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경실-
dc.contributor.author윤지영-
dc.creator윤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3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3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323-
dc.description.abstract자연에는 수많은 색이 존재하며 같은 지역이라도 빛의 특성과 작용에 의해 시간과 날씨 그리고 계절에 따라 각각 다른 색을 지니고 있으며 이는 사람의 색을 인식하는데 큰 영향을 끼친다. 계절적, 기후적 특징은 한국인으로 하여금 자연환경으로 부터의 무수한 색조의 변화를 체험하게 한다. 이렇듯 자연은 계절에 따라 색이 달라진다. 봄은 자연에 있어서 젊음을 나타내고 봄의 맑고 신선한 느낌은 밝은 색으로 표현된다. 여름은 가장 화사한 형태와 색을 보여주며 색상 중에서 가장 따뜻하고 높은 채도로 자연을 물들인다. 가을의 색조는 봄의 색조와 강한 대비를 보여준다. 겨울은 자연에있어 대지의 힘이 수축되고 수동적으로 변하는 시기이다. 이런 계절 체험은 모든 색들을 계절의 감각으로 연상시키기도 한다. 그에 따라 계절을 대표하는 색들이 구분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계절을 대표하든가, 그 계절에 즐기는 색채를 계절색이라고 부른다. 계절을 대표하는 색을 연상색으로 계절에 즐기는 색을 선호색으로 구분지어 이들의 색채인식의 차이를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지 기후 특징이 있는 서울, 목포, 태백, 대구의 네 지역을 중심으로 연령별 성별간의 계절별 연상색과 선호색을 비교 분석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계절별 색채인식을 구분 지을 수 있는 물리적인 기준과 속성이 무엇인지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절 연상색은 겨울을 제외한 나머지 계절에서 지역, 연령,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지역에 따라서는 겨울을 제외한 봄, 여름, 가을 연상색에 차이를 보였다. 연령에 따라서는 가을에서만 차이를 보였고, 봄, 여름, 겨울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봄, 가을에서 차이를 보였지만 여름과 겨울은 차이가 없었다. 겨울 연상색으로 지역, 연령, 성별 차이 없이 White만 선택되었다. 둘째, 예비 조사에서 계절별 연상단어 조사 결과 자연물을 대부분 연상하는 것을 알수 있었다. 봄에는 개나리, 여름에는 바다, 가을에는 단풍과 낙엽, 겨울에는 눈을 떠올렸다. 이들은 모두 자연물로 계절연상색의 색상은 기후요소 영향 보다는 색상을 먼저 인식할 수 있는 자연 현상색의 영향을 받는다고 사료된다. 계절 연상색과 선호색은 색채인식에 물리적인 기준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계절 연상색의 색상은 선행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이로써 시대, 지역, 연령, 성별을 초월하는 보편적인 연상색상이 존재한다고 사료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채도의 선명한 그 계절에 익숙한 자연물을 떠올린다. 넷째, 계절 선호색은 겨울을 제외한 나머지 계절에서 지역, 연령, 성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겨울은 지역, 연령, 성별 차이 없이 Black만 선택되었다. 지역별 계절 선호색은 색상에서는 차이가 없으며 색조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이는 기후 특색이 뚜렷한 4지역을 조사 비교한 결과 일조합, 습도, 운량 등 기후요소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었다. 봄의 평균 습도는 대구 57.9%, 서울61.6%, 태백 63.2%, 목포 69.7%로 대구 < 서울 < 태백 < 목포 순으로 습도가 높다. 습도가 가장 높은 지역인 목포에서는 채도가 39.7, 서울과 태백은 68.5 대구는 94.9로 채도가 높아지고 있다. 여름의 평균 습도는 대구 72.0%, 서울 76.1%, 태백 78.3%, 목포 80.9%로 대구 < 서울 < 태백 < 목포 순으로 습도가 높다. 습도가 가장 높은 지역인 목포에서는 채도가 20, 태백과 서울이 33.6 가장 건조한 대구는 45.2로 채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기후요소 중 습도가 올라가면 선호색의 채도는 떨어지고 습도가 내려가 건조해 지면 선호도의 채도는 올라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을의 평균 일조합은 태백 163.2hr, 서울 178.8hr, 대구 182.5hr, 목포 186.0hr로 태백 < 서울 < 대구 < 목포 순으로 일조합이 많다. 이 영향으로 태백의 선호색 명도는 31.8 서울은 42.2 대구는 56.7 목포는 70.8로 일조합이 많을수록 선호색의 명도가 높아지고 있다. 선호색은 기후요소의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듯 계절연상색과 선호색은 색채인식에 물리적인 기준이 다르다고 사료된다. 다섯째, 선호색의 색상은 선행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이로써 시대, 지역, 성별을 초월하는 보편적인 선호색상이 존재한다고 사료된다. 여섯째, 계절 연상색과 선호색을 비교하면 지역, 연령, 성별 모두 연상색이 선호색보다 chromaticness가 높게 분석되었다. 겨울의 연상색과 선호색은 모두 Neutral로 색상에서 White, Black으로 반대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색채인식은 다양한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아 변화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중 기후요소인 기온, 습도, 일조합 이외에 강수량, 빛의 세기, 색온도 등 더 심도 있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두 계절만 존재하는 나라, 즉 우기와 건기 또는 동기와 춘기만이 존재하는 나라의 사람들을 조사하여 계절의 색채인식이 기후요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색채인식의 물리적인 기준과 속성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There are numerous colors in nature and different colors are show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lights and according to time, weather and seasons even in the same region, whi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humans' perception