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윤식-
dc.contributor.author이윤정-
dc.creator이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8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6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4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60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양악 수술을 받은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후에 채득한 CBCT를 이용하여 3차원적으로 상기도 부피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 21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T0), 수술 후(T1; 일주일 이내, T2; 3개월 이내, T3; 6개월 이후)에 채득한 CBCT를 이용하여 수술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상기도의 시기별 부피 변화에 대한 3차원적인 평가와 기준 단면의 직경 및 단면적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때 총 상기도량(total volume of upper airway) 뿐만이 아니라 CV1 plane을 기준으로 상부기도(Upper part of upper airway)와 하부기도(Lower part of upper airway)로 구분하여 각 각의 부피 변화도 알아보았다. OnDemand 3D™(Cybermed Inc., Seoul, Korea)를 사용하여 각 시기별, 상기도의 부피를 계측하고 V-ceph™ 5.5(OSSTEM Inc.,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수술량을 계측하였다. 통계분석으로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였다. 평균 상악골 후방부의 상방 이동량은 5.27mm, 전방 이동량은 2.05mm였고, 평균 하악골 후퇴량은 9.2mm였다. T2는 평균 1.9개월, T3은 7.9개월이었다. 각 시기별, 부위별 계측한 부피의 변화와 기준 단면의 직경 및 단면적의 변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총 상기도량(total volume of upper airway)은 모든 시기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2. 상부기도량(volume of upper part of upper airway)은 수술 후(T2, 3), 수술 전 보다 증가(7.45%, 10.67%) 하였다 (p<0.05, p<0.01). 이러한 증가는 T3으로 갈수록 점진적인 증가 양상을 보였다. 3. 하부기도량(volume of lower part of upper airway)은 수술 후(T2, 3), 수술 전 보다 감소(12.67%, 12.96%) 하였다 (p<0.01). 이러한 감소는 T3으로 갈수록 점진적인 증가 양상을 보였다. 4. CV1 plane과 CV2 plane 축단면에서 측방직경(Lat)보다 전후방 직경(AP)에서 더 많은 변화를 보였고, 단면적 차이의 계측 결과 CV1 plane에서는 19.21mm2 증가 하고, CV2 plane에서는 48.12mm2 감소하였다. 모든 연구대상자는 수술 전에 상기도와 관련한 임상 증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술 후 6개월 이상이 지난 후에도 적절한 호흡기능을 유지 하고 있었다. 골격성 Ⅲ급 환자의 양악 수술의 결과 상기도 형태에 영향을 미치나 상기도 부피에 큰 영향은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3-dimensional volumetric changes in the upper airway space in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patients with the use of cone-beam CT(CBCT) who had bimaxillary surgery to correct Class Ⅲ malocclusion. The samples were consisted of 21 adult patients (6 males and 15 females) who had skeletal class Ⅲ discrepancy. Le Fort I superior impaction osteotomy and mandibular setback surgery(intraoral vertico-sagittal ramus osteotmy; IVSRO) were procedured to the patients, but, those who had genioplasty were excluded. CBCTs were taken at 4 stages; T0 (before orthognathic surgery), T1 (within 1 week after orthognathic surgery), T2 (within 3 months after surgery) and T3 (post-operation more than 6 months after surgery). The volume of upper airway and the amount of the surgical movements were assessed by OnDemand 3D™(Cybermed Inc., Seoul, Korea) and V-ceph™ 5.5 (OSSTEM Inc., Seoul, Korea) according to the reference planes : FH, CV1, 2, and 3 plane (a plane tangent to the most caudal medial projectio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cervical vertebra and parallel to FH plane). The comparison for the volumetric changes and cross-sectional changes was performed by Wilcoxon Signed Ranks test. The mean of the surgical movement were 2.05mm forward and 5.27mm impaction in PNS and 9.20mm set-back in Pog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1. There were no different changes in the total volume of upper airway. 2. The volume of upper part of upper airway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surgery. (7.45% and 10.67% increase at T2 and T3) 3. The volume of lower part of upper airway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surgery. (12.67% and 12.96% decrease at T2 and T3) 4.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upper airway changed more anterior-posteriorly than laterally and the area of the cross-section increased 19.21mm in CV1 plane and decreased 48.12mm2 in CV2 plane. Bimaxillary surgery for correction of Class III malocclusion did not affected the total volume but only the morphology of the upper airway, not causing any clinical complication. All subjects had no airway problems and maintained proper respiratory function after 6 months lat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4 A. 연구대상 4 B. 연구방법 4 C. 계측자 내 신뢰도(Intra-examiner reliability) 10 D. 계측치의 분석 및 통계 처리 10 Ⅲ. 연구결과 11 A. Volumetric measurements of Total airway, Upper part and Lower part 12 B. Comparison of volumetric changes of Total airway 13 C. Comparison of volumetric changes of Upper part 14 D. Comparison of volumetric changes of Lower part 15 E. Comparison of Cross-sectional diameter and area from CV1 plane and CV2 plane at T0 and T3 16 Ⅳ. 고찰 18 Ⅴ. 결론 23 참고문헌 24 ABSTRACT 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86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title골격성 Ⅲ급 부정교합자의 양악 수술 전, 후 상기도 부피 변화-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Cone-beam CT를 이용한 정량적 평가-
dc.title.translatedVolumetric change of upper airway after bimaxillary surgery in Class III malocclusion : A three dimensional study with Cone-beam CT-
dc.creator.othernameLee, Yoon Jung-
dc.format.pageviii, 3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치의학과임상교정치의학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임상교정치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