각종 파티문화가 성행함에 따라 파티패션이 주목되었고 파티드레스 디자인의 감성적 측면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또한 파티드레스는 스타일과 품위를 높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파티문화의 대중화는 파티드레스의 디자인 측면을 세분화하고 차별화 시키고 있다. 특히 파티문화가 사교파티 산업으로 성장하면서 파티드레스에 대한 수요 및 창의적인 디자인에 대한 요구 또한 계속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개성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소비트렌드와 다변화된 파티문화를 파악하고 그에 부합하는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파티드레스 디자인 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산업의 발달과 함께 파티문화가 대중화되고 파티드레스의 수요와 시장의 규모도 확대되어감에 따라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하여 고급스러움과 실용성이 강화된 파티드레스 디자인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살롱문화와 국내 파티문화의 개념과 발생 배경 및 특성을 살펴 본 후 살롱문화와 파티문화의 상관성을 도출한다. 둘째, 국내 파티문화의 대중화로 인해 다양해진 파티의 유형 및 특성들을 분류하고 국내 파티웨어 현황을 분석한다. 셋째, 분류된 파티유형에 따라 국내 파티문화와 파티드레스 스타일의 실태를 실제 소비자인 일반 소비자 그룹과 패션 전문가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넷째,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일반 소비자 그룹을 중심으로 전문가 그룹의 전문성과 학문적 적합성을 보완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교 파티드레스 디자인 개발 및 제작한다. 따라서 파티드레스의 실질적인 사례분석을 통하여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써 파티패션산업을 활성화시키고 파티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높이는 촉매로서의 역할을 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파티와 살롱문화는 고대 그리스의 향연과 스포츠 문화공간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살롱문화는 궁중 문화에서부터 시작되어 17세기에는 서민층에까지 성행하게 되었으며, 여성을 중심으로 한 평등한 사교ㆍ문화의 공간으로서, 귀족들의 성이나 저택에서 열리기 시작하여 독서, 발표, 연주회, 파티 등의 여러 유형으로 발달되었다. 살롱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첫째, 여성이 주체가 되어 이루어지는 여성문화 속에서의 살롱, 둘째, 교양과 지식의 습득 대화나 예술적, 문학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사교문화에서의 살롱, 마지막으로 절대주의와 계몽사상을 중심으로 한 지적 엘리트들의 모임으로 이루어진 엘리트문화에서의 살롱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유형이 독자적인 성격을 띠며 발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내 파티문화는 해외 유학생이나 기업들에 의해 외국의 파티문화가 유입되면서 시작되었다. 인터넷과 광고 매체들을 통해 파티문화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파티가 사치스러운 상류층만의 놀이문화가 아닌 좀 더 보편적인 사교문화로 자리 잡았고, 현재는 인적 네트워크의 수단으로 여러 곳에서 다양한 파티문화가 성행하고 있었다. 국내 파티문화의 유형을 보면 여성문화의 고급화, 사교문화의 파티화, 엘리트문화의 대중화로 나타나고 있으며, 과거의 살롱문화에서 볼 수 있었던 여성문화의 살롱문화, 사교문화의 살롱문화, 엘리트문화의 살롱문화와 비슷한 유형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여성적 감성문화의 고급화, 정보교환과 사교문화, 상류문화의 대중화로 두 문화 간의 상관성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셋째, 국내 파티문화의 유형과 종류를 T.P.O.에 따라 격식중심, 시즌중심, 장소중심, 음료중심, 음악중심의 파티로 재분류 할 수 있었다. 국내 파티웨어 산업 현황 분석을 통하여 파티웨어의 구입 수요는 증가하는 반면 디자인과 만족도는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파티드레스에 대한 수요증가는 파티웨어 시장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 예측 및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파티드레스 디자인 개발을 위하여 파티플랜 및 컨설팅 전문 업체를 선정하여 파티드레스 스타일 사진을 1022여장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파티 동호회 회원 및 파티 참여 경험이 있는 일반 소비자 그룹과 패션 업계, 의류학 교수 및 박사과정 이상으로 구성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파티에서 드레스에 대한 선호도 및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파티드레스 현황 분석에 앞서 파티 참여 현황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격식, 시즌, 음악중심으로 파티문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그룹의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일반 소비자 그룹은 각각의 파티 유형별로 엘레강스, 로맨틱, 시크 스타일 등을 다양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적인 디자인 요소에 대한 분석 결과, 실루엣은 스트레이트와 아워글래스 실루엣, 소재는 새틴, 시폰, 레이스 소재, 컬러는 무채색 계열과 파스텔 톤의 컬러, 디테일은 셔링, 개더, 리본, 비즈 디테일로 선호도 면에서 다소 한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는 일반 소비자 그룹이 파티유형이나 형식을 생각하기보다는 평소 선호하는 스타일을 