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진다정-
dc.creator진다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5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0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4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02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2010년부터 실시되고 있는 ‘종일제 특성화 활동’을 담당하고 있는 서울시 공립유치원 교사들이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목적과 필요성, 세부적인 운영 내용, 교육 프로그램, 강사 등에 대해 어떤 경험과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은 어떠한가? 3.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은 어떠한가? 4. ‘종일제 특성화 활동’ 담당 강사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 공립유치원에서 2010년과 2011년에 ‘종일제 특성화 활동’을 직접 담당하여 운영하고 있는 교사 10명이며, 서울시에 소속된 지역 교육청별로 1명씩 목적 표집의 방법을 사용하여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면담을 실시하였고, 예비연구를 바탕으로 2011년 3월 25일부터 5월 3일까지 교사 당 1회의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추후 필요에 따라 전화와 e-mail을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얻었다. 면담 자료는 교사들의 동의를 얻어 녹음 후 전사하였고, 분류하기와 범주화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구체적인 목적과 취지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대한 안내와 연수가 부족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부모의 요구와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고, 원아모집과 종일반 교육의 다양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이유로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종일제 특성화 활동’이 유아들의 발달에 적합하지 않고, 안정적인 종일반 운영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이유로 회의적인 인식을 가진 교사들도 있었다. 둘째,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교육적 활동 운영에 있어서 교사들은 반일반 일과와 연계할 수 있는 13시에서 15시 사이의 시간에 부모의 의견과 유치원의 상황을 반영하여 2~3개의 과목을 주 1회 운영하고 있었다. ‘종일제 특성화 활동’ 비용은 강사, 부모와의 협의를 거쳐 재료비를 포함하여 2만원~3만원 내외로 결정되었고, 활동 대상은 종일반, 반일반에 관계없이 희망하는 유아들이 참여할 수 있었다. 또한 2010년과 2011년의 특성화 활동비 지원 계획의 변화에 대해 교사들은 2010년처럼 저소득층 유아의 특성화 활동비를 지원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입장과 종일반 교육 활동 활성화를 위해 종일반 학급을 지원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입장으로 나누어졌다. 더불어 교사들은 ‘종일제 특성화 활동’을 운영하며 강사 계약, 강사비 지급, 수업료 징수, 예산 성립과 집행 등의 행정 업무를 함께 담당함에 따른 업무 부담을 느끼고 있었으며, 이에 대해 수업 보조 인력 또는 ‘종일제 특성화 활동’ 행정 담당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참여 교사들은 교과부 개발 프로그램이 국가 차원에서 전문가들에 의해 개발되어 신뢰할 수 있고, 강사의 수업을 관리하기에 도움이 된다는 입장과 유치원 교육활동의 연장으로 전문성이 부족하고 교육 활동의 다양성을 인정해야한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과목으로 제시된 음악, 미술, 체육, 과학에 대해서 참여 교사들은 네 과목으로 충분하다는 입장과 부모와 유치원의 상황에 따라 더 확대되거나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개방해야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넷째,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강사를 채용할 때, 교육청에서 제시한 강사명단을 활용하거나, 개인적인 친분과 추천에 의한 비형식적인 방법으로 강사를 섭외하였고, 유치원에 따라 서류 지원과 면접의 과정을 거쳐 공개 채용한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교사들은 이러한 강사 채용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고, 강사 선정 기준과 관리 지침에 대한 명확한 안내가 필요하며, 유아의 발달과 ‘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대해 이해하고 활동을 운영할 수 있는 강사 인력풀이 보완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종일제 특성화 활동’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교사들에게 유치원 기본 교육과정의 정상화와 종일반 운영의 내실화를 위한 활동의 목적과 취지에 대해 충분히 안내하고, 제도적인 측면에서 활동 운영 방법, 교육 프로그램 선정, 강사 섭외 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해야한다. 또한 교사의 업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보조 인력을 확충하는 것도 필요하다. 교사의 입장에서는 ‘종일제 특성화 활동’을 정확히 이해하고, 활동 운영에 있어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가져야 하며, 특성화 교육 내용과 활동이 유아들에게 적절한지 관심을 가지고 책임감 있게 운영·관리해야 할 것이다.;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who are responsible to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operated since 2010 on its purpose and necessity, detailed operation contents, education program, lecturers and more.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are as below. 1. How is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bout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2. How is the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teachers about operation of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3. How is the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teachers about education program of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4. How is the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teacher about lecturers of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are 10 teachers directly responsible for and operating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in 2010 and 2011 at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1 teacher from each regional education office was selected by using purpose collection method. As a research method, we performed interview that is a way of quality research methods, and based on preparatory research, we performed a session of interview for each teacher from 25 Mar to 3 May 2011 and acquired additional information via telephone and e-mail when necessary. The interview data was recorded and documented with agreement of teachers and it was analyze through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The result from this research is as below. First, the participating teachers to this research often were not aware of detailed purpose and object of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and they thought that there is lack of guide and training. Most teachers, about the necessity of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positively recognized its necessity as it applies parental demand and periodic flow along with its positive effect on variation in education of full-day class and recruitment. However, there were teachers who had negative recognition because of inappropriate