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중-
dc.contributor.author정승희-
dc.creator정승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2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3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3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322-
dc.description.abstract도시 환경은 인간 생활의 터전이므로 도시민의 다양한 수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대상으로 존재할 때 그 가치가 있다. 그러나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도시 공간의 양적 팽창은 그 속에서 삶을 영위하는 도시민들에게 물질적 풍요를 제공한 것에 비해, 정신적이고 질 높은 삶의 배경으로서의 역할은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갈수록 인공화되어 가는 도시공간에서 다양한 공간으로 기능하는 오픈스페이스의 조성은 의미가 있다. 도시에서 광장, 공원, 가로 공간 등은 오픈스페이스에 포함되며, 이 중에서도 공원은 이용자의 동적, 정적인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게 된다. 이는 도시에서 사람들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삶의 질을 높이는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오픈스페이스의 디자인 표현이 획일적이고 행태지원성이 단순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공간의 경계가 너무 강하여 심리적으로 고립감을 제공함으로써 휴식을 목적으로 접근하는 사람들의 출입을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는 결국, 공원의 접근성과 행태 조절 기능을 약화시킴으로써 오픈스페이스의 근본적인 기능이 취약해지는 결과를 낳았다. 본 연구는 이용자의 행태를 지원하고 휴식공간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방법적 대안으로서 영역성의 개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역성의 개념은 귀속감, 심리적 안정감, 다양한 사회 행태 등과 관련이 있어서 공간 이용자의 행태 조절이 가능하고, 영역성 개념 표현 방법이 다양하여 이용자에게 긍정적인 심리적 영향을 미치므로 디자인 개념으로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자는 오픈스페이스와 영역성 개념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이론적 연구의 틀을 확립하고 영역성 개념의 디자인 표현 방법에 대해 문헌연구와 외국사례를 비교 제시하여 분석의 기준으로 삼는다. 그리고 영역성이 디자인으로 표현된 대상지들을 선정하여 표현 방법에 대해 조사하고 그 공간에서의 행태반응을 분석하여 영역성 개념의 행태조절 기능과 그것이 오픈스페이스 디자인의 방법적 대안으로서 가치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픈스페이스에서 영역성의 개념은 인간에게 지원성을 제공하고 심리적 영향을 미친다. 영역성은 일정 영역에의 귀속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주며 외부와의 사회적 작용을 함에 있어 구심적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영역성의 개념을 디자인으로 다양하게 표현하여 공간에 적용시키면 이용자 사이의 경계조절장치로써의 역할을 수행하여 환경의 안락함과 안전, 우호관계, 존중과 같은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둘째, 영역성의 디자인 표현 방법은 위계적 위요의 생성, 다층적 층위의 변화, 제한적 수평면의 형성과 같은 3가지 영역 표현 기법으로 공간에 적용이 가능하다. 위계적 경계의 생성은 물리적 배치 방식과 재료의 시각적 투과성 정도에 의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며 다층적 층위의 변화는 영역을 비교적 확실하게 구분하는 기준면의 상승과 하강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런 방법들보다 영역의 구분 정도는 약하지만 암시적 경계를 결정하는 수준에서 페이빙의 재료, 패턴 등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제한적 수평면의 형성은 천장면의 재료, 형태, 빛의 투과 정도에 따라 그 아래 공간을 한정하는 수준이 결정되며, 그 스케일에 의해 공간의 성격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다양한 영역 형성의 방법들은 대상에 따라 적절하게 디자인되어 공간에 적용될 수 있다. 셋째, 영역성 표현과 행태 반응에 의한 결과로서 사람들에게 가장 선호되는 표현 유형은 눈높이 정도의 높이와 2면에 의한 위계적 경계 생성, 빛이 반투과되는 스케일의 제한적 수평면의 형성, 눈높이보다 낮은 상승 및 하강의 다층적 층위 변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영역성 형성에서는 중간 수준이나 대상지에 표현된 빈도와 행태 선호는 높은 순위로 분석되었다. 이외의 유형들은 영역성의 형성 정도가 강하거나 약하여 표현 순위와 행태 선호에서 낮은 순위로 조사되었다. 넷째, 영역성이 표현된 공간에서 행태는 이용자의 요구와 그 규모에 의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휴식이 목적인 경우 정적인 행태에 적합한 공간을 이용하고, 오락과 레저가 목적인 경우 동적인 행태가 가능한 공간을 이용함을 알 수 있었다. 소수의 이용자들은 영역성이 강하게 형성되어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수준의 공간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다수의 이용자들은 영역성의 형성과 프라이버시의 획득 수준은 약하지만 접근이 용이하고 개방된 성격의 공간을 선호하였다. 이를 통해 영역성의 개념과 인간 행태와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오픈스페이스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각자 다른 요구와 상황에서 이용을 위해 접근한다. 