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혜연-
dc.contributor.author안연숙-
dc.creator안연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5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4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530-
dc.description.abstract패션시장이 진화되면서 의복의 착용경향이 다양하게 변화함에 따라 패션 업계는 여러 가지 트렌드가 공존하게 되었으며 정형화된 아름다움 보다는 각자의 개성을 중요시하는 추세로 흐르면서 패션 스타일링은 더욱 더 패션의 중요한 장르로 자리 잡게 되었다. 단순한 셋트개념의 착장법이 아닌 아이템끼리의 믹스, 헤어와 메이크업, 패션 소품 등 의상 외의 요소들과의 전체적인 조화가 스타일링을 완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렇게 다양해지는 패션의 인식 변화와 함께 1980년대 에콜로지 패션의 영향으로 등장한 재활용 패션은 1990년대 초반부터는 재활용 브랜드의 등장으로 높은 인기를 누리면서 환경보존운동에 대한 지지층이 폭 넓게 형성되면서 용도 폐기된 물건들을 재활용하는 '지속 가능한 패션'(sustainable fashion)으로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다. 이는 기성품에서는 찾기 어려운 기발한 아이디어에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제품'이라는 차별성을 가진 재활용 브랜드만의 매력으로 소비자에게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환경을 저해하는 요소로 비판 받던 패션 하우스들조차도 이러한 흐름에 동참하면서 친환경적인 변화를 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에 동참하여 재활용 패션 디자인 기법을 응용한 패션 스타일링의 효과적인 이미지의 연출을 위해 아이템, 악세서리, 컬러, 소재, 헤어 및 메이크업, 모델 등의 스타일링 요소들을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8점의 패션 스타일링 이미지를 제시하였다. 이는 현대 패션에서 나타나는 스타일링의 개념, 특성, 요소와 원리 및 역할 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고 재활용 패션 디자인의 경향을 파악하여 세련된 감각과 트렌드를 접목시키고자 하며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스타일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해 패션 스타일링이 패션 이미지 제안부문에 있어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각종 문헌 연구와 자료 검색을 통해 패션 스타일링의 개념 및 특성을 규명하고 패션 스타일링에 필요한 요소와 원리를 살펴보았고 오늘날 패션 스타일리스트의 기능과 역할은 어떠한지 패션 스타일링의 유형은 어떻게 세분화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최근 들어 더욱 주목받고 있는 재활용 패션의 개념 및 특성과 재활용 패션디자인의 표현기법 및 미적가치를 알아보고 화보와 컬렉션에 나타난 재활용 패션 디자인의 스타일링 사례를 사진 이미지를 중심으로 분석, 연구하였다. 이론적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스타일링이란 의복을 중심으로 악세서리, 소품 등이 하나의 컨셉을 바탕으로 서로 믹스 매치되어 보여지는 시각적 결과물이며 패션 스타일링을 위한 기본 요소는 아이템, 악세서리, 컬러, 소재, 문양, 모델, 헤어 및 메이크업 등이다. 둘째, 패션 스타일링은 각각 패션테마, 예술양식, 시대적 이슈를 반영하여 표현되는데 그 요소로는 클래식, 모던, 엘레강스, 매니쉬, 스포티브, 에스닉, 로맨틱 등의 테마를 기준으로 한 분류와 패션과 예술 사조를 접목한 스타일링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기도 하고 새로운 패션을 재창조해 내기도 하며 시대적 사건에 의해 파생되는 문화사조가 스타일링의 한 유형으로 분류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재활용 패션 디자인은 재료의 한계성을 깬 미의식의 파괴와 새로운 소재의 발굴을 통한 발상에 중점을 둔 트래션 리사이클 과 단순히 낡고 오래된 듯한 이미지만을 전달하는 일반적인 빈티지 패션이 아니라 자원 절약의 의미와 패션성, 상업성을 모두 겸비한 빈티지 리사이클, 재활용 패션을 가장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탄생 시킨 컨템포러리 리사이클, 디자이너의 창조적인 실험정신과 예술성, 개성이 가미 되어있으며 독창적이고 독특한 조형미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인 아티저널 리사이클 , 자원의 재활용을 통해 가치 상향형 리사이클을 강조하는 에코 업사이클링의 다섯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어 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재활용 패션의 재료 및 표현기법은 재활용 재료의 원형 그대로를 꼴라주, 플리츠, 구김, 직조 등의 기법으로 재사용한 재사용(reuse) 방법과 재활용 재료의 소재 일부를 다시 사용하여 물질의 가공과 수선을 통해 물질의 이미지를 추구하는 리폼(reform) 방법, 재활용 재료를 가공한 후 새로운 작품으로 변환시키는 재생(regeneration) 방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재활용 패션 디자인 기법을 이용한 패션 스타일링의 사례의 분석을 통해 재활용 패션 브랜드들이 기존 브랜드와 차별화된 자신만의 스타일을 추구할 수 있는 희소성에 가치를 두는 개성있는 작품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획일화나 수동적인 소비형태에 염증이 나있는 현대 젊은이의 욕구에 부응하며 새로운 스타일링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자는 재활용 패션 디자인의 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한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재활용 소재를 다시 사용해 기존의 이미지를 새로운 감각으로 재해석하는 리폼 방법을 통해 총 8점의 패션 스타일링 이미지를 제시하였다. 작품제작과 스타일링의 주제어는 ‘로맨틱-아방가르드'(Romantic-Avangarde)이며 그 표현의 방법은 해체(deconstruction)를 통한 ‘발상의 전환(transposition of concept)’과 ‘믹스매치(mix-match)’이다 작품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활용 패션의 디자인방법인 재사용 (reuse), 리폼(reform), 재생(regeneration) 의 방법 가운데 리폼의 방법으로 패치워크와 컷팅 등의 표현 기법을 주로 사용하여 일반적인 고정관념을 탈피한 해체를 통한 재구성을 하여 기존의 의류를 독창적인 이미지로 전환시킨 스타일링을 제안하였다. 둘째, 일반적인 리폼에서 주(main)가 되는 의상 (garment)보다 부(sub)로 연출되는 스타킹, 넥타이 등의 악세사리등을 작품의 주요 리폼구성요소로 하는 발상의 전환을 꾀할 수 있었다. 셋째, 색상의 조합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화이트, 블랙의 모노톤을 중심으로 하며 베이지, 카키, 퍼플 등의 중저채도 색상과의 은은한 조화를 이루어 한층 고급스러움을 제시할 수 있었다. 넷째, 기존의 아방가르드 스타일링에 주로 사용되는 금속성이나 미래지향적인 소재를 배재하고 오히려 섬세하고 여성적인 스타킹 패치워크 모티브를 사용함으로서 기존의 아방가르드의 파괴적인 느낌을 시각적으로 보다 새롭고 섬세한 것으로 전환시킬 수 있었다. 