application of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to young children and its intereference in operation of stable full-time class. Second, teachers were operating 2~3 subjects per week at around time between 13 to 15 when they can connect together with the schedule of half-day class in educational activity operation of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The cost of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was around 20,000~30,000 won including materials with discussion of lecturers and parents. All young children who wish to participate to the activity can join irrelevant to their class type, half or full. Also, about the change in support plan for specialized activity in 2010 and 2011, teachers had two different point of views that is claiming support for specialized activity cost for toddlers of low income family as in 2010 and the other that claims support to full-time class to activate full-time education activity. Moreover, teachers felt burden about the work as they manage administration duty such as lecturer contract, pay calculation, class fee management, budget plan while operating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and they recognized that there is a need of administration human resource or class support. Third, about the education program of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teachers presented that they can trust the developed program as it was processed by the professionals in national scale and also they mentioned it is helpful to manage the class of lecturer. However, other teachers claimed that it is continuous educational activity of kindergarten so it lacks the professionality and the diversity of educational activity must be accepted. Also, about the subjects suggested for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music, art, physical education, science, teachers had different opinions that those four subjects are enough while others say it should be expanded or decided in free will of kindergarten according to its condition. Fourth, when recruit the lecturer of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they used lecturer list suggested by the education office or made a casting call by informal way such as personal relation or suggestion and sometimes, there was open document application and interview. However, most teachers felt difficulties in recruitment of lecturers and they pointed that there is a need of clear guidance about lecturer selection standard and management regulation as well as improvement in lecturer resource who can understand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for operation. Therefore, to have proper direction of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there is a need of enough guide to teachers about normalization of basic curriculum of kindergarten, purpose and object of activities for advancement of full-time operation. Also, there has to be precise guidance about activity operation, selection of education program, casting lecturer in systematic point of view. Also, it is important to secure supporting human resource that can reduce the work load of teachers. From the point of teachers' view, they must exactly understand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and be more active for the activity operation and have to manage and operate with good responsibility while paying their attention to its suitability of specialized education contents to young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A. 유치원 종일제 4 1. 유치원 종일제의 개념 4 2. 유치원 종일제의 운영 현황 5 B. 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 6 1. 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배경 6 2. 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정의 8 3. 방과 후 학교의 일환으로서의 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 9 4. 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운영 방안 10 5. 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추진 경과 12 Ⅲ. 연구 방법 13 A. 연구 참여자 13 B. 연구 방법 14 C. 연구 절차 15 1. 예비 연구 15 2. 본 연구 16 D. 자료 분석 17 Ⅳ. 결과 및 해석 19 A.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19 1.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목적에 대한 인식 19 2.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22 B.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운영에 대한 경험과 인식 26 1.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교육 활동 운영 현황 27 2.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교육 활동 운영에 대한 경험과 인식 31 3.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행정적 운영에 대한 경험과 인식 37 C.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과 인식 40 1. 교육과학기술부 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과 인식 40 2. 프로그램 과목에 대한 경험과 인식 43 D. 종일제 특성화 활동 담당 강사에 대한 경험과 인식 45 1. 강사 채용 방법에 대한 경험과 인식 46 2. 강사의 자격 기준에 대한 경험과 인식 50 3. 강사의 수업과 태도에 대한 경험과 인식 52 Ⅴ. 논의 및 결론 55 A. 논의 55 1.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55 2.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운영에 대한 경험과 인식 56 3. 종일제 특성화 활동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과 인식 59 4. 종일제 특성화 활동 담당 강사에 대한 경험과 인식 61 B. 결론 및 제언 63 참고문헌 66 부록1.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 계획의 주요 정책 분야 및 핵심 과제 71 부록2. 종일제 오후 특성화 활동 운영 방안 72 부록3. 유치원 종일제 특성화 활동 세부 운영 방안 73 부록4. 2011 종일제 특성화 교육활동 운영 지원 계획 74 부록5. 방과 후 학교 운영 계획 75 부록6. 종일제 특성화 활동 추진 경과 76 부록7. 최종 면담 가이드 77 부록8. 연구 참여 동의서 78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79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종일제 특성화 활동'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about 'after-school extra curriculum activity'-
dc.creator.othernameJin, Da Jeong-
dc.format.pageviii,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