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3 Download: 0

비평적 감상문 쓰기학습이 아동의 문학평가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Title
비평적 감상문 쓰기학습이 아동의 문학평가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hildren's Literature Evaluation Abilities for a Writing Criticism Instruction Program
Authors
이현주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성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critical book report writing and ordinary writing activitie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5th graders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critical book report writing activities on the children’s literature evaluation ability. In today’s information society, children have easy access to information rather than to knowledge through the Internet. In this situation, they need to develop abilities to create new knowledge by evaluating and altering information from various viewpoints. Therefore, critical book report writing education that develops advanced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should be executed intensively in the course of the curriculum, and children should be equipped with abilities to choose necessary information and utilize it according to their need. It is not easy to apply critical writing in the middle of school class and teachers have few opportunities to learn or try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 a result, children are accustomed more to instructive book report writin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erformance evaluation was introduced, but it has many shortcomings to achieve the goals of writing education and its uses are often limited to the content review of works or official evaluation. For broad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and approaches from a critical viewpoint, we should avoid purposeless book report writing education, and need to promote advanced learning that reads textbook texts or writings and restructure contents and ideas in them into the learner’s own thoughts. As simple memorization or instructive book report writing cannot meet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eed of abilities to select valuable information, to persuade and to think critically as required in contemporary society, this study set research question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critical book report writing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bilities to interpret and criticize literary texts.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s of the research questions, we sampled two 5th grade classes at N Elementary School in Gwangmyeong City, Gyeonggi-do used them, respectively,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fter a preliminary test was performed, the two groups had a pretest. Then, the experimental group had classes based on critical book report writing activities for 8 weeks from March 2011 and 3 sessions a week, and the control group had writ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existing curriculum. After the writing activities were completed, both groups had a posttest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critical book report writing on 5th graders’ abilities to interpret and criticize literary elements. Sampling 30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had critical book report writing activities and another 30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we performed statistic analysis through paired-sampled t-test.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critical book report writing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abilities in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contextual reasoning of literary elements,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In the causality analysis of literary elements, both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bu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posttest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critical book report writing activit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subjective judgment and ground presentation among the factors of ability to criticize literary elements,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These results mean that critical book report writing activities in 5th graders’ literature learning can develop abilities to evaluate literary works. Children in this period can analyze causes and effects centering on the personality or characteristics of figures or the development of stories, and acquire abilities to compare and contrast and to reason contexts. The children in this study also showed heightened confidence in reading,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literary works and thinking subjectively and critically, as well as in writing for presenting the ground of their criticism.