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숙환-
dc.contributor.author김정아-
dc.creator김정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1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1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3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130-
dc.description.abstractLaugh is the most innocent and instinctive expression going out of people's natural emotion. Korean's laugh has taken the role of catharsis, so has been learned as a positive attitude even in gloomy, dark situation. Such a positive attitude is appeared in our people's unique jest. The jest born from our living habits and customs and naturally connected with Korean's daily behaviors tells us that it is lied in our daily phenomena deeply. Such factors of jest are represented as the open space in my work. In Korean architect space, the open space is awareness on space pursuing 'the open space harmonizing the nature', and can be found in Korean traditional folk paintings, an artistic spaces. Korean traditional folk painting's symbols has been hand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 symbols comes us transcending ages. In addition, the formative spaces seen in the traditional folk paintings can make viewers go into and out of the spaces, having the connection chain of openness and transcendence. This awareness on space is expanded into the uneven, open space containing jest in my work. This paper tried to study about such jest and open space. Among theoretical studies about the jest, I tried to know about Korean's jest learned in positive attitude, and about the background of the Korean's jest spirit. Also I tried to study about how the jetty spirit was expressed in our traditional arts, especially about the jest in the genre painting and folk painting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I intended to express the jest sense penetrated in Korean traditional arts as a factor explaining the open space as the unbounded space. So I tried to find the meaning of open space through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s harmonious space and the folk painting's transcendent space.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open space means the space state without any block, and is the harmony state that a building becomes a part of Nature, and the Nature is integrated into a component of the structure at the same time. And the open space in a folk painting means the state that the painting's symbols and expression techniques take the role helping viewers to come across their real space and the painting space transcendently going beyond simple plane spaces. The features of both spaces are expressed without any block, and are the ideal space realizing desires impossible to be accomplished in real world. The idea space is the open space where everything can freely come and go across. Concerning the study of formative methodology, I borrowed their unique space composition methods from Korean traditional architect and folk painting harmonizing the Nature, and expressed a new composition of open space. Also the colors are used in representing the desires' realization and in making the ideal space be seen gorgeously and mysteriously. Also the anthropomorphic animals and plants transcend the space and produce the situations impossible to be accomplished in real world. I tried to represent the uneven space as a utopian space different from the real world. Through working this study, I recognized the symbolic expression techniques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folk painting didn't stay in the past, but remained their influences up to modern times. The insight was expressed into an open space in my work. I hope that this work seen through Korean traditional thoughts and expression methods will be the chance to be reviewed how it is consistent with Korean traditional senses and how it consoles modern people's wishes.;웃음이란 인간들의 자연적 감정에서 우러나오는 가장 순수하고 원초적인 표현이다. 우리 민족의 웃음은 카타르시스의 방편으로 침울하고 어두운 상황 속에서 긍정의 자세로 익혀져 왔다. 그러한 긍정의 자세는 우리 민족 특유의 해학으로 나타난다. 우리의 생활 습성과 관습에서 우러나와 일상 행동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우리민족 특유의 해학은 생활현상에서 그 해학적인 요소가 깊게 도사리고 있음을 말해준다. 우리민족 특유의 해학적인 요소들은 본인의 작업 안에서 열린 공간이라는 표현 안에 나타난다. 열린 공간은 한국 건축 공간에서 ‘자연과 조화된 열린 공간’을 추구하는 공간인식이며, 이는 예술 공간인 민화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전통 민화의 상징성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그 의미가 이어져 오며, 이는 시대를 초월하는 의미로 다가온다. 또한 민화에 나타나는 조형적인 공간은 보는 이가 그림 안과 밖을 넘나들 수 있게 하며, 그 공간들은 개방성과 초월성이라는 연결고리를 갖는다. 이러한 공간인식은 본인의 작업에서 해학이 담긴 기복의 열린 공간으로 확장되어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해학과 열린 공간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연구로 해학 중에서도 긍정적인 마음으로 해학을 익혀 온 한국인들의 해학에 대해 알아보고, 그러한 해학이 발생하게 된 한국인의 해학 정신의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자하였다. 또한 해학 정신은 우리의 예술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그 중에서도 해학적 요소가 가장 활발히 나타난 조선 후기의 풍속화와 민화 속의 해학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하였다. 한국 전통 예술 속에 스며들어 있는 해학의 감성은 열린 공간을 개방된 공간으로 설명해 주는 요소로 나타내고자하였다. 그래서 한국건축의 조화로운 공간과 민화에 나타나는 초월적인 공간을 통해 열린 공간의 의미를 찾아보고자하였다. 한국 건축에서 열린 공간이란, 막힘이 없는 공간 상태로 건축물이 자연의 일부가 되고 또는 자연이 건축물의 구성요소가 되는 조화로움을 갖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민화의 열린 공간이란 상징성과 표현방법들이 단순한 평면의 공간을 넘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현실 공간과 그림 공간을 초월적으로 넘나들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두 가지 공간의 특징들은 막힘없는 상태로 표현되어지며, 현실에서는 이룰 수 없는 욕망들을 구현하는 이상향의 공간으로 모든 것이 넘나들 수 있는 개방된 공간을 갖게 된다. 조형적 방법 연구에서는 자연과 조화된 한국건축의 모습과 민화의 독특한 공간 구성법으로부터 그 특성을 차용하여 열린 공간 구성을 표현하였으며, 욕망의 구현을 위해 사용한 색의 표현은 이상 공간을 화려하고 신비롭게 보여주고자 하였다. 또한 의인화된 동물과 식물이 공간을 넘나들며 현실에서는 이룰 수 없는 상황들을 연출하며 기복의 공간을 현실과 다른 이상향의 공간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전통건축과 민화의 상징적인 표현방법들이 과거에만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현대까지도 그 영향력이 미친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되었으며, 이는 본인의 작업에서 열린 공간으로 표현되어졌다. 한국의 전통사상과 표현방법을 통해 본인의 작업이 한국 전통의 감각과 어떻게 맥을 같이 하고 있으며 현대인의 염원과 소망에 어떠한 위로가 되는지 살펴보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Ⅱ. 이론적 연구 5 A. 한국의 해학 5 1. 한국인의 해학 정신 5 2. 한국 전통 예술에 나타난 해학성 8 a. 풍속화 속의 해학 11 b. 민화 속의 해학 17 B. 열린 공간 22 1. 한국 건축의 조화로운 공간 23 2. 민화에 나타난 초월적인 공간 27 Ⅲ. 조형적 방법 연구 32 A. 열린 공간 구성 32 B. 색으로 표현된 염원의 공간 33 C. 해학이 담긴 요소들 35 Ⅳ. 작품 분석 38 Ⅴ. 결론 57 참고문헌 60 ABSTRACT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4857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해학이 담긴 열린 공간-
dc.typeMaster's Thesis-
dc.creator.othernameKim, Jung Ah-
dc.format.pageix,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형예술학부-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