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경원-
dc.contributor.author이지영-
dc.creator이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2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4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4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491-
dc.description.abstract교육철학은 일반적으로 그 내용과 방법이 어렵고 난해하며 현실적인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는 학문으로 인식되고 있다. 교사교육과 관련하여 교육철학의 실제적 무능함에 대한 비판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교육철학의 성격과 방법에 대한 철저하고도 반성적인 숙고가 필요한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이에 대한 논의는 전문적인 학자들에 의해 수행되는 교육철학적 활동이 갖는 특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현장의 교사들이나 예비교사들이 교원양성기관에서 교육철학 수업을 받으며 기초적인 수준에서 하게 되는 교육철학적 활동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학자들이 하는 교육철학과 현직교사 혹은 예비교사들이 하는 교육철학은 본질적인 차원에서 동일한 활동이자 학문이지만, 그 수준이나 절차적 엄격성 등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교사교육 장면에서 이러한 상황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이루어지는 교육철학 교육은 학자들이 하는 수준의 내용을 원론적이고 추상적인 수준에서 전달하는 것에 치중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교육철학이라는 학문적 활동이 갖는 핵심적 요소인 ‘철학하기’라는 방법적 사고를 가르치는 과정을 충분히 다루지 못했다. 그러나 교육철학이라는 과목이자 학문을 배움으로써 교사들이 ‘교육철학적 활동을 한다’라고 말할 수 있기 위해서는 ‘철학하기’라는 방법적 사고에 대한 교육의 과정 또한 이론적 내용과 함께 강조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실천철학으로서 교육철학’의 성격과 그러한 성격적 특징을 공유하고 있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통한 교육철학하기에 주목하고, 그러한 철학하기가 ‘실천철학으로서 교육철학’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모형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특히 해석학적 현상학에 기반을 둔 철학하기라는 연구 활동은 텍스트적 반성활동인 ‘경험적 글쓰기’라는 구체적 방법에 관한 고찰을 통해 교사교육을 위한 교육철학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본 연구에서 실천적 교육철학하기를 실현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제안하는 ‘해석학적 현상학적 철학하기’란 경험적 현상에 대한 의미 구조 파악에 주의를 기울이고자 하는 현상학적 방법과, 교육적 텍스트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추구하는 해석학적 방법 양항을 개방적이고 복합적으로 수용한 철학하기의 방법을 뜻한다. 따라서 해석학적 현상학적 철학하기는 교사가 현실에서 경험하는 것들에 대한 예민한 관찰과 기술(description)을 통해 그 의미를 발견하고, 그 과정에서 끊임없이 해석적 사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런 점에서 해석학적 현상학적 철학하기는 기본적으로 비이론적 형태의 반성적 철학인 실천철학으로서 교육철학의 성격을 강하게 지닌다. 실천철학적 성격을 갖는 교육철학은 교육 문제라는 실제적이고 경험적인 상황에 주목하여 그 의미와 발생의 근원을 따지는 일로, 교사 등 교육실천가가 의식적이고 반성적으로 교육적 경험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평가하고 더 나은 대안적 설명을 찾도록 하는 철학하기를 강조한다. 이러한 실천철학적 성격을 동일하게 보이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철학하기는 교사가 스스로 자신의 경험을 반성적으로 숙고하는 능동적 철학하기를 통해 실천적 지혜를 키워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러한 철학하기의 출발점은 언제나 교사가 생활하는 현장에서 일어나는 복잡하고 다양한 교육 문제와 경험들이다. 따라서 교사교육을 위한 교육철학은 이러한 특징을 갖는 실천철학적 성격을 그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선택함으로써 그것을 향유하는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에게 교육에 대한 방법적 철학하기를 통한 실제적 능력을 키워주고, 자신의 경험세계에서 일어나는 교육적 현상과 관련된 내용적 지식을 직접 창출하고 비판하는 안목을 키워줄 수 있다. 이때 실천철학으로서 성격을 갖는 ‘해석학적 현상학적 철학하기’가 실제 교사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기 위해서는 그 방법적 특징과 절차를 구체적으로 반영한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것은 해석학적 현상학적 철학하기를 통한 ‘경험적 글쓰기’이다. 경험적 글쓰기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철학하기가 중시하는 경험적 현상에 대한 주목, 판단 중지를 통한 선입견과 편견의 배제, 경험을 최대한 겪은 대로 기술한 텍스트의 수집과 그에 대한 해석적 작업, 이를 통해 밝혀진 현상의 다양한 의미 구조에 대한 대화적 반성의 과정과 시적 글쓰기의 과정 등을 충실하게 밟아나감으로써 그러한 교육철학하기가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경험적 글쓰기를 통해 교사교육에서 기대되는 교육적 효과는 대략 다섯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로 경험적 글쓰기는 ‘철학하기’라는 특별한 숙고 과정을 교사의 일상적 삶의 방식으로 뿌리내리게 할 수 있으며, 둘째로 그러한 반성적 사고 활동을 통해 얻게 된 의미의 내용, 구성물들은 실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살아 있는 지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교육적 현상에 대한 반성적 철학하기의 지속적인 시도는 ‘일상(日常)이 갖는 새롭고 다양한 의미와 가치에 대한 발견’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인간 존재, 특히 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돕는 교육의 부족함을 보완해 주는 것으로서 교사가 교육 현상과 관련된 의미의 주체이자 이해의 대상으로 서 있는 학생들에 대한 관심을 높여갈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경험적 글쓰기는 그것이 가능하기 위한 전제로 ‘연구자이자 철학자로서 교사’를 인식함으로써 그들이 주체적으로 철학적 글쓰기를 