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 mak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s follows. First, this has limitations in that it was performed for a short period with a limited number of subjects who were two classes of 5th graders, one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for the control group, sampled from an elementary school, and therefore, could not test improvement in comprehensive and general literature evaluation abilities. We need to expand the subjects to other grades with different developmental tendencies or to study two or more grades at the same time, and to analyze characteristics by grade or by area. In addition, more extens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examine literature acceptance abilities through class activities using more text materials selected by level. When critical book report writing activities are executed in school, children should be provided with level-based volume of learning and sufficient time for analyzing and thinking literary works critically.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critical book report writing strategies for applying various types of writings to children who have had learning and training for a sufficiently long period.;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 아동들에게 비평적 감상문 쓰기 학습을 적용한 활동과 국어과의 쓰기 학습을 적용해 본 후 비평적 감상문 쓰기 학습을 한 아동들의 문학평가능력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정보화 사회에서는 지식 자체보다 쉽게 인터넷 정보들을 접하게 되는데 이 때 아동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가 어떤 것인지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하고 변용해서 새로운 지식으로 창출해내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고등 사고 능력 및 문제 해결 능력을 길러주는 비평적 감상문 쓰기 교육은 교육과정 진행 속에서 중점적으로 지도해야하며 아동들 스스로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고 그것을 자신의 필요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더욱 중요한 시기가 되었다. 실제 학교현장에서 교육과정 속의 비평문 쓰기 학습은 쉽게 적용될 수 없었으며 교사들도 다양한 교수 · 학습 방법을 실현해 볼 수 있는 연수나 기회가 없어서 아동들도 자연스럽게 교훈적 독후감 쓰기학습을 많이 하게 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수행평가가 도입되었지만 쓰기 학습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부족한 부분이 많았으며 단지 작품의 내용 확인이나 형식적인 평가의 수단으로만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작품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비판적 시각에서의 접근을 위해서는 맹목적인 독후감 쓰기 교육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며 교과서 텍스트나 글을 읽고 그 속에 담긴 내용과 사상을 완전히 자신의 생각으로 재구성하는 심화학습이 필요하게 되었다. 비평적 감상문 쓰기의 중요성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국어교과 교육목표의 하위 목표에 ‘다양한 유형의 담화와 글을 비판적이고 창의적으로 수용하고 생산한다.’는 문학교육에 관한 목표를 제시하며 문학평가능력에 향상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서평을 ‘대상 책에 대하여 평가적 견해를 밝힌 글로 대상 책에 대하여 해설하거나 쟁점을 도출하여 동의 또는 반박하거나 책의 의의나 가치에 대하여 판단하거나 평가를 담고 있는 글’ 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서평은 ‘평가’ 와 ‘판단’의 내용을 담고 있으나 읽기 텍스트로 제시된 것은 5학년에서 처음 제시되는 장르이므로 아동들에게 낯설거나 어려울 수 있으므로 비평적 에세이 형식으로 다른 사람의 공감을 얻기 위하여 타당한 가치 판단 기준을 제시하여 읽기와 해석과 평가 활동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지도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단순 암기나 교훈적 독후감 쓰기 학습이 현대사회에 필요한 정보의 선택과 설득력,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비평적 감상문 쓰기학습이 문학 텍스트의 해석력과 비판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기도 광명시에 위치한 N초등학교 5학년 1개의 실험집단 학급과 1개의 비교집단 학급을 선정하였다. 예비검사를 거친 후 두 집단에 대하여 먼저 사전 검사가 실시되었고 2011년 3월부터 한 주에 3차시씩 8주간 실험집단에 비평적 감상문 쓰기 학습 활동을 적용하여 수업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교육과정에 작성된 쓰기 학습을 실시 한 후 그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사후 검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비평적 감상문 쓰기 학습이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문학적 요소에 대한 해석능력과 비판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따라서 비평적 감상문 쓰기 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 30명과 적용하지 않은 비교집단 30명을 표집하여 대응표본 분석(paired-sampled t-test)를 기준으로 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비평적 감상문 쓰기 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적용하지 않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문학요소의 비교대조 분석과 상황맥락추론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으나, 비교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문학요소의 인과관계분석에서는 두 집단 모두 통계적 향상이 나타났으나, 실험집단이 비교집단과의 사후검사 결과 높은 점수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둘째, 비평적 감상문 쓰기 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적용하지 않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문학요소의 비판능력 중 주체적 판단 요인과 근거 제시 요인 모두 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으나, 비교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가 의미하는 것은 초등학교 5학년의 문학학습에서 비평적 감상문 쓰기 활동을 하면 아동들의 문학평가능력이 길러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시기에는 인물의 성격이나 특성, 사건 전개를 중심으로 원인과 결과를 분석할 수 있으며 서로 비교· 대조 분석하는 능력과 맥락을 추론할 수 있을 능력도 함께 길러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동들은 작품을 읽고 이해하며 해석하여 주체적으로 비판적 사고를 하고 그 근거를 제시하는 글 쓰는 능력에도 자신감을 갖고 향상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론을 기준으로 후속연구에서 시도되어야 할 점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5학년으로 한정하여 단 기간의 실시된 제한점과 1개교의 5학년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 각 1개의 학급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종합적이고 일반적인 문학평가능력 향상을 보여주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발달적 경향이 다른 학년으로 연구 대상을 늘리거나 또는 두 개 학년 이상을 동시에 연구함으로써 학년별 및 지역별 특성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과정 활동을 통하여 문학수용능력을 살펴보며 수준별로 더 많은 텍스트 자료를 선정하여 폭 넓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학교 현장에서 비평적 감상문쓰기 학습 활동을 할 때도 아동들이 작품을 해석하고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수준별 학습량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충분한 기간에 학습 훈련을 받은 아동들에게 다양한 글의 종류를 적용할 비평적 감상문 쓰기 전략을 재구성할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