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5 Download: 0

이야기 제시 조건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고기능 자폐 아동들의 쓰기 응집성 특징

Title
이야기 제시 조건에 따른 초등학교 저학년 고기능 자폐 아동들의 쓰기 응집성 특징
Other Titles
Written Story Coherence of High-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under two Narrative Presentation Condition
Authors
최소영
Issue Date
2011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은 어휘나 문장수준보다 담화적 수준에서 이해 및 산출에 어려움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담화적 어려움은 자폐아동들의 구어 이야기 연구에서 종종 보고되어왔다(Losh & Capps, 2003). 자폐 아동들의 구어적 이야기는 양적인 면에서 정상아동들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질적인 면에서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차이는 이야기의 전반적인 응집성 측면에서 나타났는데, 자폐 아동들은 이야기의 주제를 찾아내고, 맥락에 맞게 사건을 구성하여 전체적인 이야기 응집성을 유지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인다고 보고되었다(Baron-Cohen, et al. 1986; Bruner & Feldman, 1993; Tager-Flusberg, 2001). 이야기의 응집성을 유지하는 측면에 있어서 또한 자폐아동들은 결속표지 사용에 제약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Losh & Capps, 2003). 이러한 구어적 이야기 산출의 어려움은 쓰기에서도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위에 언급된 어려움 외에도 자폐아동들에게 주로 보고되는 사회 의사소통의 부족, 마음읽기능력(theory of mind)의 제한, 추론 및 전제능력의 부족, 주의집중 및 유지에의 어려움, 자극과다선택(stimulus overselectivity) 및 약한 중앙응집력(weak central coherence) 등의(Shimpson & Myles, 2008; Chavkin, 2009) 특성도 쓰기 발달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쓰기능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외에서 자폐아동들의 쓰기능력을 본 연구는 매우 드물며, 쓰기로 산출된 이야기의 내용을 살펴본 연구는 더더욱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구어적 이야기 연구에서 보고된 것처럼 쓰기 이야기에서도 주제를 파악하고 표현하는 능력과 결속표지 사용에 제약을 보이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약이 이야기 자극제시조건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야기 자극제시조건은 이야기 수행력에 영향을 주거나 주지 않는다는 논의가 있었고, 그 영향의 방향성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견이 주장되어왔다(Gazella & Stockman, 2003). 시각적 학습자라고 알려진 자폐범주성장애아동의 쓰기능력이 시각적 자극에 도움을 받는지 또는 시각적 자극이 방해요소로 작용하게 될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가지 조건(청각 자극을 제시하는 조건과 시각자료를 동반한 청각 자극을 제시하는 조건)하에서 이야기를 듣고 요약하여 쓰기에서 나타난 고기능자폐 아동의 주제를 표현하는 능력(주제응집도), 결속표지의 사용 능력(결속표지 사용수와 정확도)이 생활연령 일치집단, 언어연령 일치집단과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야기 주제응집도 및 결속표지 정확도와 이야기 이해 및 산출에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초등학교 저학년 고기능자폐 아동 15명,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통제집단 15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통제집단 15명으로 총 45명이었다. 모든 아동은 두 가지 이야기 제시 조건에 따라 "개구리 이야기"를 듣고 주제가 되는 내용을 요약하여 쓰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각 집단이 산출한 문어이야기에서 주제응집도와 결속표지 사용수 및 정확도를 분석하였고, 그 통계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3(세 집단) x 2(자극 제시 방법) 이원혼합분산분석(2-way mix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고기능자폐 아동의 이야기 주제응집도, 결속표지 정확도와 이야기 이해 및 산출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의 단순적률상관계수(Pearson's simple product-moment correlation)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응집도 점수에서 생활연령 일치집단의 점수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2, 42) = 5.53, p < .01). 이야기 제시 방법에 따른 주효과와 집단에 따른 이야기 제시 방법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결속표지 사용수에서 생활연령 일치집단의 점수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2, 42) = 6.78, p < .01). 이야기 제시 방법에 따른 주효과와 집단에 따른 이야기 제시 방법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속표지 정확도에 있어서 집단간 주효과, 과제 제시 방법에 따른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고기능자폐 집단의 이야기 주제응집도와 결속표지 정확도는 이야기 이해질문 점수와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고, 구문의미 이해력과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해질문 중에서도 빠진 정보 찾기의 점수가 주제 응집도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반면, 정상아동들과 달리 생활연령, 어휘력, 단기기억력은 고기능자폐 집단의 문어이야기 능력을 예측해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고기능자폐 아동은 주제응집도 및 결속표지 사용에 있어서 생활연령이 일치된 아동들보다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그러나 자극 제시에 따른 수행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고기능자폐 아동들이 보이는 약한 중앙응집력 특성이 문어이야기에서도 나타났으며, 시각적인 자료가 함께 제시되어도 주제를 찾아내는 능력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생활연령이나 단기기억력, 어휘력은 자폐 아동들의 문어 이야기 응집성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현장에서 고기능자폐 아동의 평가 및 중재 시에 주제를 찾아내고 요약하여 글을 쓰는 능력에 대해 개별적으로 고려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고기능자폐 아동들의 이야기 전체 맥락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수록 요약하여 쓰기에서 주제를 표현하는 능력이 좋아진다는 것을 시사하였다.;Previous research reported that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HFA) produce stories that are not coherent. Due to Weak Central Coherence, HFA children appeared to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ntext and retelling the gist of stories (Diehl et al., 2006; Losh & Capps, 2003).