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숙자-
dc.contributor.author박승은-
dc.creator박승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3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5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4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563-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work performance related to dementia service at the Dementia Consulting Center which are suborganization of public health center and identifies the problems related to work performance and suggests improvements to Dementia Consulting Cent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253 Dementia Care Advisor who work in Dementia Consultation Centers across the countr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9 to December 22, 2010, based on an investigator-developed questionnaire. 113 samples were investigat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9.0 to calculat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ost-hoc.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mentia Care Advisors, the mean age of the sample was 42.46 years old and 73.5% were nursing licensed. 69.9% had less than 2 years of dementia-related working experience.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mentia Consulting Centers, the average number of workers was 2.07 and only 38.4% of the center had a Dementia Care Advisor who exclusively took charge of Dementia-related work. The average budget was 63,618,500 Won, with a range of 500,000 Won to 483,800,000 Won. 2. In the question "what duty was performed most often", subjects answered the following in order of frequency: ‘Dementia screening (86.7%)’, ‘Support for dementia treatment cost (77.9%)’, ‘Dementia patient registration (63.7%)’, ‘Publicity activities regarding dementia-related services (48.7%)’, ‘Documenting and reporting (35.4%)’. In the question "what duty has to be performed importantly", subjects answered the following in order of frequency: ‘Dementia screening (87.6%)’, ‘Support for dementia treatment cost (65.5%)’, ‘Counseling with dementia patients and their family (48.7%)’, ‘Education for dementia patients and their family regarding dementia treatment and management (46.9%)’, ‘Dementia patient registration (45.1%)’. 3. 90.22 persons per 1,000 elderly population in jurisdiction were tested for dementia screening and 10.52 persons per 1,000 elderly population were registered to the dementia registration syste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ype of Dementia Consulting Center (F=4.54, p=.005), designation as featured project of local government (F=19.15, p=.000), designation as featured project of public health center (F=12.24, p=.001) in the number of dementia screen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ype of Dementia Consulting Center (F=20.54, p=.000), designation as featured project of local government (F=9.69, p=.002), designation as featured project of Public Health Center (F=7.24, p=.008), budget (F=6.04, p=.003) in the number of registeration to the dementia registration system. 4. Regarding the problem in work performance, subjects indicated ‘Performance result oriented evaluation (22.7%)’, ‘Shortage of budget and manpower (20.7%)’ and ‘Absence of organization that exclusively takes full charge of Dementia care (19.4%)’ as major problems. This study indicated that dementia screening and dementia registration should be expanded to a larger population.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dementia patients and their family. To enhance the national dementia management, the work performance should be evaluated by its qualitative assessment rather than quantitative assessment and proper staffs, budget and administrational support for Dementia Consulting Center should be provided.;본 연구는 전국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치매상담전문요원의 치매관련업무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업무수행과 관련된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전국의 시, 군, 구 보건소에 설치되어 있는 253개 치매상담센터에서 치매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치매상담전문요원으로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11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0년 11월 9일부터 12월 22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치매상담전문요원과의 인터뷰를 통해 치매상담전문요원의 업무내용을 구성하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설문지를 개발하여 우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9.0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사후검정으로 Tukey's honest significance tes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치매상담전문요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평균 연령은 42.46세이며 면허종별로는 간호사가 84.1%로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근무형태는 정규직이 85.8%를 차지하였다. 치매관련 업무기간은 1년 미만이 39.8%, 1-2년 미만이 30.1%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상담센터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센터 내 인력은 평균 2.07명이며 전담인력이 있는 경우는 38.4%, 없는 경우는 61.6%이었다. 치매상담센터의 2009년도 예산은 연평균 63,619천원이며 최소 500천원에서 최대 483,800천원 범위에 있었다. 2. 치매상담전문요원의 업무 중 주로 수행하고 있는 업무는 순서대로 ‘치매선별검사 시행’ 86.7%, ‘치매치료비관리지원’ 77.9%, ‘치매노인등록’ 63.7%, ‘치매치료비관리사업에 관해 지역주민 대상 홍보’ 48.7%, ‘치매상담센터실적보고’ 35.4%로 나타났다. 치매상담전문요원의 업무 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업무는 ‘치매선별검사 시행’ 87.6%, ‘치매치료비관리지원’ 65.5%, ‘치매노인 및 가족과 상담’ 48.7%, ‘치매노인 및 가족들에게 치매치료 및 관리에 대해 교육’ 46.9%, ‘치매 노인 등록’ 45.1%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치매상담센터의 치매선별검사 및 치매등록관리현황을 살펴보면, 관할지역 노인인구 1,000명 당 90.22명에게 선별검사가 시행되었고 치매등록대상자는 노인인구 1,000명 당 10.5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상담전문요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치매선별검사자 수나 치매등록관리자 수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치매상담센터의 일반적 특성 중 치매상담센터조직(F=4.54, p=.005), 자치단체 특색사업여부(F=19.15, p=.000), 보건소 특색사업여부(F=12.24, p=.001)에 따라 치매선별검사자 수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치매상담센터조직(F=20.54, p=.000), 자치단체 특색사업여부(F=9.69, p=.002), 보건소 특색사업여부(F=7.24, p=.008), 예산(F=6.04, p=.003)에 따라 치매등록관리자 스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 치매관련 업무 수행상의 문제점에 대해 ‘실적위주의 업무평가’가 22.7%, ‘예산과 인원 부족’이 20.7%, ‘치매만을 전담하는 조직 부재‘ 19.4% 순으로 답하였고, 치매업무 관련 예산이 충분한지에 대해 ’그렇지 않다 또는 매우 그렇지 않다’가 38.4%, 담당인력의 충분한지에 대해 ‘그렇지 않다 또는 매우 그렇지 않다’가 79.5%로 높게 나타났다. 치매관련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행정적 지원이 충분한가에 대해서는 41.9%가 ‘그렇지 않다 또는 매우 그렇지 않다‘라고 답하였다. 따라서 치매상담센터의 효율적인 치매관리를 위해 치매상담전문요원의 업무 중 현재 주로 수행되고 있는 치매선별검사 및 치매등록관리가 현재보다 더 많은 노인인구를 대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또한 중요한 업무로 나타난 치매노인 및 가족과의 상담이나 교육과 같은 업무에 중점을 둔 치매관리가 제공되고 실적위주의 평가보다는 질적인 평가에 중점을 두고 적절한 인력, 예산, 행정적 지원이 확보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D.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6 A. 치매 현황 6 B. 보건소 치매상담전문요원 9 Ⅲ. 연구방법 13 A. 연구설계 13 B. 연구대상 13 C. 연구도구 14 D.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15 E. 자료 분석 16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16 G. 연구의 제한점 17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18 A. 치매상담전문요원과 치매상담센터의 일반적 특성 18 B. 치매상담전문요원의 업무 수행도와 중요도 22 C. 치매상담센터의 치매선별검사 및 치매등록관리 현황 25 D. 치매관련 업무 수행 상 문제점 34 Ⅴ. 결론 및 제언 37 A. 결론 37 B. 제언 40 참고문헌 41 부록 1. 연구 참여 동의서 및 설문지 48 ABSTRACT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57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보건소 치매상담전문요원의 업무 수행도와 중요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Work Performance and Importance of Dementia Care Adviser in Public Health Center-
dc.creator.othernamePark, Seung Eun-
dc.format.pageix, 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