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1 Download: 0

가야금산조의 선율비교

Title
가야금산조의 선율비교
Other Titles
A Comparison of the Melody in Gayageum Sanjo : Focusing on the Jungjungmori in the School of Kim Yun-Duk and the gutgeori in the School of Seong geum-yeon
Authors
김민희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산조는 무속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는 시나위, 판소리와 같이 기층음악의 영향을 받아 19세기 말에 형성된 기악독주곡 형태의 음악이다. 가야금 산조는 모든 산조의 시초이며, 다른 악기에 영향을 미치고 한국음악을 대표하는 음악형식이다. 산조의 유파가 생성되고 전승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유파 간에 유사선율을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김윤덕류 중중모리와 성금연류 굿거리의 선율을 비교하여 유사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범위는 김윤덕류 가야금 산조 중 중중모리 7장 48장단과 성금연류 가야금 산조 중 굿거리 4장 35장단, 안기옥류 가야금산조 중 단(短)산조에 속해 있는 중중모리 28장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김윤덕류 중중모리와 성금연류 굿거리 선율비교는 동일선율이 4%로 2장단으로 나타나고, 유사선율은 44%로 21장단 출현한다. 독창선율은 김윤덕류 중중모리 2%, 성금연류 굿거리 3%로 각각 1장단 나타난다. 두 유파는 박의 분할, 오른손의 장식음, 왼손의 연주법에 있어 다양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박의 분할은 두 유파가 같은 리듬형을 가지고 있으나 성금연류 굿거리가 김윤덕류 중중모리보다 박의 분할 횟수가 잦게 나타난다. 이는 주음과 주음사이의 경과음 혹은 연결고리의 역할을 한다. 오른손의 장식음은 성금연류 굿거리에서 집거나 뒤집고, 연튕김하여 김윤덕류 중중모리보다 다양하게 연주된다. 반면, 스타카토로 끊어 소리 내는 기법은 김윤덕류 중중모리가 빈번하게 사용하여 성금연류 굿거리보다 강하게 표현한다. 왼손 연주법으로 성금연류 굿거리는 꺾어 연주하고 김윤덕류 중중모리는 음을 흘리는 횟수가 자주 나타난다. 둘째, 안기옥류를 바탕으로 김윤덕류 중중모리와 성금연류 굿거리의 선율을 비교한 결과 동일선율은 김윤덕류 중중모리가 11%로 3장단, 성금연류 굿거리는 3%로 1장단 나타난다. 두 유파 모두 안기옥류와 장식음 차이를 보이고 구성음과 리듬은 동일하다. 유사선율은 김윤덕류 중중모리가 18%로 5장단 나타나고, 성금연류 굿거리는 46%로 12장단 출현한다. 오른손의 장식음은 두 유파가 집거나 뒤집고 연튕김하여 안기옥류 중중모리보다 다양한 장식음으로 화려하게 연주된다. 왼손 연주법은 성금연류 굿거리가 농현을 하거나 추성, 음을 눌러 내는 등 안기옥류 중중모리에 비해 다양한 연주법이 나타난다. 위와 같이 김윤덕류 중중모리와 성금연류 굿거리에서 유사선율이 보이고 그 선율은 안기옥류 중중모리에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여러 유파가 형성되기까지의 전승과정에서 사사받은 영향이 유사선율로 나타난다. 음의 진행은 오른손 장식음과 왼손 주법으로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음악의 표현법을 달리하고 있다. 이렇듯 각 유파의 선율의 차이점과 전승과정의 변화를 정확히 이해하면, 선율을 연주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Sanjo is a type of instrumental solo music that was formed in the late 19th century, similar to Sinawi and Pansori that are based on the shamanist custom. Gayageum Sanjo is the beginning of all of the Sanjos and affects the other instruments to represent the Korean music.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schools of the Sanjo, the similar melodies can be seen in different school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similarities in the Jungjungmori in the school of Kim yun-duk and the Gutgeori in the school of Sung geum-yeon. The study scope includes 7 chapters and 48 beats of Jungjungmori among the Gayageum Sanjo in the school of Kim yun-duk, 4 chapters and 35 beats of Gutgeori in the school of Sung geum-yeon, and 28 beats of junjungmori in the short sanjo among the gayageum sanjos in the school of Ahn gi-oak.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show below. First, the jungjungmori in the school of Kim yun-duk and the gutgeori in the school of Sung geum-yeon can be compared to see the 4% or the 2 beats of the same melody and 44% of 21 beats of similar melodies. Unique melodies were 2% in jungjungmori in the school of Kim yun-duk and 3% of the gutgeori in school of Sung geum-yeon. The two schools show various differences in the division of the beats, decorative tones of the right hand and playing technique of the left hand. The division of the beats shows the same type of rhythm in both schools but the gutgeori in the school of Sung geum-yeon shows a more frequent division of the beats than the school of jungjungmori in the school of Kim yun-duk. This is the tunes that play the role of connecting links between the main tunes. The decorative tunes of the right hand show a more diverse technique by picking, flipping, or bounding the string in the school fo Sung geum-yeon than the school of Kim yun-duk. The breaking with staccato, on the other hand, the jungjungmori in the school of Kim yun-duk shows a frequent than the gutgeori in the school of Sung geum-yeon. The playing technique of the left hand show a more the jungjungmori in the school of Kim yun-duk drops the tunes and the gutgeori in the school of Sung geum-yeon shows a frequent breaking to play. Second, the comparison between the jungjungmori in the school of Kim yun-duk and the gutgeori in the school of Sung geum-yeon based on the school of Ahn gi-oak, the same melodies show 11% or 3 beats in jungjungmori in the school of Kim yun-duk and 3% or 1 beat in gutgeori in the school of Sung geum-yeon. Both schools show differences in the decorative tunes from the school of Ahn gi-oak with same structural tunes and rhythm. The similar melodies show 18% or 5 beats in jungjungmori of school of Kim yun-duk and 46% or 12 beats in gutgeori in the school of Sung geum-yeon. The decorative tunes of the right hand are more decorative with more diverse tunes by picking, flipping, and dropping than the jungjungmori in the school of Ahn gi-oak. The left hand playing technique the gutgeori shows Nonghyun or drops to pick with chuseong while pressing with the left hand to make the tune, which is more diverse than the jungjungmori in the school of Ahn gi-oak. As shown above, the similr melodies show in the jungjungmori in the school of Kim yun-duk and the gutgeori in the school of Sung geum-yeon, which also show in the jungjungmori in the school of Ahn gi-oak. The influences in the transmission process until the formation of many schools show in the similar melodies. The progression of the tunes shows various shapes with the right hand decorative tunes and the left hand technique to differ the musical expressions. Like this, if each school seemed to transmission process of the differences and understand the changes, you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play the melo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