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여윤경-
dc.contributor.author이남희-
dc.creator이남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4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2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4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21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3차 자료를 사용하여 현재 근로소득이 있는 60세 미만의 예비은퇴자의 개인연금수요 및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개인연금자산에 대한 수요 및 적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개인연금의 종속변수를 여섯 가지 형태로 변화시켜 분석하였다. 우선 예비은퇴자들의 개인연금 보유여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예비은퇴자들이 은퇴 시점에 보유하게 되는 개인연금 예상수령 총액을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다시 은퇴기간동안 매년 수령하게 될 개인연금의 연금화 자산으로 추정하여 개인연금 자산의 수요를 분석하였다. 개인연금의 적정성 항목으로는 은퇴 후 예상되는 최소생활비와 적정생활비 대비 개인연금의 연금수령액의 구성비율을 통해 현재 예비은퇴자들의 은퇴 후의 수령하게 되는 개인연금의 적정성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또한 금융자산대비 개인연금자산총액의 비율로도 개인연금의 적정성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개인연금의 수요와 적정성은 대체로 연령이 낮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전문·관리직 그룹일수록 개인연금 수요가 높고 적정성변수 중 금융자산대비 개인연금의 예상수령 총액 비중이 높았다. 또한 개인연금의 수요 및 적정성은 건강상태와는 관련이 없어서 선행연구와 차이를 보였으며 도시근로자일 경우 개인연금 수요와 적정성이 낮은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소득은 개인연금 수요 중 개인연금 예상수령 총액과 연금화에서만 유의하였다. 소득은 선행연구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는 개인연금 보유여부와는 유의하지 않았고 적정성 항목에서도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노후대비 목적으로 저축 했을 경우, 퇴직금이 많을수록, 금융자산이 많을수록, 국민연금 자산이 많을수록 개인연금 수요와 적정성이 높게 나타났다. 부채는 개인연금 수요 및 적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비금융자산은 개인연금 수요항목 중 예상수령 총액과 개인연금 적정성 항목의 금융자산대비 예상수령 총액비중에서만 유의함을 보였다. 즉, 예비은퇴자들이 은퇴 후 생활비로 전환이 비교적 쉬운 국민연금자산, 퇴직금 자산, 금융자산이 많을수록 개인연금의 수요와 적정성이 높게 나타나 은퇴 이후 은퇴자산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 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sis of the demand and adequacy for Private pension. We selected the sample of the head of household aged under 59 who has income from the 3rd wave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The study finally investigated 552 households and SAS 9.2 program was used. The study made use of ANOV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obit regression test for individual pension demand and adequac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mand for private pensions, we divided the groups of variables into three. Firstly, the holding of private pension. The second is the total amount of private pension wealth at retirement. The last is the annuitized wealth of private pension in retirement. To analyze the adequacy of private pension, we utilized individual pension wealth divide by minimum amount of living expenses and appropriate amount of living expenses. Also we used a private pension assets at retirement divided by total financial asset. Our analysis reveals that in general, young, professional, and the high degree of households are likely to have high demand and adequacy of individual pension. Also people with more retirement pay, financial asset, and national pension wealth for retirement have higher demand and adequacy of individual pension. These tell us people who have assets that can easily convert living expenses in retirement have a propensity to save individual pension wealth. This phenomenon might lead to enlarge income inequality in their retirement. Meanwhile, our estimation results say that debt and non-financial asset are not a substitute for demand and adequacy for Private pension in general. Also present income has no effect on the holding of private pension and adequacy of individual pension, saying that is not backed up by precedent studies on a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individual pen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장 서 론 1 1.1.연구배경 1 1.2.논문의 구성 2 제 2장 선행연구 3 제 3장 연구방법 6 3.1.연구가설 6 3.2.연구모형 12 3.2.1.개인연금자산 추정 12 3.2.2.국민연금자산 추정 14 3.2.3.최종모형 16 3.2.3.1.개인연금 보유여부 16 3.2.3.2.개인연금 총액과 연금화 17 3.2.3.3.개인연금 적정성 18 3.3.분석자료 20 3.4.연구대상 21 제 4장 실증분석 22 4.1.기초통계량 22 4.2.ANOVA 분석 25 4.2.1.개인연금 수요 25 4.2.2.개인연금 적정성 30 4.3.최종모형 34 4.3.1.개인연금 보유여부 34 4.3.2.개인연금 예상수령 총액과 연금화 36 4.3.3.개인연금 자산의 적정성 40 제 5장 결론 및 시사점 44 참고문헌 47 부 록 51 ABSTRACT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294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개인연금자산의 수요와 적정성에 관한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demand and adequacy for Private Pension-
dc.creator.othernameLee, Nam Hee-
dc.format.pagevii, 5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경영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