따라서 공간의 물리적 표현이 잘 되어 있더라도 모든 사람의 욕구를 만족시키기에는 부족함과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다수의 인간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영역성 표현 기법의 세밀함과 다양성의 측면에서 차별화된 디자인에 의한 공간 창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갖춰야 할 적합성과 다양성을 제공하며 인간의 행태를 조절하고 심리적 영향을 미치는 공간 디자인의 방법적 대안으로서 영역성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영역성 개념은 심리적, 물리적, 행태적으로 외부 공간과 인간과의 상호관계성 측면에서 디자인적 해결책으로서 충분한 가능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환경-디자인-인간 간의 상호 작용과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을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행태 분석 데이터를 정량화한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는 디자이너의 설계 시에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준과학적 근거와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디자이너의 영감이나 관습에 의한 디자인 방법을 변화시키는 계기로 작용하여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고 다양한 행태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It is worth when it fulfills various demand and desires ,and exists as a targe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because Urban environment is the base of the human life. However,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urban space by the development of industry becomes space that do not take a role as a background of the spiritual and high quality of life even it provides the material prosperity to urban dwellers who are living in. Therefore, to create openspace that functions in a variety in increasing artificially urban space is meaningful. Openspace in the city includes square, park and the horizontal space. Among them, the park supports the dynamic and static activities of user. It means the role of an appropriate environment that relaxes people in the city and provide an opportunity to relax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o be made a variety of activities. However, it is problem that the design expression of open space is an uniform and simple behavioral support in Korea. In particular, the boundaries of the space is too strong and provides psychological isolation, it results restrict access of people who want to take a rest. After all, the weakness of the park's access and behavior control capabilities causes a vulnerable fundamental feature of open space. This study suggests the concept of territoriality as a method alternative for supporting the user's behavior and securement diversification of relaxation space. The concept of territoriality can be useful as an useful design concept because it can control the user's behavior in related to attachment, psychological stability and a variety of social behaviors, and affect positive psychological due to the various territoriality concept expression method. From this perspective, the researcher establishes the framework for the theoretical study through Literature Review about open space and the territoriality concept on the basis of the standard of the analysis that compares the foreign cases and a study about the design expression method of the territoriality concept. As a result, it proves that it is worth as an alternative method of open space design and the behavior control function of territoriality concept after the selection target area where territoriality expresses design, the research about expression method and the analysis the behavioral responses in the space. Through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of all, the territoriality concept in open space provides affordance and influences psychologically to the human being. Territoria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ocial action with the outside world and peace of mind by feeling attachment of certain area. Thus, If territoriality concept applies to various represented design in the space, it takes the role as boundary control device between the user, and then impacts positively fulfillment of human needs such as the comfort and safety of the environment, friendship and respect Secondly, design expression method of territoriality can be applied in space as three territorial expression technique such as the creation of hierarchical boundaries, multi-layered stratum changes, reversible formation of horizontal. The creation of hierarchical boundaries can be expressed variously by the physical placement way and the visual permeability of materials. The change of multi-layered stratum area can be applied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rise and fall of the reference, and there is method to change payving materials and patterns at the level of determination of implicit boundaries despite of the weakness of determination of