통한 연구 작업을 이어가도록 독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육적 효과가 기대되는 Max van Manen 교육철학적 연구 방법에도 그것이 실천철학으로서 교육철학하기의 한 가지 방안으로 온전히 수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경험적 글쓰기의 과정에서 이론적 내용이나 지식이 어떻게 관여하며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 관계를 제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Max van Manen의 논의는 교육실천가들이 특정한 연구 방법을 통해 교육 문제에 대해 사유할 수 있는 과정을 구체화시키고 강조하는 작업에 치중한 결과, 상대적으로 이런 철학하기의 과정에서 기존에 축적되어 있는 이론적 내용의 역할과 의미를 밝혀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철학하기의 과정을 반영하는 구체적 실현 방법으로서 경험적 글쓰기는 이러한 한계점에 대한 보완을 통할 때 기존에 교사교육을 위한 교육철학이 지녔던 문제를 극복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보다 온전하게 활용될 수 있다. 아직까지 교사교육을 위한 교육철학의 개선을 위한 원론적이고 구체적인 수준의 논의 모두가 부족한 상태에서 그동안 해석학적 현상학의 성격과 방법에 주목하고자 한 시도는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이러한 접근을 통해 교사교육을 위한 교육철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은 교육철학의 외연을 넓히고 교육철학 관련 연구의 내용과 방법을 다양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는 무엇보다도 지금까지 지적되어 왔던 교육철학의 현실적합성 문제나 실질적인 사회적 기능 수행 요구라는 필요에의 부응을 충족시키는 한 가지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This study investigated "doing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philosophy" by Max van Manen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educational philosophy for teacher education and proposed "experiential writing" as a specific approach to implementation. Doing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philosophy agrees with the movement of converting into practice in educational philosophy, focusing on concrete educational problematic situations and highlighting phronesis of reflective contemplation. The full-scale discussion about the significance and possibility of doing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philosophy by Max van Manen with those characteristics should be preceded by an investigation into the problems with conventional educational philosophy to be overcome with it. Chapter II reviewed the problems with educational philosophy for teacher education in and outside classes. The problems inside classes include propositional knowledge delivery-based lessons, abstract and difficult content separated from reality, and little interest in human understanding. In addition to this was a concentration of contemplation over the nature and roles of educational philosophy only on "educational philosophy as study" with a theoretical tendency, which reflects the failure of educational philosophy in taking into account diverse denotations and reflecting realistic needs. The study thus proposed "educational philosophy for teacher education," which is distinct from educational philosophy done by scholars, and deemed "educational philosophy as practical philosophy" proper for the nature of educational philosophy enjoyed as a teacher training course in the venue for those discussions. Educational philosophy as practical philosophy sees education as a combination of practical activities and places importance on the ability to perceive, judge, and contemplate an educational problematic situation of complex and unique nature or practical wisdom to increase one's educational eye. Chapter III proposed "doing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philosophy" by Max van Manen as a new way to help to cultivate practical wisdom valued in educational philosophy as practical philosophy and discussed its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embracing both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sensitively recognizing educational problematic situations and figuring out a structure of meaning in those situations and the hermeneutic method needed to understand educational texts and students. The objects of doing philosophy are specific daily educational problematic situations with human beings, and students in particular. The primary goal of doing such philosophy is to help the students cultivate their reflective contemplative skills for educational judgment and practice or practical wisdom. Its ultimate goal is to