of colors. Seasonal and climatic characteristics allow Koreans to experience change in a number of colors arising from natural environment. Like this, nature changes colors depending on seasons. Spring represents youth in nature and its clear and fresh feelings are expressed with bright colors. Summer shows the most brilliant shapes and colors and colors nature with the warmest and highest chromaticness among colors. Colors of fall are strongly contrasted with those of spring. Winter is a season that power of land is weakened and changes in a passive way in nature. Seasonal experience makes one associate all the colors with seasonal senses. Accordingly, colors which represent seasons are often divided. As mentioned above, colors which symbolize seasons, or which are enjoyed in a specific season are called seasonal color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color perception of them dividing colors which represent seasons into associative colors and colors which are enjoyed in a specific season into preferred colors. Accordingly,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correlations regarding what physical standards and properties are to classify seasonal color percep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by comparatively analyzing associative colors and preferred colors by age, by sex and by season centered on four regions including Seoul, Mokpo, Taebaek, and Daegu which are characteristic of microclimate. The consequen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easonal associative color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gions, age, and sex in other seasons except wint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ssociative colors of spring, summer and fall except winter depending on regions. There were differences only in fall depending on age, and spring, summer, and winter had no difference. Depending on sex, there were differences in spring and fall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ummer and winter. White was selected as an associative color of winter regardless of regions, age, and sex.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ssociative words by seasons in a preliminary survey,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m were reminiscent of natural objects. They associated spring with the forsythia, summer with seas, fall with maple leaves and fallen leaves, and winter with snow. It is thought that they are all natural objects and seasonal associative colors which make them associate seasons are affected more by colors of natural phenomena to percept colors first rather than climatic elements. The study indicates that seasonal associative colors and preferred colors have different physical standards in color perception. Third, colors of seasonal associative colors correspond with the results of the precedent study. With this, it is thought that universal associative colors exist regardless of time, regions, age, and sex. Most of people are reminiscent of vivid and familiar natural objects with high chromaticness which are seen easily in a specific season. Fourth, seasonal colors preferred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gions, age, and sex in other seasons except winter. For winter only black was chosen regardless of regions, age, and sex. Seasonal colors preferred by regions had no difference in colors and they had differences only in color tone.