territorial. Reversible formation of a horizontal plane determines the level limited space below by the ceiling of the materials, forms, depending on the degree of light transmission, and influences on the nature of the space by the scale. The method of various territory formation to b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the target can be applied in space. Third, the most preferred type of representation is the height of the eye-level hierarchical boundaries generated by two sides, the formation of limited horizontal plane that the light is translucent, and the rise and low of the multi-tiered layers change which is lower than eye level as the result of territoriality expression and behavioral responses. It is intermediate-level in territoriality formation, but it is analysed by high-ranking preference at the designation expressed in the frequency and behavior preference. Other type is investigated as a low level in expression ranking and behavior preference because of strong or weak of territoriality formation level. Fourth, it confirms that the behavior in the space represented territoriality is different by the size and need of the user. They use suitable space that is suitable static behavior for relaxation purposes, and use space that is suitable dynamic behavior for recreation and leisure purposes. People of minority prefer guaranteed space level that guarantees privacy by formed strong territoriality. However, People of majority prefer open space that is weak level of privacy and territoriality formation, but easy access. It confirms the relation between territoriality concept and human behavior. Finally, the open space is approach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for their different needs and use in situations. So, there is insufficient and limit to meet the needs of all people even if the physical representation of the space is well. Nevertheless, the space created by the detail territoriality expression technique and distinctive design of the diversity is needed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the majority of human beings. This study presents territoriality concept as a methodological alternatives of open space design which provides fitness and diversity of urban open spaces and control human behavior and influences psychologically. In terms of psychological, physical, and human behavior in its interaction with outer space, territoriality concept has a good possibility as a design solution.The environment-design-Human interaction and impact on each other is analyzed and behavioral analysis data were quantified as a results in this study. This results roles the scientific basis and resources that is used by the design of the designer practically. In addition, the customs and inspiration of designer acts as the instrument to change the way of design, and this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human life and satisfying the need of various behaviors ultimat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6 A.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개념 및 기능 6 1. 도시디자인에서의 오픈스페이스의 개념 6 2. 오픈스페이스의 유형 8 3. 오픈스페이스의 역할과 기능 12 B. 영역성의 개념 및 기능 15 1. 인간행태와 환경의 관계성 15 2. 영역성 개념 18 3. 영역성의 기능 30 4. 오픈스페이스에서의 영역적 행태시스템 34 Ⅲ. 영역성의 디자인 표현 38 A. 위계적 경계의 생성 43 1. 물리적 배치 방식 44 2. 재료의 시각적 투과성 48 B. 다층적 층위의 변화 57 1. 바닥면의 단차이 변화 58 2. 페이빙의 변화 63 C. 제한적 수평면의 형성 68 1. 구조물의 재료 및 방법 68 2. 스케일 72 Ⅳ. 영역성의 디자인 표현과 행태 반응에 관한 사례분석 76 A. 분석 개요 76 1. 사례분석 절차 및 범위 76 2. 사례분석 대상 선정 77 3. 사례분석 방법 82 B. 영역성의 디자인 표현 형식과 행태 반응에 관한 사례분석 91 C. 분석의 종합 153 1. 영역성 디자인 표현 형식 및 유형의 분석 153 2. 행태 반응의 분석 159 3. 영역성 디자인 표현과 행태 반응의 상호관계성 분석 166 Ⅴ. 결론 171 참고문헌 175 ABSTRACT 1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9002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도시 오픈스페이스에서의 영역성 디자인 표현과 행태 반응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erritorial Design Expression and Behavior Response in Urban Open Space-
dc.creator.othernameChong, Seung Hee-
dc.format.pagexi, 186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공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