다섯째, 메이크업은 창백해 보이는 느낌을 강조하기 위해 페일한 누드톤으로 정리했으며, 헤어는 비대칭의 볼륨감을 강조한 올린머리로 작품과 색상을 맞춰 망사를 사용해서 초현실적이면서 전위적인 이미지를 줄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본 연구는 재활용 패션이 가지는 희소가치와 다양성이 패션업계에 신선하면서도 바람직한 움직임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우리가 일회성이나 소모성으로 여기는 것을 새로운 해석의 재창작물과 스타일링을 통해 승화시킬 수 있다면 예술적으로 도덕적으로 가치있는 일이 아닐까 제안해 보며 이러한 현상이 현대패션에 있어 주류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는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재활용 패션에 대한 지속적 연구로 많은 선진국이 그러하듯 이를 브랜드화 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As the evolution of fashion market, the diverse changes in the tendency to wear clothes lead to the coexistence of numerous trends in the fashion industry, and the pursuit of individual unique characters rather than formalized beauty emphasizes the fashion styling as a more important fashion genre. An overall balance and harmony with non clothing elements such as mixture among items, hair and make-up, and fashion accessories not simply just the clothing method as a set concept becomes a critical factor that perfects the styling. Together with the dramatic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fashion genre, the recycle fashion emerged from the ecology fashion in 1980s became highly popular from 1990s as the launching of recycle brands and the wide spread of supporters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movements, which led to the formation of mania group that argues for sustainable fashion that tries to recycle and reuse the wasted items regarded as useless. Such fashion items attract consumers in a way that it appeals a novel idea hard to be found in existing ready-made goods and distinguishes as 'only one product in the world', so that it becomes a unique recycle brand. In addition, the fashion houses that were criticized for having a harmful impact on environment and nature came to join the environment-friendly movement. In the study, the author proposes eight types of fashion styling images by combining appropriately such styling elements as item, accessory, color, material, hair and make-up, and model in order to create an effective image for fashion styling that applies the recycle fashion design technique as part of such fashion trend movement. This ultimately aims at playing a leading role of fashion styling in suggesting the fashion image by defining the concept, characteristics, element, principle, and role of styling, identifying the recycle fashion design trend, connecting sophisticated sense and trend, and proposing a creative and innovative style. Theoretical study conclude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fashion styling is defined most importantly as the harmony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element and a visual outcome made by mix and match based upon a concept that applies accessories and props around clothing. The fundamental elements for fashion styling include item, accessory, color, material, pattern, model, hair, and make-up, and function to maximize the impact by mix and match of numerous elements appropriately in order to fit to the image to be expressed. Second, fashion styling is generally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hat reflect fashion theme, art trend, and culture trend. Fashion themes include diverse fashion images such as classic, modern, elegance, mannish, sportive, ethnic, and romantic moods based upon its objectives. Moreover, it was found in the study that the styling combined with fashion and art trends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degree of completion for work and recreating a new fashion. Third, the author found that recycle fashion means clothing that recycles newly made materials through recycling processes or that reuse the original clothing as well as wasted resources and items, which refers to a newly recreated fashion as an original style rather than showing the used or old images. Recycle fashion design is divided into four types such as junk recycle look, vintage recycle look, contemporary recycle look, and artisanal recycle look. In particular, junk recycle look means an original design that adopts junk fashion in arts and is based upon the destruction of aesthetic consciousness that overcomes the constraints on materials used and the idea that strives to discover a new material, which is mostly unwearable design. Vintage recycle look is based on worn-out and faded image of recycle clothing, and it does not just convey the old image of vintage fashion in general, but leads to a unique fashion style having fashionable and commercial aspects as well as resource saving through the clothing made by recycling used materials. Contemporary recycle look attempts to make a rebirth to recycle fashion in the most modern sense, which is sold in general brands including designer brands since it is almost indistinguishable with the current fashion trends in terms of its image and silhouette. Artisanal recycle look is combined with creative experimental spirit, artistic sense,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ers, and particularly unique in terms of creative and original formative beauty. The artisanal collection by Martin Margiela is considered as the most representative work.