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경혜-
dc.contributor.author임윤미-
dc.creator임윤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7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2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4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27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 descriptive inquiry study that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maintain the health and maximize the work abilities on the job for female workers by minimizing the discomfort they experience during their menstrual period. The study is conducted by elucidating the effects of the discomfort during the menstrual period according to the job characteristics and by investigating the types of discomfort, coping, and degree of relief. The subjects were the 394 females working at three general hospitals in Seoul who experienced regular menstrual cycles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pril 20 and April 30 by distributing the questionnaires for the subjects to fill out directly. The questionnaire comprised 49 questions on the menstrual period discomfort and 29 on the measurement of the symptom relief.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AS 9.2 program for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 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 demographics were a mean age of 29.21 years, and a majority had graduated from college (72.6%) and were single (61.9%). The majority had not had any previous pregnancies (71.1%) or given birth (74.9%). The menstrual cycle was usually regular (77.2%) and lasted 3?]5 days (58.6%). The more common jobs were professionals (34.8%), service providers (33.7%), and administrative workers (31.8%). 2. The severity of discomfort during the menstrual periods for the subjects was average (2.45±0.68) with the main symptoms being pain (3.17±0.09), retention of water (2.90±0.86) and behavioral changes (2.76±0.92) that were reported to be disruptive. 3. The severity of discomfort per sample demograph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F=3.41, p=.034), marital status (t=13.14, p=.000), previous pregnancies (t=9.93, p=.002), and previous births (t=8.31, p=.004). The job characteristics did not affect the discomfort during the menstrual periods. 4. The level of relief for the discomfort during the menstrual periods was 3.18, with behavioral modification (3.55) being the most effective coping technique. 5. The discomfort during menstrual periods and the behavioral responses only showed an inter-correlation in avoidance, which showed those with higher levels of discomfort exhibited more avoiding behaviors (r= .178, p= .001).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 discomfort during the menstrual periods and the job characteristics did not seem to be correlated for the female workers, and that the behavioral response reduced the discomfort more than the cognitive and avoiding method did. The level of mitigation according to the response method showed an effort to alleviate the discomfort actively by sleeping and resting, rather than short term and fast pharmacological method. Therefore, empowerment techniques capable of assisting female workers in overcoming and responding on their own, as well as active nursing strategies, are needed to mitigate their discomfort during the menstrual periods.;본 연구는 여성근로자의 월경시 불편감의 양상과 대처방법 및 그에 따른 완화정도를 파악하고 근로특성이 월경시 불편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여성 스스로 월경시 불편감을 완화할 수 있도록 돕고 이를 통해 여성근로자들이 업무현장에서 최대한 능력을 발휘하고 건강을 유지 증진하며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기여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3개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4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이며 자료수집 방법은 설문지를 배포하여 대상자가 직접 기록하게 한 후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월경시 불편감 49문항, 대처방법에 따른 완화정도 2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 9.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 통계 처리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29.21세(±6.33)였으며 대졸(72.6%), 미혼여성(61.9%)이 대부분이었으며 임신경험이 없고(71.1%), 출산경험이 없는 여성(74.9%)이 많았다. 월경주기는 규칙적이고(77.2%) 월경기간은 3∼5일인 사람(58.6%)이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직종은 전문직종사자(34.8%), 서비스종사자(33.7%), 사무종사자(31.8%)순이었다. 2. 대상자의 월경시 불편감의 정도는 보통(2.45±0.68)이었으며, 양상은 통증(3.17±0.09), 수분 축적(2.90±0.86), 행동변화(2.76±0.92)의 순으로 불편감을 갖고 있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편감 정도는 연령(F=3.41, p=.034), 결혼유무(t=13.14, p=.000), 임신경험(t=9.83, p=.002), 출산경험(t=8.31, p=.004)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근로특성에 따른 월경시 불편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월경시 불편감의 대처방법에 따른 완화정도는 3.18로 행동적 대처(3.55)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5. 월경시 불편감과 대처행동 간에는 회피적 대처에서만 상관관계가 있어 불편감이 높은 사람일수록 회피적인 대처를 하고 있었다(r=.178, 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해 여성근로자들의 월경시 불편감과 직업특성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처방법은 행동적 대처를 하는 대상자가 불편감을 덜 느끼고 있었다. 대처방법에 따른 완화정도는 단기적이고 빠른 약물복용 방법보다 잠과 휴식을 취하는 것과 같은 완화요법을 선택하여 불편감을 해소하고자 하는 노력이 보였다. 따라서 여성근로자의 월경시 불편감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행동적인 대처방법으로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임파워먼트를 불어 넣어주고 다양한 대처방법에 대한 정보제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4 II. 문헌고찰 6 A. 월경시 불편감 6 B. 월경시 불편감에 대한 대처방법 11 III. 연구방법 14 A. 연구설계 14 B. 연구대상 및 표집방법 14 C. 연구도구 15 D. 자료 수집기간 및 분석 방법 19 E. 연구의 윤리적 고려 20 F. 연구의 제한점 20 IV. 연구결과 및 논의 21 A. 대상자의 특성 21 B. 대상자가 느끼는 월경시 불편감의 양상 및 정도 26 C. 대상자의 월경시 불편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28 D. 월경시 불편감의 대처방법에 따른 완화정도 33 E. 월경시 불편감의 정도와 대처방법에 따른 완화정도와의 관계 36 V. 결론 및 제언 38 A. 결론 38 B. 제언 40 참고문헌 41 부록 47 Abstract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01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여성근로자의 월경시 불편감과 대처방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Female Worker's Menstrual Discomforts and Coping-
dc.creator.othernameLim, Yun mi-
dc.format.pagevi,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