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오란-
dc.contributor.advisor서선희-
dc.contributor.author이정은-
dc.creator이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3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4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364-
dc.description.abstract건강과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건강기능식품 소비가 급증하면서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20대 여성들은 영양 불균형 등 영양상태가 좋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연령대에 비해 건강기능식품 섭취율이 낮은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도시의 2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건강기능식품 섭취군과 비섭취군으로 나누고 사회인지이론(Social Cognitive Theory)을 바탕으로 개인요인, 환경요인, 행동요인 등을 다각적으로 조사하여 20대 여성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실태 및 섭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20대 여성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의 개발, 마케팅 및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조사를 위해 우리나라 대도시에 거주하는 만 20~29세의 성인 여성 2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 중 건강기능식품 섭취자는 60%인 177명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요인을 살펴보면 섭취군이 비섭취군에 비해 건강 상태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며 건강기능식품 섭취가 건강에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요인면에서 섭취군은 사무직이, 비섭취군은 학생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섭취군은 아버지, 어머니, 형제, 자매의 섭취율이 섭취군의 건강기능식품 섭취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 형제, 자매가 건강기능식품 섭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행동요인 면에서 살펴보면, 영양지식과 식습관행동은 섭취군과 비섭취군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적 특성을 보면 건강기능식품 섭취 이유로 영양소 보충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가족이나 주변 사람의 권유를 통해 건강기능식품의 구매 정보를 얻은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장 많이 섭취하고 있는 소재는 비타민 C, 종합비타민, 홍삼, 오메가-3 순으로 나타났으며 섭취 기간은 1개월 이하 또는 1~6개월 이하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섭취 기간이 비교적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 구입처는 백화점/할인마트가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으며 월평균 건강기능식품 구입 비용은 1만원 미만, 건강기능식품의 적정 가격은 1~3만원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양표시 성분 확인 유무는‘가끔 읽는다’가 영양표시 이해 정도는 ‘조금 이해가 되는 편이다’가 각각 44% 정도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건강기능식품 섭취 후 효과만족도는 보통이다가 가장 높게 나타나 만족도가 크지 않으면서도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섭취 이유는 정신적 안정감을 위해 섭취하고 있고 대부분이 향후 건강기능식품을 재섭취 하겠다고 하였다. 건강기능식품을 선택할 때 중요한 점은 학술적, 임상적 근거이며 건강기능식품 전문기업을 가장 적정한 생산자로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건강기능식품 비섭취군의 행동적 특성을 살펴보면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지 않는 이유는 필요성을 못 느끼기 때문으로 조사되었으며, 향후 건강기능식품 구매 결정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는 명확한 효과가 있을 시 구매를 고려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는 20대 여성들은 연령이 높고 자가 건강도에 대한 관심이 높고 사무직을 가지고 있을수록,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효과 기대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가족의 건강기능식품 섭취가 높을수록 건강기능식품 섭취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지 않는 20대 여성들은 주변에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는 사람이 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기능식품의 필요성을 못 느끼기 때문으로 조사되었다. 즉 비전문가인 부모님을 포함한 주변 사람들의 섭취 여부가 건강기능식품 섭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바 섭취자들을 대상으로 한 제한된 영양교육 및 마케팅 활동보다는 국민 모두에게 올바른 건강기능식품섭취 교육 및 홍보의 기회를 넓히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cently, as consumer’s interests for health and food are increased, the consump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is also increased and more generalized. Although women in 20’s are exposed to poor nutritional conditions, their consumption rate of health functional food is less than other age groups. Therefore, in this paper, a survey with variety questionnaires divided into user and non-user group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ingestion state and the major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functional food eating for some women in 20’s from Korea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Theory focused on the personal, environmental and behavioralal factors. The results of study will be very helpful to product development, marketing and related researches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 for women in 20’s as a basic material. The survey were carried out with 295 adult women aged 20-29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user and the non-user group for the health functional food and the user group defined as someone who having experience of buying and eating of health functional food. The total 295 subjects, the people who health functional food user were 177 which is about 60% of total surveyed people, were surveyed by dividing into user and non-user groups focused on personal, environmental and behavioral factors. In terms of personal factors, as the subjects’ age, magnitude of self-health cognition and the expected effectiveness for health functional food increased their use of health functional food also increased. For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 subjects’use of health functional food was critically affected by the use of subjects’family and types of their job. In point of behavioral factor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For the user group, it was observed that their use of health functional food was closely related to when their interests for health was high, the family’s use of health functional food was high and their job was office clerk. On the other hands, for the non-user group, there were less people around them using the health functional food than user group and they did not feel any necessary for the health functional food. Since non-experts around the subjects including parents and close acquaintances were critically affected on the state of ingesting health functional food for the subjects, it is very essential to broaden opportunity of correct education and promotion for the health functional food to all citizen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future investiga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 as the fundamental databa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문헌 및 이론적 배경 4 A. 건강기능식품 4 1. 건강기능식품의 정의 4 2. 건강기능식품의 목적 4 3. 건강기능식품의 분류 4 4.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5 5. 건강기능식품 구매실태 관련 선행 연구 12 B. 20대 여성의 특징 14 1. 20대 여성의 일반적 특징 14 2. 우리나라 20대 여성의 식생활과 건강 15 C. 사회인지이론(Social Cognitive Theory) 16 III. 연구 대상 및 방법 20 A.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기간 20 B. 조사내용 및 방법 20 1. 개인요인(personal factors)과 건강기능식품 섭취와의 관련성 20 2. 환경요인(environmental factors)과 건강기능식품 섭취와의 관련성 24 3. 행동요인(behavioralal factors)과 건강기능식품 섭취와의 관련성 24 C. 자료의 처리 및 분석 24 IV. 연구 결과 및 고찰 25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5 B. 개인요인(personal factors)과 건강기능섭취 관련 요인 27 1. 일반 요인과 건강기능섭취 관련 요인 27 2. 신체상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섭취 32 3. 건강기능식품의 건강효과 기대도와 건강기능식품 섭취 여부 36 C. 환경요인(environmental factors)과 건강기능식품 섭취 관련 요인 38 D. 행동요인(behavioral factors)과 건강기능식품 섭취 관련요인 45 1. 식생활 습관과 건강기능식품섭취 45 2. 영양지식과 건강기능식품섭취 47 3. 건강기능식품 섭취 행동 51 V. 요약 및 결론 61 참고문헌 66 부록. 설문지 73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557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사회인지이론을 적용한 대도시 20대 여성의 건강기능식품 섭취요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영양학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