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정애-
dc.contributor.author이경실-
dc.creator이경실-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6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4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61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사회교육의 목표와 내용, 수업운영에 대한 교수와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바람직한 유아사회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사회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교수와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사회교육 수업 운영에 대한 교수의 인식과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아사회교육 수업을 위한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과 요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2010년 12월~2011년 3월 동안 대학에서 유아사회교육 과목을 담당한 교수 83명과 유치원 교사 25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였다. 질문지를 통해 회수된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자유기술형 문항의 경우는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교사 변인에 따라 집단 내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t검증, 검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고 Scheffé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사회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교수와 교사는 목표에 대한 중요도 인식의 차이가 없었다. 하위 목표에 대한 중요도 순서도 동일했다. 유아사회교육 하위 내용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친사회적 행동’과 ‘지리’는 교수가 ‘위기의 극복’은 교사가 좀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 변인별로 유아사회교육 하위 목표, 하위내용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학력, 경력, 설립 유형, 학급 유아연령에 따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하위 목표 중 ‘개인의 긍정적인 발달’과 ‘인간의 다양성 이해’의 중요도는 교사의 변인에 따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회과학 관련 내용은 ‘다문화’를 제외하고 교사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사회교육 수업 운영에 있어서 유치원 교사 양성대학 유아사회교육 수업의 교수요목 및 내용은 ‘유아사회교육 활동의 실제’가 3주 이상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고 하였다. ‘유아사회교육과정의 근원과 접근방법’,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 ‘유아사회교육 프로그램’은 ‘전혀 다루지 않음’에서 ‘3주 이상’까지 다룬 정도에 대한 응답이 분포하고 있었다. 유아사회교육 수업 방법으로는 ‘이론과 모의수업을 병행’ 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했다. 이론 수업은 ‘강의와 학생 발표를 함께 진행’, 모의수업은 ‘유아사회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활동 계획을 하게 한다’, 현장체험의 진행은 ‘유치원 견학’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했다. 유치원 현장에서의 유아사회교육 수업 운영은 대부분의 교사가 활동을 ‘계획한다’고 응답했고, ‘원장 및 동료 교사와 함께 계획한다’, ‘생활주제에 따라서 계획한다’고 가장 많이 응답했다. 교수-학습 방법으로 가장 많이 운영하고 있는 것은 ‘모델링과 동기부여’라고 하였다. 셋째, 유아사회교육 수업을 위한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과 요구에 있어서 유치원 교사들은 유아사회교육 활동 실시 시 사회성 지도, 활동 진행의 어려움, 사회교육의 하위 내용과 연계하기, 사회과학 관련 내용 지도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수업지원을 위한 요구로는 교재교구, 예비교사교육에서 현장 실습과 토의위주의 수업, 교사연수를 들었다. 결론적으로 유아사회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해 교수와 교사는 모두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대부분 사회교육 활동을 계획한다고 하였지만 사회교육의 하위 내용과 연결하여 계획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대학의 유아사회교육 수업에서 유아사회교육 내용과 사회생활영역 중심으로 활동 계획을 하게 한다는 응답이 많아 교사들이 생활주제 중심으로 활동을 계획하며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활동을 계획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The aims of the current study involve investigating professors' and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f the objectives, content and class operating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nd by this, providing basic data for desirable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professors' and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f the objectives and content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2. What is professors' and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f class operating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3. What are kindergarten teachers' difficulties and needs for classes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83 professors in charge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t university and 252 kindergarten teachers between December 2010 and March 2011. Data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was analyzed via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d a percentage and in the case of open-ended questions they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In order to analyze if there are differences within the group depending on teachers' variables, t-test, test, and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and Scheffé post-hoc test was made.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s no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objectives between the professors and the teachers in relation to the recognition of the objectives and content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e order of the importance of the subordinate objectives was the same. A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in relation to the subordinate content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pro-social behavior’ and ‘geography’ was recognized more importantly by the professors and ‘overcoming the crisis’ was perceived a little more importantly by the teachers.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in relation to subordinate objectives and content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depending on teachers' variables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academic backgrounds, career, types of establishment, and children's age of the class. Second, for operating the classes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ey responded that the syllabus and content of the classes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t universities educating kindergarten teachers most handled 'practice of activity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more than 3 weeks. ‘The origin and approach of the course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of kindergarten of this country’, and ‘the program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were distributed from ‘never handled’ to ‘more than 3 weeks’ in their responses. For methods of teaching the classes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majority of them answered ‘carrying out theories and trial class side by side.’ They responded most that theoretical classes were conducted with ‘teaching and students' presentation simultaneously', and that for trial classes ‘activity is planned focused on content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and they answered most ‘kindergarten field trip’ for carrying out field experience. For running classes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the kindergarten field most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plan’ activity, and they answered most that they ‘plan with the director of the kindergarten and fellow teachers’, and ‘plan according to life themes.' They said what was run most for teaching-learning method involved ‘modeling and motivation.’ Third, for kindergarten teachers' difficulties and needs for the classes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ey said that when carrying out activity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hey had difficulty in teaching sociality, proceeding activity, connecting it to subordinate content of social education, and teaching content related to social science. They pointed out for needs for supporting classes, textbooks and teaching instruments, field practice of teaching prospective teachers and classes mainly focused on discussion, and teacher training. In conclusion, both professors and teachers were recognizing to be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objectives and content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Most of the teachers said that they planed activity of social education but stated that they had difficulty in planning it connecting it to its subordinate content. As there were lots of responses that they were made to plan activity focused on the area of community life and content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its classes at university, they will be able to help teachers plan activity focused on life themes and plan activity focused on cont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C. 용어 정의 7 II. 이론적 배경 8 A. 유아사회교육의 목표와 내용 8 1. 유아사회교육의 정의 및 목표 8 2. 유아사회교육의 내용 12 B. 유아사회교육의 수업 운영 17 1. 유아사회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17 2. 유아사회교육 수업 운영에 관한 선행연구 22 Ⅲ. 연구 방법 28 A. 연구 대상 28 B. 연구 도구 31 C. 연구 절차 33 D. 자료 분석 35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37 A. 유아사회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교수와 교사의 인식 37 1. 유아사회교육 목표와 내용에 대한 교수와 교사의 인식 차이 37 2. 교사 변인별 유아사회교육 목표와 내용에 대한 인식 차이 39 B. 교수와 교사의 유아사회교육 수업운영 47 1. 교수의 유아사회교육 수업 운영 47 2. 교사의 유아사회교육 수업 운영 58 C. 유아사회교육 수업을 위한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과 요구 66 1. 유아사회교육 수업 운영 시 어려움 66 2. 유아사회교육 수업 지원을 위한 교사의 요구 69 Ⅴ. 논의 및 결론 73 A. 논의 73 B. 결론 및 제언 84 참고문헌 88 부록1. 유아사회교육의 목표와 내용,수업운영에 대한 교수의 인식에 관한 질문지 94 부록2. 유아사회교육 목표와 내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에 관한 설문지 100 ABSTRACT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199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사회교육의 목표와 내용, 수업 운영에 대한 교수와 유치원 교사의 인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rofessors' and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f the objectives, content and class operating of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dc.creator.othernameLee, Kyung Sil-
dc.format.pagevi,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