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7 Download: 0

소아, 임산부, 노인의 약물 안전성에 대한 Black Box Warning의 검토

Title
소아, 임산부, 노인의 약물 안전성에 대한 Black Box Warning의 검토
Other Titles
Review of Black Box Warning on Drug Safety of Pediatric, Pregnant, and Elderly Patients
Authors
이정은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약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병구
Abstract
A boxed warning, commonly referred to as a “Black Box Warning (BBW)”, is the most serious type of warning mandated by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to warn prescribers about serious adverse reactions or special problems. Although drug safety should be checked through clinical trials, pediatric patients, pregnant women, and elderly patients are excluded from the trial. Most BBW are not the result of controlled clinical trials but often the result of postmarketing surveillance. So it is the most up-to-date information about drug safety, which makes it worthwhile to be carefully recognized. Drugs with BBW was classified and content of BBW related to pediatric patients, pregnant women, and elderly patients was reviewed. Furthermore, this study checked and compared how the content of BBW was reflected on approved information of drugs in Korea. There were 481 drugs with BBW, with 84 (17.5%) related to pediatric patients, 85 (17.7%) related to pregnant women and 79 (16.4%) related to elderly patients. When ATC codes were checked, L(antineoplastic and immunomodulating agents, n=94) was the majority in all drugs, N(nervous system, n=44) in pediatric patients, C(cardiovascular system, n=47) in pregnant women and M(musculo-skeletal system, n=19) and N(nervous system, n=19) in elderly patients. Adverse drug reactions sorted by affected organs, respiratory effects (n=18) were the highest for pediatric patients (n=41), and secondary effect on fetus (n=30) for pregnant women (n=32). As for the case of elderly patients (n=18), there were no evidently high result. However, 3 case of coagulopathy and 3 cases of nephrotoxicity were the most reported adverse drug reactions. The approved information of drugs in Korea was checked if it mentioned what was on BBW for pediatric patients, pregnant women, and elderly patients as ‘warnings’. 48.1% (n=37) had the information as warnings, 37.7% (n=29) had the information but not as warnings and 14.3%(n=11) had no mention of that information. In BBW of some drugs, it mentioned a certain program that restricts prescription and dispense. Compared to that, Korea relatively lacks drug safety measures such as BBW and programs. It can be concluded that Korea should come up with a program of its own to enhance drug safety.;‘Black Box Warning(BBW)’이라고 불리는 박스 경고문은 미국FDA에서 약물에 대한 심각한 약물유해반응 또는 주의사항에 대해 경고하는 글이다. 보통 시판 후 추가되기 때문에 의료진에게 약물 안전성과 관련하여 제공되는 최신 정보이고, 주의 깊게 인식되어야 하는 정보이다. 새로운 성분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임상시험에서 소아, 임산부, 노인 등의 취약군은 피험자에서 대부분 배제되고, 나타날 수 있는 위험성을 이론적으로 예측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시판 후 약물감시의 결과물인 BBW의 내용을 분석해 본다면 약물 취약군에 대한 약물 안전성 검토의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Micromedex DRUGDEX system을 통하여 BBW 약물의 목록을 검토하여, 소아, 임산부, 노인에 대한 내용이 언급된 BBW 약물을 분류하고 내용을 분석 하였다. 또한, 국내 유통의약품을 확인하여 해당 약물에 대한 허가사항과 BBW의 내용을 비교해 보았다. BBW 약물은 481건이었고 BBW의 내용에 소아 관련 언급이 있는 약물은 84건(17.5%), 임산부 관련 언급이 있는 약물은 85건(17.7%), 노인 관련 언급이 있는 약물은 79건(16.4%) 이었다. ATC 코드별 분류를 확인하였을 때 BBW 약물 전체에서는 항종양제 및 면역조절제(n=94)가 가장 많았고, 소아에서는 신경계(n=44), 임산부에서는 심혈관계(n=47), 노인에서는 근골격계(n=19)와 신경계(n=19) 약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BBW에 언급된 약물유해반응을 정리하여 영향을 미치는 기관별로 구분하였을 때, 소아는(n=41) 호흡기계가 가장 많았고(n=18), 임산부(n=32)는 대부분이 태아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언급이었다(n=30). 노인의 경우(n=18) 크게 두드러진 결과를 확인하기 어려웠지만, 출혈관련 3건, 신독성 관련 3건이 가장 많이 언급된 약물유해반응이었다. 소아, 임산부, 노인이 언급된 BBW의 내용이 국내 허가사항의 경고 항목으로 언급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보았을 때 경고에 언급되어 있는 경우가 48.1%(n=37)이었고, 경고는 아니지만 다른 항목에 언급이 되어 있는 경우가 37.7%(n=29), 언급이 없었던 경우가 14.3%(n=11)이었다. BBW의 내용에서 처방 및 조제를 제한하는 특정 프로그램이 언급된 약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에는 BBW 및 프로그램과 같은 약물 안전장치가 상대적으로 미미하였다. 국내 자체적인 약물 안전성 감시의 활성화 및 안전사용을 유도하는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약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