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민지-
dc.contributor.author정서영-
dc.creator정서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8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3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4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31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소아청소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노라마방사선사진(panoramic radiographs)과 실제 위치를 보여주는 3차원 전산화단층영상(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에서의 하악공의 위치를 측정하고, 차이를 분석하여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의 하악공 위치 예측 가능성을 평가함으로써 하치조신경 전달마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05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이대목동병원 치과진료부에서 촬영된 만 7세 이상 - 만 15세 이하 대상의 전산화단층영상과 동일 대상의 전산화단층영상 촬영일자 전후 3개월 사이에 촬영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을 수집하였고 촬영된 전산화단층영상은 V-works 4.0™ software(Cybermed Inc.,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재구성하였다. 재구성 된 전산화단층영상과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 하악공으로부터 하악절흔, 악각전절흔, 하악지 전연, 하악지 후연, 교합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하악공으로부터 하악절흔과 악각전절흔까지의 거리의 비, 하악공으로부터 하악지 전연과 하악지 후연까지의 거리의 비를 계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악공은 전산화단층영상과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 수직적으로 연령 변화 와 관계없이 하악지의 1/2 지점보다 약간 상방(CT: 약 55%, panorama: 약 58%)에 위치하고, 전후방적으로 중간 1/2의 약간 후방부(CT: 약 57%, panorama: 56%)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 증가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였다(p<0.05). 2. 하악공은 전산화단층영상과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 연령 증가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였으며, 연령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3. 전산화단층영상과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의 하악공의 수직적 위치와 하악공으로부터 교합면까지의 거리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소아의 하악공 위치는 연령에 관계없이 상대적으로 일정한 수직적 위치를 가지나, 연령 증가에 따라 전방 및 교합면 상방으로 이동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하치조신경 전달마취 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을 통해 하악골 내 하악공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en using three 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images and panoramic radiographs, and differentiate between the two in order to evaluate the predictability of the mandibular foramen position in panoramic radiographs to provide information for successful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One hundred and twenty computed tomography images and panoramic radiographs of 7- to 15- years old patients were selected, and selected computed tomography images were reconstructed by V-works 4.0™ software(Cybermed Inc., Seoul, Korea). The perpendicular distances from the mandibular foramen(MF) to the mandibular notch(MN), the antegonial notch(AN), the anterior border(AB) of ramus, the posterior border(PB) of ramus, and the occlusal plane(OP) were measured on reconstructed computed tomography images and panoramic radiographs. After that, the ratios between the distances from the mandibular foramen to the antegonial notch and to the mandibular notch, and the ratios between the distances from the mandibular foramen to the anterior border of ramus and to the posterior border of ramu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The mandibular foramen was located vertically slightly above the half of ramus(CT: 55%, panorama: 58%) without significant positional change with age. Anteroposteriorly, the mandibular foramen was located in the slightly posterior part of the half of the ramus(CT: 57%, panorama: 56%) and moved more anteriorly with increasing age(p<0.05). 2.The mandibular foramen moved upward in relation to the occlusal plane with increasing age,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p<0.05). 3.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en and the distance from the mandibular foramen to the occlusal plane in computed tomography images and panorama radiograph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p<0.05).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en of children shows no significant change while the mandibular foramen moves anteriorly and upwards in relation to the occlusal plane with increasing age. The results also imply that panoramic radiographs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position of mandibular foramen when performing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4 A. 연구 대상 4 B. 연구 방법 5 Ⅲ. 연구 결과 9 A. 하악공의 수직적 위치 9 B. 하악공의 전후방적 위치 12 C. 하악공으로부터 교합면까지의 거리 14 Ⅳ. 고찰 18 Ⅴ. 결론 24 참고문헌 25 ABSTRACT 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71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title3차원 전산화단층영상과 파노라마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한국인 소아의 하악공 위치에 대한 방사선학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en in Korean children : A comparative study using computed tomography and panoramic radiographs-
dc.creator.othernameJeong, Seo Young-
dc.format.pageviii, 3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소아치과학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소아치과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