develop an in-depth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within educational situations. Chapter IV offered ways to specifically do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philosophy in the field of teacher education to help teacher researchers increase their thinking abilities more actively through "experiential writing." Reflective writing for experiences proceeds based on the procedures and methods of doing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philosophy by Max van Manen. First, the teachers are asked to return to the nature of their experiences, focus on it, and raise a question about it, in the process of which they reflect upon their theoretical frameworks through epoche and reveal their old prejudices, stereotypes, and beliefs. They then need to collect data they produced about their experiences and answer the questions they raised earlier. By interpreting the diversely gathered text data, they can shed light on the structure of meaning on which the questions are based. They should then confirm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significance by extracting the core topic of each text and finding the intrinsic significance of a phenomenon by identifying the essential topic. Conversations and joint analyses are essential to securing mutual subjectivity for the processes and results of experiential writing. As researchers, teachers are required to maintain strong orientation toward the phenomenon of interest and research balance between the whole and the parts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Experiential writing attempted in those ways allows teachers to learn about doing philosophy methodologically and to take such a thinking approach as part of their lives. In addition, the content of such knowledge is considered to be living knowledge as teachers start with the worlds of their lives and find the significance of their problematic situations on their own to create such knowledge. Moreover, experiential writing holds considerable value in that it helps to discover value about everyday life. It also helps with an in-depth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whose importance has not been fully emphasized in the old education of educational philosophy, especially with students. Finally, the entire process can generate an effect of revealing the possibilities of teachers as experts in education by assuming teachers as beings that actively think with a problematic consciousness and explore it as researchers and philosophers, and putting an emphasis on such a ne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및 연구과제 4 Ⅱ. 교사교육을 위한 교육철학의 성격: 실천철학으로서 교육철학 5 A. 교사교육을 위한 교육철학의 문제점 5 1. 내용적 지식 전달 위주 5 2. 교사와 교육현장의 실제와 괴리된 내용 8 3. 인간 이해에 대한 낮은 관심 10 B. 교사교육을 위한 교육철학의 새로운 접근 12 1. 현실 적합성을 갖는 새로운 교육철학에의 요구 12 2. 실천철학으로서 교육철학 16 Ⅲ. 실천적 교육철학하기의 방법으로서 해석학적 현상학적 철학하기 34 A. 실천철학으로서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철학하기의 가능성과 의미 34 1. 실천적 지혜를 키워주기 위한 반성적 교육철학하기 34 2. 느슨하게 결합된 방법론적 철학하기 39 3. 경험적 현상의 의미 구조 파악을 위한 철학하기 40 B. 해석학적 현상학적 철학하기의 연구 대상과 목표 43 Ⅳ. 해석학적 현상학적 철학하기의 실제적 적용 : 경험적 글쓰기 48 A. 경험에 대한 반성적 글쓰기 48 B. 경험적 글쓰기의 절차와 방법 52 1. 경험의 본성으로 돌아가기 54 2. 경험을 겪은 대로 기술한 자료 수집하기 61 3. 본질적 주제에 대해 반성하기 69 4. 대화와 공동 분석 시도하기 79 5. 시적이고 통찰적인 글쓰기 81 C. 경험적 글쓰기를 위한 태도 83 1. 현상과 강력하고 지향적인 관계 유지 83 2. 부분과 전체에 대한 고려 84 D. 경험적 글쓰기의 교육적 의의 86 1. 삶의 방식으로서 철학하기 능력 습득 86 2. 실생활과 밀접한 교육적 지식 획득 90 3. 일상의 가치 발견 92 4. 인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 94 5. 연구자이자 철학자로서 교사 인식 98 E. 경험적 글쓰기가 갖는 한계 102 Ⅴ. 결론 108 A. 요약 및 의의 108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12 참고문헌 115 ABSTRACT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977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실천적 교육철학하기의 방법으로서 '경험적 글쓰기'의 활용 가능성과 교육적 의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Experiential Writing' for Teacher Education : With a focus on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y-
dc.creator.othernameLee, Ji Young-
dc.format.pagevii, 1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