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옥-
dc.contributor.author정예슬-
dc.creator정예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8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79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3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791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20세기 초 프랑스의 대표적인 오르가니스트 겸 작곡가 주앙 알랭(Jehan Alain, 1911∼1940)을 추모하기 위하여 작곡된 두 개의 오르간 작품, "본 논문은 국립국악원의 천년만세와 향제 줄풍류의 뒷풍류 중 계면환입·양청환입·우조환입을 각 곡의 구성과 명칭·장 구분·선율구조·시김새에 따라 비교·분석하고, 일말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는 향제 줄풍류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돕고자한다. 호남풍류의 시원(始原)인 정읍 줄풍류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이리 줄풍류, 그리고 호남에서 활동한 개인연주자 임석윤·김윤덕·원광호의 줄풍류를 중심으로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국악원 천년만세는 계면가락도드리·양청도드리·우조가락도드리로 구성되며, 국악원과의 비교를 위해 풍류굿거리를 제외했을 때 향제줄풍류 의 뒷풍류는 계면환입·양청환입·우조환입으로 구성된다. 명칭에 나타난 도드리와 환입의 차이는 한글과 한자의 표기차이로 국악원 천년만세와 향제 뒷풍류의 세부명칭은 동일하다. 둘째, 채보한 악보의 비교연구 결과, 각 풍류마다 총 각 수가 맞지 않는 부분이 나타났고, 풍류음악의 선율진행 특징 상 생략된 부분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 점을 고려한다면, 각 풍류의 악곡마다 5장이나 7장으로 분장되지만 총 각 수는 같다. 계면환입은 국악원·임석윤 풍류에서 장 구분이 나타나지 않고, 국악원 천년만세의 양청도드리 7장이 향제 뒷풍류의 우조환입 1장 선율과 동일하며 양청환입과 우조환입으로 진행될수록 국악원 천년만세와 향제 뒷풍류의 분장법이 유사하게 진행된다. 셋째, 국악원 천년만세에서는 黃을 E♭, 향제 뒷풍류에서의 黃은 E 로 보기 때문에 실제로 연주되는 음의 높이가 다르나 구성음은 동일하다. 넷째, 국악원 천년만세의 계면가락도드리와 향제 뒷풍류의 계면환입은 ♩+♪의 리듬형으로 반복되어 진행되고 전반적으로 선율진행이 비슷하다. 그러나 향제줄풍류는 뒷풍류만 독자적으로 연주시에 예비가락이 있다는 특징이 있고, 앞으로 당겨 연주하는 ♪+♩의 리듬형이 개인연주자들의 풍류에서 다량 나타난다. 다섯째, 국악원 천년만세의 양청도드리는 상행진행, 향제 뒷풍류의 양청환입은 하행진행이 빈번히 나타나며, 구성음은 유사하지만 국악원 줄풍류가 한층 높은 음으로 진행된다. 개인연주자인 원광호 풍류는 3장 중간에서 급격히 음이 도약된 후, 국악원 천년만세도 향제 뒷풍류도 아닌 현저히 다른 선율로 진행하는데 이는 해탄가락과 같은 개인연주자 풍류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여섯째, 우조환입과 우조가락도드리의 선율은 대부분 유사하게 나타난다. ♩+♪의 리듬형으로 반복진행하나 국악원 줄풍류는 리듬의 세분화와 전성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김윤덕 풍류의 악보에는 율명으로 추성과 퇴성이 자세히 적혀있어 음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유연하고 역동적으로 연주하게 된다. 위와 같이 국악원 줄풍류와 향제 줄풍류는 근간을 같이 하면서도 지역적으로 특색있게 발전해왔다. 특히 개인연주자 풍류는 본래의 향제 줄풍류에서 연주자의 기량과 성격에 따라 다르게 변해온 것을 알 수 있다.;This paper aims to help understand hyangje-julpungryu by comparing and analyzing composition, division of movements, melodic structure, and sigimsae of gyemyeonhwanip, yangcheonghwanip, and woojohwanip among dwitpungryu of hyangje-julpungryu and cheonnyeonmanse by National Gukak Center. It focuses on comparing julpungryu from jeongeup--the origin of honam pungryu—iri julpungryu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julpungryu of individual musicians in honam, such as Lim Seok-yun, Kim Yun-deok and Won Gwang-ho. First, as a result, in terms of a composition and title, although cheonnyeonmanse of National Gukak Center comprises of gyemyeongarak-dodeuri, yangcheong-dodeuri and woojogarak-dodeuri, and dwitpungryu of hyangje-julpungryu comprises of gyemyeonhwanip, yangcheonghwanip, woojohwanip and pungryu-gutgeori, pungrye-gutgeori is excluded for the sake of comparison with National Gukak Center. Since a difference of dodeuri and hwanip is because of a difference i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Chinese character, titles of National Gukak Center and hyangje-julpungryu are the same. Second, while proceeding to a study, total number of gak is different from each pungryu. From dictation scores