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7 Download: 0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영양공급방법에 따른 영양상태 지표 비교

Title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영양공급방법에 따른 영양상태 지표 비교
Other Titles
A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indicators according to feeding methods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Authors
김상희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변영순
Abstract
뇌졸중은 국내 뿐 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과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다. 뇌졸중 급성기에는 뇌의 과대사로 많은 열량이 요구되나 여러 요인으로 인해 영양부족 위험이 높다. 연하곤란은 영양부족의 주요원인으로 연하곤란 환자의 영양부족은 입원 후 증가하며 질병의 회복을 저해하고 재원기간,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뇌졸중 환자의 영양공급 방법은 연하곤란 정도에 따라 다르며 영양지표 비교는 환자의 영양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중요하다. 그러나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영양공급 방법에 따른 영양상태 지표의 비교 연구가 국내·외에 부족하여 본 연구에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S 대학교 병원의 뇌졸중 집중치료실에 입실한 급성기 뇌졸중 환자 261명을 대상으로 영양공급방법에 따라 영양지표를 비교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이며 수집 내용은 Brott(1989)가 개발한 NIHSS를 이경무 등(2004)이 번역 및 수정한 한글판 NIHSS의 점수와 Trapl 등(2007)이 고안한 연하곤란 사정도구인 GUSS를 수정 및 보완한 Modified GUSS로 평가된 영양공급방법, 영양상태 지표인 BMI, WBC, Hb, Albumin, BUN, Hct, Creatinine, TLC, Total protein 9개 항목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평균 연령이 67.15±13.36세이고 남성 158명(60.54%), 뇌경색 대상자가 217명(83.14%)으로 가장 많았다. NIHSS는 평균 6.08± 7.04점으로 경등도가 136명(52.11%)으로 가장 많았다. 집중치료실의 재실기간은 평균 3.47±1.94일로 나타났다. 2. 경구식군은 138명(52.87%), 연하곤란식군 69명(26.44%), 경관식군 54명(20.69%)이었다. 영양공급방법에 따라 연령(F=9.982, p=.000), 진단(F=3.486, p=.032), 중증도(F=111.294, p=.000), 재실기간(F=47.344, p=.000)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입실시의 경구식군은 과체중을 보였고 생화학적 영양지표들은 세 군 모두 정상 영양 상태였다. 세 군의 BMI(F=10.888, p=.000), Hb (F=6.591, p=.002), Albumin(F=12.585, p=.000), TLC(F=14.138, p=.005), WBC(F=7.120, p=.001), Hematocrit(F=4.577, p=.011), Total protein (F=9.130, p=.000)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퇴실시의 경관식군에서는 Hb, Albumin, Hct, Total protein이 영양부족상태를 나타냈고 WBC는 증가상태를 보였다. 연하곤란식군은 Hb, Hct, TLC가 영양부족상태를 나타냈다. 경구식군의 생화학적 영양상태 지표는 모두 정상범위였고 퇴실시에도 과체중 상태였다. 세 군의 BMI(F=8.269, p=.000), WBC(F=17.865, p=.001), Albumin(F=7.955, p=.001), Hb(F=3.485, p=.034), Total protein(F=4.038, p=.020), BUN (F=13.365, p=.000), TLC(F=13.773, p=.000)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양공급방법에 따라 입실시와 퇴실시의 영양상태 지표 변화에서 경관식군의 Albumin(t=3.462, p=.002), Hb(t=2.930, p=.006), Total protein (t=4.269, p=.000)이 퇴실시에 영양부족상태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입실시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백혈구 증가상태를 보인 WBC도 입실시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1.554, p=.030). 퇴실시에 영양부족상태를 보인 연하곤란식군의 TLC(t=2.491, p=.017)가 입실시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입원시에 정상수치였던 영양지표가 퇴실시에는 뇌졸중 중증도가 높은 경관식군, 연하곤란식군, 경구식군 순으로 영양부족상태인 지표가 많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양상태 지표는 영양공급방법에 따라 변화되며 경관식 환자의 영양상태 변화를 주의깊게 관찰할 필요가 있다. 영양부족상태이면서 유의하게 변화하는 지표를 중심으로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며 영양부족을 조기에 교정하기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utritional status indicators and changes according to feeding methods with acute stroke patients. This study sample consisted of 261 acute stroke patients who admitted in Stroke Unit locat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in Gyeonggi-do. As this study was restrospective study through the medical records, data were collected from 1 January, 2010 to 31 December, 2010. All subjects were assessed wit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developed by Brott(1989) and revised by Lee(2004), Modified GUSS developed by Trapl et al.,(2007) and corrected in accordance with acute stroke guidelin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9 of nutritional status indicators such as BMI, WBC, Hb, Albumin, BUN, Hct, Creatinine, TLC, Total protein.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WIN 18.0 to calculated frequencies,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scheffe and pared t-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Of the 261 subjects, 158(60.54%) were male and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67.15±13.36 years. 217(83.14%) subjects were diagnosed with infarction. The average NIHSS score of the subjects was 6.08±7.04, mild stroke subjects 136(52.11%), moderate 83(31.80%), severe 42(16.09%). Average length of stay in Stroke Unit was 3.47±1.94 days. 2. Oral feeding subjects were 138(52.87%), dysphagia diet 69(26.44%), levin feeding 54(20.69%). Age(F=9.982, p=.000), diagnosis(F=3.486, p=.032), stroke severity(F=111.294, p=.000), length of stay(F=47.344, p=.000)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feeding methods. 3. On admission to Stroke Unit, oral feeding group was overweight and BMI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3 groups(F=10.888, p=.000). All biochemical nutritional indicators were normal values and Hb(F=6.591, p=.002), Albumin(F=12.585, p=.000), TLC(F=14.138, p=.005), WBC(F=7.120, p=.001), Hematocrit(F=4.577, p=.011), Total protein(F=9.130, p=.000)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3 groups. 4. On Discharge from Stroke Unit, levin feeding group was undernutrition states in Hb, Albumin, Hct, Total protein and especially presented with leukocytosis. Dysphagia diet group was undernutrition states in Hb, Hct, TLC, meanwhile, all biochemical nutritional indicators of oral feeding group was normal values. Similarly to admission, oral feeding group was overweight. BMI(F=8.269, p=.000). WBC(F=17.865, p=.001), Albumin(F=7.955, p=.001), Hb(F=3.485, p=.034), Total protein(F=4.038, p=.020), BUN(F=13.365, p=.000), TLC(F=13.773, p=.000)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3 groups. Albumin(t=3.462, p=.002), Hb(t=2.930, p=.006), Total protein(t=4.269, p=.000)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on admission and discharge in levin feeding group. Also WBC cou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on admission and discharge in levin feeding group(t=-1.554, p=.030). TLC(t=2.491, p=.017)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on admission and discharge in dysphagia diet group. As a results of this study, nutritional status indicators were differently changed according to feeding methods. The more severe dysphagia group, have more undernutrition indicators. Therefore, observation of changes in nutritional status in levin feeding group is important.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of nursing interventions focused on the significantly changes of undernutrition indicators for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undernutrition according to feeding metho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