위주로 선택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파티 유형별 드레스에 대한 전문적 지식보다는 패션 트렌드를 의식하여 선택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전문가 그룹에서도 실루엣은 스트레이트, 아워글래스가 일반소비자 그룹에서와 동일하게 가장 높은 선호를 보였고, 소재, 컬러, 디테일 부분에서도 일반 소비자 그룹과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지만 소재면에서는 벨벳과 울 소재, 컬러는 네이비 컬러, 디테일은 드레이프, 핀터킹 디테일 등 폭넓은 선호를 보임으로써 일반 소비자 그룹과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패션디자이너와 의류학과 교수 등 전문가 그룹이 일반 소비자보다 패션에 대한 보다 많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인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패션 트렌드나 디자인 요소의 효과에 대한 지식 및 디자인 감각을 지니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일반 소비자 그룹과 전문가 그룹의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파티드레스 소비자의 욕구를 반영한 드레스 디자인 개발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선호도 분석을 토대로 엘레강스 스타일에 소녀적 이미지의 로맨틱과 세련된 시크를 가미한 파티드레스 스타일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자신을 위한 투자에 과감한 커리어우먼 층의 스타일을 반영하여 ‘Fascinating delicacy for lady’로 컨셉을 설정하여, 우아하고 여성적이며 품위있는 이미지와 현대적이며 세련된 도시적 이미지로 'Grace with delicacy', 'Beauty with delicacy', 'Chic with delicacy'의 3가지 테마를 구성하여 총 10벌의 파티드레스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1. 'Grace with delicacy' 테마에서는 ‘엘레강스 & 엘레강스’ 스타일로 여유로우면서 품격을 갖춘 우아한 여성적 스타일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실루엣은 일반소비자와 전문가 그룹의 의견을 반영하여 스트레이트와 아워글래스 실루엣을 응용하였으며, 컬러으로는 블랙을 중심으로 그레이와 화이트 컬러를 사용하였다. 디테일은 셔링과 개더를 사용하였고, 여성적인 부드러움과 우아한 느낌을 부각시키기 위해 드레스의 길이를 무릎 아래로 길게 하거나 비즈, 스팽글, 보석 장식을 포인트로 사용함으로써, 고급성을 가미한 격식중심의 사교 파티드레스가 되도록 디자인 개발하였다. 2. 'Beauty with delicacy' 테마에서는 ‘엘레강스 & 로맨틱’ 스타일로 시대적 감성을 바탕으로 여성스럽고 부드러운 느낌을 가미하여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실루엣은 아워글래스 실루엣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머메이드, 프린세스, 피티드 라인을 사용하였다. 색상으로는 파스텔 톤의 핑크와 블루계열의 컬러로 화사한 느낌을 부각시켰고, 소재는 주로 시폰, 레이스, 새틴을 사용하였으며, 디테일은 셔링, 개더를 사용하였다. 여성스러운 로맨틱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플라운스, 자수, 비즈를 디자인 포인트로 사용하여, 심미성을 가미한 시즌중심의 파티드레스로 디자인 개발하였다. 3. 'Chic with delicacy' 테마에서는 ‘엘레강스 & 시크’ 스타일로 도시적 세련미를 바탕으로 무게있고 정제된 느낌을 가미하여 모던하게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실루엣은 스트레이트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그중에서도 엠파이어, 에이치ㆍ아이 라인을 비중 있게 활용하였다. 소재로는 투톤의 세련된 색감을 가지고 있는 타프타, 우아한 광택이 흐르는 새틴, 레이스 등을 사용하였다. 색상으로는 설문 결과를 반영하여 무채색 계열의 컬러에 보색이나 색감이 강한 컬러로 포인트를 주었으며, 디테일로는 턱과 셔링 디테일을 사용하였다. 격식과 품위가 느껴지는 시크한 감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광택있는 소재위에 레이스를 겹치거나 모던한 턱 디테일을 디자인 포인트로 사용하여, 심미성과 실용성을 가미한 음악중심의 파티드레스로 디자인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의 파티문화에 있어서 살롱문화와 파티문화 간의 상관관계를 학문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살롱문화와 파티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학문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파티문화의 대중화에 따른 파티 참여 양상의 변화 및 T.P.O.에 따른 격식, 시즌, 음악, 장소, 음료에 대한 유형별 파티 분류는 늘어나고 있는 새로운 형식의 파티문화에 대한 분류하는 방법과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파티어들에게 유형별 드레스 선택에 있어 체계적인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T.P.O.에 따른 파티 유형 분류는 앞으로 더욱 변화 하는 파티웨어 산업에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파티문화의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파티드레스 스타일별 디자인 요소의 분석결과는 향후 파티웨어 시장에서 드레스 제작의 디자인 근거 자료로 활용 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될 뿐 아니라, 본 연구에서 시도한 파티드레스의 실물제작을 통해 파티드레스 디자인의 트렌드를 예측할 수 있는 근거와 소비자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시장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파티유형별 파티드레스 스타일에 대한 이해와 파티드레스 시장의 발전에 있어 데이터베이스로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