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김재리-
dc.creator김재리-
dc.date.accessioned2016-08-25T11:08:06Z-
dc.date.available2016-08-25T11:08:06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otherOAK-0000000683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63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68325-
dc.description.abstract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Augmentative & Alternative Communication, 이하 AAC)는 말을 이해 또는 산출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사람의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체계로서, 구어 능력을 보완하거나 다른 양식으로 대치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을 포함한다. 그 가운데에서도 음성이 산출되는 AAC 도구는 의사소통의 성공과 말 산출 모두에 기여하며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에 가까워 의사소통 상대자들에게 친숙하면서도 덜 부담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Blischak et al., 2003). 그러나 음성산출 AAC 기기를 이용한 의사소통은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진다. 우선 의사소통 속도가 느려 적절한 대화 타이밍을 놓치거나 대화 도중에 긴 쉼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시간적 요구는 짧은 길이의 발화를 산출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Todman, 2000). AAC 사용자의 느린 속도와 짧은 발화 길이는 상대방으로 하여금 AAC 사용자에 대해 무능하다고 여기거나 부정적인 태도를 갖게 할 수 있다(Todman, 2003). AAC 사용자의 느린 의사소통 속도는 빠른 속도로 정보를 교환하는 데 익숙한 일반인과 의사소통하는 상황에서 이들의 상호작용을 유의미하게 방해할 것이고(Beukelman and Mirenda, 2005), 대화 상대자들로 하여금 AAC 사용자에 대해 비호의적인 인상을 가지게 할 것이다(Todman, 2000). 이를 막기 위해 메시지를 빠른 속도로 산출하고자 할 때, 의사소통 속도와 메시지의 적절성 사이에 교환(Trade-off)이 발생하게 된다(Bedrosian et el. 2003). 기존의 음성산출 AAC 기기에서는 상황별로 메시지를 분류하여 제시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에 기초하여 다음에 올 메시지를 예측하는 방법을 통하여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그런데 상황별 범주 안에 적합한 메시지가 없거나 기기에서 예측하여 제시한 메시지가 부적절할 때, AAC 사용자는 정확한 메시지를 찾아서 산출할지 아니면 그대로 오류 메시지를 산출할지 선택해야 한다(Hoag et al., 2008). AAC 사용자가 빠른 메시지 산출을 위하여 오류가 있는 메시지를 그대로 산출할 경우, 그에 대한 의사소통 상대자의 태도 및 선호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고, 이는 AAC 사용자의 의사소통 기회를 제한하고 의미 있는 사회적 관계 형성을 방해하는 원인이 된다(McCarthy, Light, & McNaughton, 2002). 만일 AAC 사용자가 빠른 의사소통 속도를 위해 오류가 있는 메시지들을 산출하였을 때 의사소통 상대자가 어떠한 오류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지, 또는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는지 안다면 AAC 사용자의 의사소통 전략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Hoag et al., 2008). 또한 AAC 기기를 개발할 때에도 이를 반영하여 의사소통 상대자들이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기술적 지원을 한다면, AAC 사용자에 대한 의사소통 상대자의 태도 및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고 나아가 AAC 사용자의 사회적 참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도 새로운 음성산출 AAC 기기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AAC 사용자에 대한 의사소통 상대자의 태도와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특히 AAC 사용자가 오류가 있는 문장들을 산출할 때의 태도 및 선호도가 어떠한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AAC 사용자가 산출할 수 있는 오류 문장들에 대한 의사소통 상대자의 태도 및 선호도를 살펴보아 한국형 음성산출 AAC를 개발함에 있어 기초연구로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AC 사용자가 오류가 있는 문장들을 산출하였을 때, 각 오류유형에 따라 의사소통 상대자의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오류유형에 대한 선호도를 측정하여 그 위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말 산출 및 이해에 문제가 없고 AAC 사용자에 대한 경험이 없는 일반 성인 72명(남녀 각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에게 AAC 사용자가 지나가는 사람에게 길을 물어보는 영상을 보여주고, 설문에 답하도록 하였다. 영상 속 AAC 사용자는 서울시 소재의 재활학교에서 초등 3학년에 재학 중인 비구어 뇌성마비 남아이고, 아동에게 질문을 받는 의사소통 상대자는 20대의 성인이었다. 영상은 총 6가지로 각 영상에서 아동은 각기 다른 오류 문장을 산출하였다. 오류 문장은 언어영역에 따라 ‘구문적 오류, 의미적 오류, 화용적 오류’로 구성되었고, 각각의 유형 아래 2가지씩 세부 오류유형이 있어 ‘조사 오류, 문장 어미 오류, 주부 어휘 오류, 술부 어휘 오류, 주의끌기 부재, 존대 오류’로 구성되었다. 6가지의 영상을 무작위 순으로 대상자들에게 제시하고, 각 영상을 볼 때마다 AAC 사용자에 대한 태도를 묻는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그런 다음 오류 문장유형 6가지에 대한 선호도의 순위를 작성하게 하였다. 태도 설문지 점수와 오류유형에 대한 선호도 순위는 점수화한 뒤 이원혼합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성별과 오류유형에 따른 태도 점수와 선호도 순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AAC 사용자에 대한 태도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오류유형에 따라서는 AAC 사용자에 대한 태도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언어영역별로는 ‘의미적 오류’에 해당하는 문장들에 대한 태도 점수가 ‘구문적 오류, 화용적 오류’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화용적 오류’는 다른 두 유형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오류유형에서도 ‘의미적 오류’에 해당하는 ‘주부 어휘 오류, 술부 어휘 오류’에 대한 태도 점수가 다른 유형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문장 어미 오류’도 다른 유형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받았다. 둘째, 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오류유형에 대한 선호도 순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남성 집단과 여성 집단이 오류유형에 대해 호감을 보이는 경향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오류유형에 따라서는 선호도 순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태도 점수에서와 같이 ‘의미적 오류’에 대한 순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화용적 오류’의 경우에 태도 점수에서와는 달리 ‘구문적 오류’보다 낮은 순위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오류유형별로는 ‘의미적 오류’에 해당하는 ‘주부 어휘 오류, 술부 어휘 오류’에 대한 선호도 순위가 ‘존대 오류’를 제외한 다른 오류유형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존대 오류’는 태도 점수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은 것에 반해 선호도 순위에서는 가장 낮은 순위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의미적으로 오류가 있는 메시지가 의사소통 상대자의 AAC 사용자에 대한 태도 및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잘못된 어미 사용, 경어법의 미사용 또한 의사소통 상대자의 태도 및 선호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향후 음성산출 의사소통 기기를 개발하고 개인에게 적용하는 데 있어, 의미적으로 적절한 메시지 산출을 위해 상황과 관련된 고빈도 메시지를 연구 및 적절히 배치하는 것과 빠르고 정확한 예측을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문법적 지식을 이용한 어미의 적절한 변환과 의사소통 상대자에 따른 경어법의 빠른 선택을 지원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ugmentative &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system