after comparing the melody,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are omitted melodies. Regarding this point, even though each music is divided into 5 or 7 movements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movements and a way to divide them, total number of gak of National Gukak Center’s julpungryu and hyangje-julpungryu is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gyemyeonhwanip, National Gukak Center and Lim Seok-yun’s julpungryu does not have a distinction of movements. The 7thmovement of yangcheong-dodeuri of National Gukak Center’s julpungryu is the same as a melody of the 1stmovement of woojohwanip of hyangje-julpungryu. And the distinction of movements becomes similar moving from yangcheonghwanip to woojohwanip. Third, although the scales of all pungryu are the same, National Gukak Center’s julpungryu uses 黃 as E♭ and hyangje-julpungryu’s 黃 is E. Because of this reason, even though the melody is the same, actual pitch is different. Fourth, in the comparison of the melody of gyemyeonhwanip, there are alternative melodies when hyangje-julpungryu’s dwitpungryu was played separately. Overall melodic progress is similar, but the melodies—reversing a repetitive triplet ♩♪ to ♪♩—appear in individual musicians’ julpungryu. Fifth, comparing the melody of yangcheonghwanip, ascending melody appears in National Gukak Center’s julpungryu and descending melody appears in hangje-julpungryu. Scales are similar to each other, but National Gukak Center’s julpungryu has higher pitch. In individual musician Won Gwang-ho’s julpungryu, higher tones are used from the middle of the 3rdmovement and after that, the melody proceeds to completely different melody. It can be seen as a characteristic of individual musicians’ julpungryu like haetan-garak. Sixth, comparing the melody of woojohwanip, all the melodies and movement division are much similar than gyemyeonhwanip and yangcheonghwanip. Although a repetitive ♩♪ rhythm pattern are used in hangje-julpungryu and similar progress appears in National Gukak Center’s julpungryu, rhythmic subdivision and jeonseong appear frequently. In Kim Yoon-deok’s julpungryu, detailed descriptions about chuseong and toiseong are written with tone names. It can be inferred, therefore, tones are changeable rather fixed. As explained earlier, National Gukak Center’s julpungryu and hangje-julpungryu share the same root and has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ir regional characteristics. Especially, it can be found that individual musicians’ julpungryu has been changed from the original hyangje-julpungryu by musicians’ techniques and personal trai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4 Ⅱ. 본론 7 A. 향제줄풍류의 전승 7 1. 정읍 풍류 7 2. 이리 풍류 9 3. 임석윤 풍류 10 4. 김윤덕 풍류 11 5. 원광호 풍류 12 B. 국악원 천년만세와 향제줄풍류의 뒷풍류 비교 13 1. 악곡의 명칭 비교 13 2. 악장의 구성과 분장법 비교 14 3. 각 곡의 선율 비교 20 Ⅲ. 결론 69 참고문헌 71 부록악보 73 ABSTRACT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461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국립국악원 천년만세와 향제줄풍류의 뒷풍류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호남풍류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Comparative Study of Cheonnyeonmanse by National Gukak Center and Dwitpungryu of Hyangje-Julpungryu : Focused on Honam Pungryu-
dc.creator.othernameJung, Yea seul-
dc.format.pagex,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