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material and expression techniques for recycle fashion include the reuse method that reuses the original form of recycle material through collage, pleats, wrinkle, and weaving, the reform method that pursues the material image through the process and mending for the material by using a part of recycle material, and the regeneration method that processes the recycle material and thus transforms it into a new work. Especially, the reform method has an implication that transforms used clothing into a new form of item through the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beyond the generalized stereotype, which mostly applies the expression methods such as patchwork, slash, cutting, and bleaching. Fifth, the author found that recycle fashion brands tend to pursue their own original works based on the value of scarcity that enables the designer-oriented collection and differentiated unique style compared with existing brands through the case analysis on fashion styling that uses the recycle fashion design technique. This appears to respond to the desire of young people in today's society who are not interested in standardized and uniform passive consumption behavior and propose a new type of styling. The author proposes eight types of fashion styling images in total through the reform method that tries to reinterpret the existing images in a new sense by utilizing the recycle material and applying the expression method based upon the study and case analysis on recycle fashion design. The theme for work creation and styling is Romantic Avant-Garde, and the expression method contains the transposition of concept and mix-match through deconstruction. The study on the work reveals the implications as below. First, the author proposes the transformative styling for making a creative image that changes the existing clothing by mostly using the expression methods such as patchwork and cutting that belong to the reform method and reconstructing through deconstruction beyond the general stereotype among the reuse, reform, and regeneration methods, which are the recycle fashion expression methods. In addition, the author attempts to change the way of thinking that utilizes such sub accessories as stockings and neckties into main reform elements for work rather than garment that is the main element of the reform process in general. Second, the harmony in color pursues the mono tone based on white and black in overall, and forms a harmonious relation with beige, khaki, and purple that have an intermediate or low chroma, which looks a more classy and luxurious. This effort leads to overcoming the stereotypical idea that the existing romantic image mostly uses the paste color sensibility. Third, the application of sensitive and feminine stocking patchwork motives contributes to a newer and more sensitive styling that visualizes the sentiment saying that avant-garde is equivalent to destructive emotion while excluding the metallic or future-oriented materials mostly used in the existing avant-garde styling. Fourth, the make-up attempts to create a pale nude tone in order to emphasize a pale complexion, and the hair style is created in a way that directs a surrealistic feeling by using the net for beehive with unbalanced massing based on the feature and color of work. The author tries to complete the total fashion styling with the styling contradictory to feminine shirt by matching the socks with mannish Oxford loafers while excluding any accessories. As the results above illustrate, the study analyzes that the scarcity and diversity of recycle fashion are applied as a desired and fresh wave in the fashion industry. The author would like to suggest the implication that so called one-off or expandability in our common sense can be transformed into a rebuilt creature or styling in a new interpretation, which is also an invaluable and worthwhile work artistically and ethically. The further study is expected to examine the potential of this phenomenon in the contemporary fashion as the newly emerging mainstream. Moreover, the author expects that such investigations on recycle fashion continue studying the possibility of brands as in the developed countr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3 A. 패션 스타일링에 관한 일반적 고찰 3 1. 패션 스타일링의 개념 및 특성 3 2. 패션 스타일링의 요소와 원리 4 3. 패션 스타일리스트의 기능과 역할 9 4. 패션 스타일링 유형 13 B. 재활용 패션 디자인에 관한 고찰 27 1. 재활용 패션 디자인의 개념과 특성 27 2. 재활용 패션 디자인의 표현 기법 31 3. 재활용 패션 디자인의 미적 가치 33 4. 재활용 패션 디자인의 사례 연구 35 Ⅲ. 작품 제작 46 A. 제작 의도 및 방법 46 B. 작품 및 해설 51 Ⅳ. 결론 및 제언 83 참고문헌 86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4174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재활용 패션 디자인에 의한 패션 스타일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fashion styling study based on recycling fashion design-
dc.creator.othernameAhn, Yeon Sook-
dc.format.pagexi,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