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9 Download: 0

초등학교 학급차원의 구어적 또래칭찬 중재가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itle
초등학교 학급차원의 구어적 또래칭찬 중재가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Class-wide Positive Peer Reporting On Behavior Problems and Self-concept of Elementary Students
Authors
강선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희
Abstract
문제행동에 대한 학교에서의 일반적인 중재는 문제행동 자체를 지적하고, 훈계하는데 머물고 있으며, 교사와 학생들은 문제행동을 발견하는데 많은 시간을 보낸다. 이처럼 문제행동에만 초점을 두는 학급 분위기는 문제행동을 일으킨 학생들에게 또래불인정 이라는 부정적 피드백을 받게 하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중요해지는 초등학교시기에 낮은 자아개념을 초래할 수 있다. 최근, 이 같은 역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예방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가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학급차원 혹은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 지원은 학생을 둘러싼 모든 인적, 물적 환경의 변화를 위해 너무 많은 노력이 필요하고, 편리성과 용이성을 기준으로 문제행동 중재방법을 선택하는 교사들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별한 물적, 인적, 환경의 변화 없이도 실행 가능한, 초등학교 학급차원의 구어적 또래칭찬 중재가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에 위치한 A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학생들이다. 2개 학급 학생 59명 모두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자가 중재를 실시하였다. 사전 자아개념 검사 후, ABAB 실험설계를 사용하여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중재가 모두 끝난 후 사후 자아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학급차원의 구어적 또래칭찬 중재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Gresham, Macmillan과 Bocian(1997)이 개발하고 Walker와 Severson(1992)이 수정하였으며, Morrison과Jones(2007)이 보완한 결정적 행동문제 지표(Critical Events Index:CEI)를 담임교사의 3일간의 관찰을 통해 표시한 결과, 한 가지 이상의 문제행동 유형을 나타냈고, 담임교사와의 면담에서 문제행동이 두드러진다고 지적된 학생 6명을 고빈도 문제행동을 보인 학생으로 선정하였다. 이 중에는 특수교육을 받는 학생 1인도 포함되어 있었다. 고빈도 문제행동을 보인 학생들의 문제행동에 미친 중재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무작위 선택된 오전 교과 활동시간 20분을 비디오 녹화하여, 고빈도 문제행동을 보인 개별 학생의 문제행동 발생을 15초 부분간격 기록법으로 기록하였다. 결과처리는 실험단계별 문제행동 발생율 비교와 단계별 회기그래프의 경향성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초등학교 학급차원의 구어적 또래칭찬 중재가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두 학급 학생 모두에게 실시한 사전 자아개념 검사의 %tile을 반영 하여, 상(75%tile이상) 중(25%tile이상-75%tile 미만) 하(25%tile 미만)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별로 중재 실시 전후의 자아개념 점수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급차원의 구어적 또래칭찬 중재는 고빈도 문제행동을 보인 학생들의 기초선 기간보다 중재기간의 문제행동 발생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경우, 회기별 그래프의 경향성 분석에서 중재가 실시될 때 이전 기초선에 비해 문제행동 발생율이 떨어졌지만, 첫번째 기초선 기간의 문제행동 비율이 그다지 높지 않았으므로, 중재 실시에 따른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담임교사의 갑작스런 부재 등 외생변수를 통제하지 못함으로 인해 참여 학생 1인에게서 중복 데이터가 존재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학급차원의 구어적 또래칭찬 중재 실시에 따라 상·중·하 그룹별 학생들의 자아개념 점수는 중 집단과 하 집단이 사전점수 평균보다 사후점수 평균이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 t=2.15, p<.05; ’하‘ t=2.79, p<.05) 상 집단은 사전점수 평균보다 사후점수 평균이 유의미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상‘ t=-2.30, p<.05).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초등학교 학급차원의 구어적 또래칭찬 중재는 일반적 중재임에도 불구하고, 고빈도 문제행동을 보인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자아개념 점수에서 ‘중’‘하’ 수준을 보인 학생들의 자아개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급차원의 구어적 또래칭찬 중재가 문제행동과 자아개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고하는 국내 첫 연구로서, 교사와 학생들의 일상적인 학교일과를 유지하면서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대상 보편적이고, 효과적인 행동중재를 제안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The general intervention technique for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 was to discipline them. Teachers and peers spent so much time pointing out the inapropriate behaviors. In an atmosphere which focused on inapropriate behaviors, the children displayed these problem behaviors received negative feedback from peers, thus causing them to develop low self-concept Lately, in an effort to prevent this development, the intervention techinique has changed toward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s(PBS). Though there are many positive effects of PBS, many teachers have not adapted to their classes, because it requires so many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lass-wide positive peer reporting(PPR) that occurs within the children's natural environment on the behavior problems and self-concept of childre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9 students of the fourth grade students who were divided between 2 classes in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All of them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collecting the data on the amount of incidences of behavior problems, 6 children with high frequency problem behavior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eacher's report on the CEI(Critical Events Index) and after our interview about which children drove her crazy. CEI, which was described by Gresham, Macmillan & Bocianand, and modified by Walker and Severson . Also, it was adapted by Morrison and Jones(2007). According to the authors, a child who exhibits one or more of these behaviors within the past six months is at- risk for developing a behavior dis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PPR on self-concept, 59 students were divided into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self-concept pretest level. A withdrawal design was used to evaluate the chages in the level of behavior problems across baseline and intervention phases and t-test was use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self-concept between pretest and post test. Observation on behavior problems of each classes were collected during the 20 minutes in the mornig class, and were conducted using a 15 second partial interval recording method.(10''observation and 5'' recording) Datas of behavior problems were analysed by comparing the incidence of behavior problems at each experimental phases and visualizing the tendency of the session graph. Th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fter implementing the PPR intervention, some of students made notable decreases in behavior problems. Second, class-wide PPR intervention has shown a meaningful increase student's self-concept who were belong to middle and low sub-groups. In conclusion, class-wide PPR intervention was effective for decreasing behavior problems and enhancing the self-concept on elementary students.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hat proved the PPR's effects on behavior problems and self-concept in korea.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ventions, which can be effective for any student can be used to implement the student's natural environment .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