is used for people who are not able to perform spoken language interaction with others. The use of AAC methods has a potential to change people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from the role of a passive observer to the one of an active participant in communication. AAC lets them produce an infinite number of messages, and complete and grammatically correct utterances with a broader range of communicative function. Especially, a speech-generating device(SGD) or voice output communication aid(VOCA) are capable of making separate contribution to successful communication and speech production, and may promote natural speech production. However, AAC systems have limitations for users. During interactions, AAC users’ slow rate of communication results in unfavorable impressions. Slow rates of communication and long pauses before AAC users to respond tend to reduce the pleasure of social exchanges for partners and to lead to negative impressions of AAC users’ communicative competence. However, to enhance speed of communication, AAC users may choose inappropriate messages. Frequently, there is a mismatch between the pre-stored messages (or predicted messages) and current conversation. In situations where the message is not exactly what the person wants to say, it will be necessary to choose either to take the time to compose an ideal message or deliver the imperfect message as stored, to minimize the delay. Using a message with inappropriate content or form, could mislead or confuse the listener and create a negative impression of AAC and the person using it. When AAC users produce inappropriate messages, it would be helpful to know that these messages may make their communication partners get negative attitude towards them which works as a warning that could become a useful strategy for AAC users in their communications. Furthermore, it could help support developing new AAC technologi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find out the following: (1) if the two groups(men vs. women) and error types of messages influence the partner's attitude towards AAC users, (2) if the two groups and error types of messages influences the partner's preference ranking. Seventy-two normal adult(36 men and 36 women)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Participants were seen 6 videotaped interactions between a child using AAC and his partner. Then they were asked to fill up an attitude questionnaire. Error messages were divided into 3 types, depending on aspects of language - syntactic errors vs. semantic errors vs. pragmatic errors. The error types were again divided into 6 detailed ones - functional words(postposition) error vs. functional words(ending) error vs. word meaning(subjective part) error vs. word meaning(verb part) error vs. absence of a floorholder vs. absence of an honorific expression. After watching all the interaction clips,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portion of the questionnaire to rate the clips in order of their preferences for the messages. A 2-way mixed measures ANOVA(groups×error types) investigated the group differences in the attitude toward AAC users and preferences for error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of all, for the attitude scores, there is no significant main effect for gender but there is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error types. Results reveal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for ‘semantic errors’ an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pragmatic errors’. In case of detailed error types, ‘word meaning error’ was given significantly lower scores, and ‘functional words(ending) error’ was given significantly lower scores. Secondly, for preference ranking, there is no significant main effect for gender but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error types. Likewise, resul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ranking scores for ‘semantic errors’, in contrast to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syntactic errors’. Moreover, ‘word meaning errors’ was given significantly lower ranking scores and ‘absence of honorific expression’ was given the lowest scores. These results suggest semantic errors have negative effects on attitude and preference towards AAC users. Interestingly, the absence of honorific expression has a great influence on preference ranking in Korea. The hierarchical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may help guide the researchers working on future AAC system and individuals using AAC syst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A. 음성산출 의사소통 도구와 문장 구성 전략 8 B. AAC 사용자에 대한 의사소통 상대자의 태도 15 C. AAC 사용자의 메시지 오류에 대한 의사소통 상대자의 태도 19 D. AAC 사용자의 메시지 오류에 대한 의사소통 상대자의 선호도 22 Ⅲ. 연구 방법 24 A. 연구 대상 24 B. 실험 과제 24 C. 연구 절차 32 D. 자료 분석 33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34 F. 신뢰도 34 Ⅳ. 연구 결과 35 A. 대상자의 성별과 오류유형에 따른 태도 점수 비교 35 B. 대상자의 성별과 오류유형에 따른 선호도 비교 41 Ⅴ. 결론 및 논의 48 A. 대상자의 성별과 오류유형에 따른 태도 점수의 차이 48 B. 대상자의 성별과 오류유형에 따른 선호도 순위의 차이 52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4 참고문헌 56 부록 61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252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AAC 사용자의 오류 문장 유형이 의사소통 상대자의 태도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fluence of error types of messages on partner's attitudes toward a person who use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dc.creator.othernameKim, Jae Li-
dc.format.pagexi,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1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