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Narrative coherence of HFA children appeared in a summary writing task under two narrative presentation conditions(Auditory only, AO & Auditory-visual, AV). Fifteen HFA Children (Mean age = 7.93, SD = 13.89), Fifteen Chronological Age-matched normal children(CA-matched) (Mean age = 7.87, SD = 15.71) and Fifteen Language Age-matched normal children(LA-matched) (Mean of month = 7.6, SD = 22.97)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ree groups was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All participants listened to a short story(Frog, Where are you?) under two different conditions, and were asked to write a summary. Two written summaries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such as proportion of topic expression, frequency and accuracy of cohesive markers. proportion of topic expression defined in this study is an ability to find out topics of a story and rewrite the gist of the story.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a correlation between narrative coherence factors(Proportion of topic expression, Accuracy of cohesive markers) and other factors that have been reported to relate to children's understanding and producing narrative(receptive vocabulary, sentence understanding, narrative comprehension task, digit span, choronical age). A 3(groups) x 2(conditions) 2-way mix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the group differences in the proportion of topic expression and the usage of narrative cohesive markers across two narrative presentation condition. When significantly different values were observed, a Scheffe post hoc analysis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of mean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omputed to find out any correlation among various factors including narrative coherence fact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HFA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less proportion of topic expression than CA matched group(F(2, 42) = 5.53, p < .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in narrative presentation conditions nor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narrative presentation condition. As for a frequency of cohesive markers, CA-math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frequent usage than two the other groups(F(2, 42) = 6.78, p < .01).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main effect for narrative presentation conditions nor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narrative presentation condition. For the accuracy of the usage of cohesive markers,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groups, narrative presentation condition, and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narrative presentation condition. In HFA group, the proportion of topic expression in both conditions(AO, AV)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tory comprehension task scores(AO r= .57, AV r = .66, p < .01), especially Gap filling task(AO r= .68, AV r = .89, p < .01). Accuracy of cohesive markers in AV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r = .47, p < .05). Unlike normal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ronical age, vocabulary task score, digit span task score and narrative coherence factors in HFA children. These results confirm that HFA children have trouble rewriting the gist of stories and with written usage of cohesive markers. Visual support did not help HFA children perform better in summary writing task in this study. The strong correlation between story comprehension task with Proportion of topic expression implies that the better HFA children understand stories, the better coherence they produce. However, vocabulary ability, choronical age, digit span task scores showed no correlation with proportion of topic expression in HFA group. Therefore, individual approach to weakness in HFA's writing ability is needed and an appropriate support should be delivered to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