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nd comparing 4 regions which had clear climatic characteristics we could find the reason in climatic elements including the daily sunshine amount, humidity, amount of clouds and so forth. The average humidity of spring is Daegu 57.9%, Seoul 61.6%, Taebaek 63.2%, and Mokpo 69.7% and the humidity is high in order of Daegu < Seoul < Taebaek < Mokpo. The chromaticness of Mokpo is 39.74, which is the region whose humidity is highest, that of Seould and Taebaek is 68.46 and that of Daegu is 94.96 and the chromaticness is increasingly high. The average humidity of summer is Daegu 72.0%, Seoul 76.1%, Taebaek 78.3%, and Mokpo 80.9% and the humidity is high in orderof Daegu < Seoul < Taebaek < Mokpo. The chromaticness of Mokpo is 20, which is the region whose humidity is highest, that of Taebaek and Seoul is 33.6 and that of Daegu which is the driest region is 45.2 and the chromaticness is increasingly high. It indicates that as the humidity increases out of climatic elements, the chromaticness of preferred colors decreases and as the humidity falls and it gets dry, the chromaticness of preferred colors increases. The average daily sunshine amount of fall is Taebaek 163.2hr, Seoul 178.8hr, Daegu 182.5hr, and Mokpo 186.0hr and it was in order of Taebaek < Seoul < Daegu < Mokpo. By this effect, brightness of preferred colors of Taeback is 31.76, Seoul 42.18, Daegu 56.67 and Mokpo 70.76 and the more daily sunshine amount is, the higher brightness of preferred colors gets, which suggests that preferred colors are affected by climatic elements. As mentioned above, it is thought that seasonal associative colors and preferred colors have different physical standards in color perception. Fifth, the colors of preferred colors correspond with the results of he precedent study. With this, it can be thought that universal colors preferred exist beyond time, regions and sex. Sixth, a comparative analysis of seasonal associative colors and preferred colors indicates that associative colors have higher chromaticness than preferred colors in every region, age and sex. A tendency was found that the associative color and preferred color of winter is all neutral one and is opposite to colors. Since color perception changes being affected by a variety of elements, continuous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Further studies hould be followed steadily on the amount of rainfall, light intensity and color temperature etc. except for the temperature, humidity, daily sunshine amount which are climatic elements out of them. In y view it is valuable to investigate people living in countries here only two seasons exist, namely there are only rainy season and dry season, or only winter season and spring season as well as this country and study what effect seasonal color perception has on climatic elements. Therefore, a variety of studies should be followed in order to elucidate correlations between properties and physical standards of color percep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Ⅱ. 연구의 이론적 배경 5 A. 색채의 개념 및 이해 5 B. 색채 연상과 선호에 대한 이해 6 1. 색채 연상의 특징 6 2. 색채 선호의 특징 9 3. 계절 연상색과 선호색에 관한 연구사례 분석 13 C. 우리나라 계절과 기후 16 1. 계절의 구분 16 2. 계절별 자연 현상색 17 3. 색채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요인 22 4. 우리나라의 국지 기후 특색 23 Ⅲ. 사계절의 색채 인식 조사 30 A. 설문 대상 및 설문 방법 30 B. 분석 도구 33 C. 설문 구성 및 분석 방법 36 Ⅳ. 사계절의 색채 인식 특징 분석 39 A. 사계절의 색채 연상 특징 39 1. 지역에 따른 연상색 39 2. 연령에 따른 연상색 44 3. 성별에 따른 연상색 49 B. 사계절의 색채 선호 특징 52 1. 지역에 따른 선호색 52 2. 연령에 따른 선호색 62 3. 성별에 따른 선호색 66 C. 사계절의 연상색과 선호색의 비교 분석 71 1. 지역에 따른 연상색과 선호색의 특징 71 2. 연령에 따른 연상색과 선호색의 특징 81 3. 성별에 따른 연상색과 선호색의 특징 84 D. 사계절의 연상색과 선호색 결과 요약 88 Ⅴ. 결론 및 한계점 91 참고문헌 94 부록1. 설문지 97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510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계절에 관한 색채인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연상색과 선호색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lor perception of four seasons-
dc.creator.othernameYoon, Ji Young-
dc.format.pagexiii,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